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리놀회의 중국 진입과 적응에 대한 초보적 탐색 -‘적응주의’와 ‘토착화’ 사이에서 = The Arrival and Accommodation of Maryknoll Mission to China: Between Accommodationism and Indigen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39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는 20세기 초 메리놀외방전교회의 중국 진입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추구한 선교전략과 지향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리놀회의 중국 선교는 큰 틀에서 19세기 중엽 이래 본격화한 소위 ‘제국주의 열강의 시대’와 맞물려 있다. 어떠한 제도나 조직 혹은 개인도 그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고 할 때, 메리놀회의 중국선교 역사 속에서 중국을 타자화하는 시각 내지는 오리엔탈리즘적 면모의 발견은 그리 어려운 일도 또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닐 것이다. 오히려 본고를 통해 관심을 갖고 질문하고자 하는 바는 반대로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메리놀회의 중국선교에서 소위 ‘선교 제국주의’의 시대적 한계를 일정부분 넘어서거나 균열을 일으킨 부분이 나타나는지에 있다. 구체적으로 메리놀회가 중국선교 과정에서 추구한 ‘토착화’ 혹은 ‘현지화’라는 지향점은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되었으며, 또 이러한 실천이 이전 시대 예수회가 표방한 ‘적응주의’적 선교와 비교하여 그이론과 실천의 맥락에서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갖는가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리놀회의 중국선교는 설립자 월시 총장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중국선교를 실천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의 축적을 통해 시작될 수있었다. 1918년 중국 내지에서의 선교활동을 시작한 메리놀회는 광둥, 광시, 동북지역 등 다수 지역을 아우르는 선교지를 기성 선교회에 일임받으면서 괄목할 선교 성과를 거두었다. 그들이 처음부터 스스로 표방한 토착 교회의 성립, 현지인 사제 양성이라는 비전과 그 실천양태,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보여준 중국현지에의 적응 노력이 갖는 의미는 매우크다. 하지만 메리놀회의 중국선교는 20세기 서구 열강의 팽창과 제국주의적 면모와 유리되어 존재할 수는 없었다. 메리놀회가 보여준 적응의 면모는 당시 ‘토착화’ 노력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 속에 존재했으며, 그러한 한계점은 특히 전 시대 예수회가 표방했던 ‘적응주의’와의 대비를 통해 일정부분 명료하게 드러난다.
      번역하기

      본 논고는 20세기 초 메리놀외방전교회의 중국 진입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추구한 선교전략과 지향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리놀회의 중국 선교는 큰 틀에서 19세기 중...

      본 논고는 20세기 초 메리놀외방전교회의 중국 진입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추구한 선교전략과 지향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리놀회의 중국 선교는 큰 틀에서 19세기 중엽 이래 본격화한 소위 ‘제국주의 열강의 시대’와 맞물려 있다. 어떠한 제도나 조직 혹은 개인도 그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고 할 때, 메리놀회의 중국선교 역사 속에서 중국을 타자화하는 시각 내지는 오리엔탈리즘적 면모의 발견은 그리 어려운 일도 또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닐 것이다. 오히려 본고를 통해 관심을 갖고 질문하고자 하는 바는 반대로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메리놀회의 중국선교에서 소위 ‘선교 제국주의’의 시대적 한계를 일정부분 넘어서거나 균열을 일으킨 부분이 나타나는지에 있다. 구체적으로 메리놀회가 중국선교 과정에서 추구한 ‘토착화’ 혹은 ‘현지화’라는 지향점은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되었으며, 또 이러한 실천이 이전 시대 예수회가 표방한 ‘적응주의’적 선교와 비교하여 그이론과 실천의 맥락에서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갖는가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리놀회의 중국선교는 설립자 월시 총장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중국선교를 실천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의 축적을 통해 시작될 수있었다. 1918년 중국 내지에서의 선교활동을 시작한 메리놀회는 광둥, 광시, 동북지역 등 다수 지역을 아우르는 선교지를 기성 선교회에 일임받으면서 괄목할 선교 성과를 거두었다. 그들이 처음부터 스스로 표방한 토착 교회의 성립, 현지인 사제 양성이라는 비전과 그 실천양태,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보여준 중국현지에의 적응 노력이 갖는 의미는 매우크다. 하지만 메리놀회의 중국선교는 20세기 서구 열강의 팽창과 제국주의적 면모와 유리되어 존재할 수는 없었다. 메리놀회가 보여준 적응의 면모는 당시 ‘토착화’ 노력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 속에 존재했으며, 그러한 한계점은 특히 전 시대 예수회가 표방했던 ‘적응주의’와의 대비를 통해 일정부분 명료하게 드러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 also called Maryknoll Society, and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ir strategies, goals, traits, and accomplishments. Given that no institution, organization, or individual can exist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the discovery of perspectives with aspects of Orientalism in the history of the Maryknoll Mission to China would be neither difficult nor surprising. On the contrary, what is wanted to ask with interest through this paper is whether the Maryknollers in China exceeded some of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of the socalled “missionary imperialism” or brought about some cracks. Specifically, how was Maryknoll’s goal of “indigenization” or “localization” pursued in the Chinese missionary process practiced, and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oes this practice have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and practice compared to the “accommodationism” advocated by the Jesuits in the previous era. The Chinese missionary work of the Maryknoll Society could begin through the passion and efforts of its founders especially President Walsh, and his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practice Chinese missionary work. The Maryknoll Society, which began its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n 1918, made remarkable missionary achievements by being assigned to establish mission territories that encompass many regions such as Guangdong, Guangxi, and Northeast regions. The establishment of an indigenous church that they advocated from the beginning, the vision and practice of cultivating local priests, and the efforts to adapt to China in the process are very significant. However, the Chinese mission of the Maryknoll Society could not be detached from the context of the expansion of Western powers and the imperial aspect of the 20th century. The aspect of adaptation shown by Maryknoll existed i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indigenization” effort at the time, and such limitations are assessed to be even clearer, especially in contrast with the “accommodationism” advocated by the Jesui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 also called Maryknoll Society, and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ir strategies, goals, traits, and accomplishments. 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 also called Maryknoll Society, and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ir strategies, goals, traits, and accomplishments. Given that no institution, organization, or individual can exist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the discovery of perspectives with aspects of Orientalism in the history of the Maryknoll Mission to China would be neither difficult nor surprising. On the contrary, what is wanted to ask with interest through this paper is whether the Maryknollers in China exceeded some of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of the socalled “missionary imperialism” or brought about some cracks. Specifically, how was Maryknoll’s goal of “indigenization” or “localization” pursued in the Chinese missionary process practiced, and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oes this practice have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and practice compared to the “accommodationism” advocated by the Jesuits in the previous era. The Chinese missionary work of the Maryknoll Society could begin through the passion and efforts of its founders especially President Walsh, and his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practice Chinese missionary work. The Maryknoll Society, which began its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n 1918, made remarkable missionary achievements by being assigned to establish mission territories that encompass many regions such as Guangdong, Guangxi, and Northeast regions. The establishment of an indigenous church that they advocated from the beginning, the vision and practice of cultivating local priests, and the efforts to adapt to China in the process are very significant. However, the Chinese mission of the Maryknoll Society could not be detached from the context of the expansion of Western powers and the imperial aspect of the 20th century. The aspect of adaptation shown by Maryknoll existed i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indigenization” effort at the time, and such limitations are assessed to be even clearer, especially in contrast with the “accommodationism” advocated by the Jesui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