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화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보이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6293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7-9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화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보이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
목적: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화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보이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과 개입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교육은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보편화되고 적합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노인의 건강과 삶의 경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해 사전-사후 2차례의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특성, 우울감, 자기효능감, 인지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중재교육이후 대상자의 삶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인 스마트폰 교육은 6주동안 매주 1회 실시되었으며 강원도 원주시 소재의 복지관과 작은도서관에서 진행되었다.
결과: 스마트폰 교육에 참여한 이후, 대상자는 우울감 감소와 인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교육을 통해 대상자는 ‘실생활에서의 편의 제공’, ‘자신감 향상’, ‘배움에 대한 욕구 향상’, ‘사회적 관계망 강화․형성’이라는 삶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결론: 스마트폰 교육은 노인의 정신적, 인지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정보화 사회로부터 노인의 적응력과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때문에 노인의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년기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환 ; 김우경 ; 박지숙,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 - 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93-125, 2021
2 Creswell JW, "질적 연구방법론3편" 학지사
3 서상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65-171, 2019
4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5 정영미,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359-380, 2018
6 임주희 ; 김은경 ; 김문희,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6 (16): 111-135, 2020
7 사공혜 ; 윤주영, "독거노인의 휴대폰 활용 정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8 (38): 467-480, 2018
8 방만금, "독거노인의 고독감 및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3 : 45-78, 2021
9 박수현 ; 박경영, "독거노인을 위한 관계형성 집단활동프로그램"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8 (8): 43-50, 2014
10 박명옥 ; 문재우,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29-637, 2019
1 김영환 ; 김우경 ; 박지숙,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 - 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93-125, 2021
2 Creswell JW, "질적 연구방법론3편" 학지사
3 서상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65-171, 2019
4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5 정영미,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359-380, 2018
6 임주희 ; 김은경 ; 김문희,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6 (16): 111-135, 2020
7 사공혜 ; 윤주영, "독거노인의 휴대폰 활용 정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8 (38): 467-480, 2018
8 방만금, "독거노인의 고독감 및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3 : 45-78, 2021
9 박수현 ; 박경영, "독거노인을 위한 관계형성 집단활동프로그램"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8 (8): 43-50, 2014
10 박명옥 ; 문재우,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29-637, 2019
11 이윤복, "노인의 종교성과 삶의 질에 따른 연구 :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12 윤혜영,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 정책수립의 고려사항"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77-105, 2017
13 최형임 ; 송인욱,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46-255, 2020
14 김학실 ; 심준섭,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15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6 정인과, "노인우울척도(GeriatricDepression Scale)의 신뢰도, 타당도연구" 36 (36): 1997
17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28 : 125-135, 1989
18 김호영, "노년기 사회적 삶과 인지기능" 한국심리학회 34 (34): 225-251, 2015
1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고령화와 정보격차 : 정보격차의 결정요인 분석"
20 Gursoy, G.,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using Web 2.0 Tools" 10 (10): 338-357, 2019
21 Zhao X, "Smartphone application training program improves smartphone usag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an elder university in China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33 (133): 104010-, 2020
22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 1977
23 Jang H, "Effects of smartphone application-based cognitive training at home on cognition in community-dwelling non-demented elderly individual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7 (7): e12209-, 2021
24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1 Dupont Circle NW Suite 700" Aspen Institute 2010
25 Gilster, Paul., "Digital Literacy" John Wiley & Sons 1998
2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최종보고서(국문, 영문)"
27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통계표(국문, 영문)"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에 대한 통합적 고찰 : 정서사건 이론을 기반으로
정신질환자의 재원일수 결정요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페루 도시 저소득층 거주 지역에서의 고혈압관리 중재효과 평가
지역유형별 노인 응급환자 사망률 차이 및 영향요인-부산,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