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19년 3·1운동 이후의 일제의 종교정책 변화와 그 영향을 다루었다. 3·1운동은 일제의 무단통치에 대한 반발로 이들의 통치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2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19년 3·1운동 이후의 일제의 종교정책 변화와 그 영향을 다루었다. 3·1운동은 일제의 무단통치에 대한 반발로 이들의 통치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2대 ...
이 글은 1919년 3·1운동 이후의 일제의 종교정책 변화와 그 영향을 다루었다. 3·1운동은 일제의 무단통치에 대한 반발로 이들의 통치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2대 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의 실각과 제3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취임 후,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혁이 이루어졌다. 사이토는 기존의 부제를 국제로 변경하고, 학무국을 독립시켜 총독 직속으로 승격시키며 종교과를 신설하였다.
학무국 종교과는 종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그 주요 목적 중 하나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세력을 회유하는 것이었다. 종교과는 서양 선교사들과의 협조를 통해 그리스도교 세력을 견제하고, 내부의 분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한국천주교회는 일제의 종교정책에 대응을 위해 메리놀회의 한국 진출을 타진하였다. 즉 종교과의 설치는 3·1운동 이후 일제의 종교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 종교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Japanese religious policy and its impact follow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significant protest against Japan’s authoritarian rule, leading to substantial changes in their gove...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Japanese religious policy and its impact follow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significant protest against Japan’s authoritarian rule, leading to substantial changes in their governing policies. This pivotal event resulted in the downfall of the second Governor-General, Hasegawa Yoshimichi, and the appointment of the third Governor-General, Saito Makoto. Subsequently, reforms were implemented in the governmental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aito renamed the existing “Bu-je(部制)” to “Guk-je(局制),” made the Hak-mu-guk(學務局) independent, elevated it to be directly under the Governor-General, and established the Religious Affairs Section.
The Religious Affairs Section was created to handle religious affairs, with one of its main objectives being the appeasement of Christian forces in Korea. This sec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hristian community, working in cooperation with Western missionaries to induce internal divisions within the Christian forces. In response to Japan's religious policies, the Korean Catholic Church sought to expand the Maryknoll Society into Korea.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the Religious Affairs Section was a significant element of Japan’s religious policy post-March 1st Movement, and it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Korean religious landscape.
조선총독부 『관보』를 통해서 본 일제시대 조선 천주교회
메리놀회의 중국 진입과 적응에 대한 초보적 탐색 -‘적응주의’와 ‘토착화’ 사이에서
브뤼기에르 주교의 조선 입국을 둘러싼 논란 검토 - 조선교회 구성원들의 입장과 반응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