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리뷰의 내용과 제품의 판매 성과에 관한 연구: 책 리뷰에 관한 트윗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 of Online Reviews and the Sales Performance: Based on the Tweets for Book Revie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9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line review for products by users is an significant factor which could examine the sales performance of products. Prior researches focus on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valence, emotion, and social dimentions. Recently other theoretical dimensions are proposed for content analysis, such as the engagement and uniqueness seeking of reviewers and users.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tent of the review into idea-sharing and information-sharing. Also, I analyzed the differential affect of thew two types on product performance. The idea-sharing type is to elicit elaborated information process to reviewers in the writing process. On the stage of the empirical analysis,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 gather the sales data and users’ reviews on Twitter of top 100 books in online bookstores. The data were collected on a daily level from January 2022 to March 2022. The data include product characteristics, brand performance of book authors, content of reviews, and Twitter user’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idea-sharing reviews have more impact on the product performance than information-sharing reviews. In addition, the carryover effect of the review effect i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review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les performance over a long-term.This research explain the implications for online retailers, product manufacturers, and reviewers. It suggests that online retailers need to promote more contributions and engagements to users who can more contribute idea-sharing reviews.
      번역하기

      Online review for products by users is an significant factor which could examine the sales performance of products. Prior researches focus on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valence, emotion, and social dimentions. Recently other theoretical dimensions ...

      Online review for products by users is an significant factor which could examine the sales performance of products. Prior researches focus on the volume of online reviews, valence, emotion, and social dimentions. Recently other theoretical dimensions are proposed for content analysis, such as the engagement and uniqueness seeking of reviewers and users.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tent of the review into idea-sharing and information-sharing. Also, I analyzed the differential affect of thew two types on product performance. The idea-sharing type is to elicit elaborated information process to reviewers in the writing process. On the stage of the empirical analysis,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 gather the sales data and users’ reviews on Twitter of top 100 books in online bookstores. The data were collected on a daily level from January 2022 to March 2022. The data include product characteristics, brand performance of book authors, content of reviews, and Twitter user’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idea-sharing reviews have more impact on the product performance than information-sharing reviews. In addition, the carryover effect of the review effect i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review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les performance over a long-term.This research explain the implications for online retailers, product manufacturers, and reviewers. It suggests that online retailers need to promote more contributions and engagements to users who can more contribute idea-sharing review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리뷰는 제품의 판매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전의 전통적인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의 양, 긍정과 부정, 감정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에 집중하여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리뷰 작성자 및 이용자의 몰입, 차별성 등과 같은 리뷰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차원이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리뷰의 내용을 아이디어 공유형과 정보 공유형으로 구분하고 판매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이디어 공유형은 정보 공유형에 비해, 리뷰 작성 과정에 더 정교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연구 질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여, 온라인 서점의 100개의 베스트셀러 도서의 판매 데이터 및 트위터 상의 리뷰 데이터를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일 단위로 수집하였다. 데이터에는 도서의 가격 정보와 같은 특성, 도서 저자의 브랜드 성과, 리뷰의 내용, 리뷰 작성자의 팔로워 수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포함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이디어 공유형 리뷰가 정보 공유형 리뷰에 비해 판매 성과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리뷰 효과의 이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리뷰가 장기간에 걸쳐 판매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소매점과 제품의 제작자, 그리고 리뷰 작성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온라인 소매점이 아이디어 공유형 리뷰와 같이 몰입할 수 있는 이용자의 기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온라인 리뷰는 제품의 판매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전의 전통적인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의 양, 긍정과 부정, 감정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에 집중하여 연구가 수행되어...

      온라인 리뷰는 제품의 판매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전의 전통적인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의 양, 긍정과 부정, 감정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에 집중하여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리뷰 작성자 및 이용자의 몰입, 차별성 등과 같은 리뷰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차원이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리뷰의 내용을 아이디어 공유형과 정보 공유형으로 구분하고 판매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이디어 공유형은 정보 공유형에 비해, 리뷰 작성 과정에 더 정교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연구 질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여, 온라인 서점의 100개의 베스트셀러 도서의 판매 데이터 및 트위터 상의 리뷰 데이터를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일 단위로 수집하였다. 데이터에는 도서의 가격 정보와 같은 특성, 도서 저자의 브랜드 성과, 리뷰의 내용, 리뷰 작성자의 팔로워 수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포함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이디어 공유형 리뷰가 정보 공유형 리뷰에 비해 판매 성과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리뷰 효과의 이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리뷰가 장기간에 걸쳐 판매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소매점과 제품의 제작자, 그리고 리뷰 작성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온라인 소매점이 아이디어 공유형 리뷰와 같이 몰입할 수 있는 이용자의 기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정민, "이용자 생산 컨텐츠(User-Generated Content) 플랫폼에서 생산자 참여 전․후의 이용자 기여 성과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31 (31): 31-55, 2016

      2 전성률 ; 김경호, "온라인에서 양면구전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7 (27): 45-66, 2012

      3 손정민 ; 이준섭, "온라인 컨텐츠 제작자의 동태적 브랜드 가치 분석 모형" 중소기업융합학회 12 (12): 92-99, 2022

      4 이서진 ; 최인철,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리뷰 평점의 방향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품과 기능품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37 (37): 1-19, 2022

      5 석준희 ; 이유석 ; 김병도, "온라인 구전의 양(Volume)과 방향성(Valence), 그리고 박물관 관람객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35 (35): 1-23, 2020

      6 김영찬 ; 정재학, "구전효과가 소비자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9 (19): 1-20, 2004

      7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66599&bbs_cd_n=81¤tPage=1&search_key_n=&cate_n=&dept_v=&search_val_v="

      8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2729"

      9 J. Berger, "What Makes Online Content Viral?" 49 (49): 192-205, 2012

      10 U. Narang, "The idea advantage : How content sharing strategies impact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platforms" 59 (59): 61-78, 2022

      1 손정민, "이용자 생산 컨텐츠(User-Generated Content) 플랫폼에서 생산자 참여 전․후의 이용자 기여 성과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31 (31): 31-55, 2016

      2 전성률 ; 김경호, "온라인에서 양면구전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7 (27): 45-66, 2012

      3 손정민 ; 이준섭, "온라인 컨텐츠 제작자의 동태적 브랜드 가치 분석 모형" 중소기업융합학회 12 (12): 92-99, 2022

      4 이서진 ; 최인철,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리뷰 평점의 방향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품과 기능품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37 (37): 1-19, 2022

      5 석준희 ; 이유석 ; 김병도, "온라인 구전의 양(Volume)과 방향성(Valence), 그리고 박물관 관람객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35 (35): 1-23, 2020

      6 김영찬 ; 정재학, "구전효과가 소비자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9 (19): 1-20, 2004

      7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66599&bbs_cd_n=81¤tPage=1&search_key_n=&cate_n=&dept_v=&search_val_v="

      8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2729"

      9 J. Berger, "What Makes Online Content Viral?" 49 (49): 192-205, 2012

      10 U. Narang, "The idea advantage : How content sharing strategies impact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platforms" 59 (59): 61-78, 2022

      11 C. Kim, "The Unobserved Heterogeneous Influence of Gamification and Novelty-Seeking Traits on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in the Omnichannel Retailing" 11 : 1664-1685, 2020

      12 J. Chevalier, "The Effect of Word of Mouth on Sales : Online Book Reviews" 43 (43): 345-354, 2006

      13 S. Melumad, "Selectively Emotional : How Smartphone Use Changes User-Generated Content" 56 (56): 259-275, 2019

      14 A. Ghose, "Modeling consumer footprints on search engines: An interplay with social media" 65 (65): 1363-1385, 2019

      15 G. Packard, "How Language Shapes Word of Mouth’s Impact" 54 (54): 572-588, 2017

      16 S. C. Ahn, "Efficient estimation of dynamic panel data models: Alternative assumptions and simplified estimation" 76 (76): 309-321, 1997

      17 M. Trusov, "Effects of word-of-mouth versus traditional marketing : findings from an internet social networking site" 73 (73): 90-102, 2009

      18 E. R. Smith, "Dual-Process Models in Social and Cognitive Psychology : Conceptual Integration and Links to Underlying Memory Systems" 4 (4): 108-131, 2000

      19 L. Luo, "Dilution and enhancement of celebrity brands through sequential movie releases" 47 (47): 1114-1128, 2010

      20 A. Ghose, "Designing ranking systems for hotels on travel search engines by mining user"generated and crowdsourced content" 31 (31): 493-520, 2012

      21 E. Brynjolfsson, "Consumer surplus in the digital economy : Estimating the value of increased product variety at online booksellers" 49 (49): 1580-1596, 2003

      22 B. H. Thompson, "Confronting Diversity Issues in the Classroom with Strategies to Improve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72 (72): 53-55, 1996

      23 J. Berger, "Arousal increases social transmission of information" 22 (22): 891-89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