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생활안전 인식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6292
2023
Korean
Adolescent ; Parenting ; safety ; perception ; Adolescent Behavior ; 청소년 ; 양육태도 ; 안전 ; 인식 ; 청소년 행동
KCI등재
학술저널
77-85(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생활안전 인식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생활안전 인식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3차년도(2020)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3학년 2,19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STATA 15.1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긍정적(β=0.21, p<0.01), 친구와의 관계는 긍정적(β=0.21, p<0.01), 거주지는 수도권(β=-0.05, p<0.01)이며, 가구월소득(β=-0.06, p<0.05)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생활안전 인식 수준이 높았다.
결론: 자녀와 가장 오랫동안 가까이에서 상호작용하는 부모는 청소년 생활안전 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므로 올바른 양육태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비수도권 거주 학생과 취약계층 학생들의 안전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 인식 제고 등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성 ; 기쁘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증상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9 (29): 403-422, 2021
2 기채은 ; 이예진 ; 노영민 ; 노진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성: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1-22, 2019
3 이예진 ; 김경범 ; 허민희 ; 노진원 ; 임유미,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4 이현주 ; 강민희,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PAQ) 타당화 및 부모양육태도와 가족 기능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5-31, 2008
5 황매향 ; 최희철 ; 임효진, "청소년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교육연구소 17 (17): 196-220, 2016
6 최선하 ; 임미영 ; 이정란 ; 정혜경, "중학생의 안전의식 관련 요인: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한국생활환경학회 28 (28): 293-305, 2021
7 김선수 ; 유미, "중학생의 사고 예방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25 (25): 388-397, 2019
8 장윤재, "오락, 편의, 정보추구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321-342, 2020
9 김경민,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5) : 39-74, 2010
10 김영희 ; 박은주 ; 신지은 ; 정혜숙,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8 (28): 141-169, 2021
1 강혜성 ; 기쁘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증상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9 (29): 403-422, 2021
2 기채은 ; 이예진 ; 노영민 ; 노진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성: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1-22, 2019
3 이예진 ; 김경범 ; 허민희 ; 노진원 ; 임유미,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4 이현주 ; 강민희,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PAQ) 타당화 및 부모양육태도와 가족 기능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5-31, 2008
5 황매향 ; 최희철 ; 임효진, "청소년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교육연구소 17 (17): 196-220, 2016
6 최선하 ; 임미영 ; 이정란 ; 정혜경, "중학생의 안전의식 관련 요인: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한국생활환경학회 28 (28): 293-305, 2021
7 김선수 ; 유미, "중학생의 사고 예방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25 (25): 388-397, 2019
8 장윤재, "오락, 편의, 정보추구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321-342, 2020
9 김경민,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5) : 39-74, 2010
10 김영희 ; 박은주 ; 신지은 ; 정혜숙,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8 (28): 141-169, 2021
11 이정애 ; 김가현,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42): 209-227, 2022
12 서선숙 ; 백진아,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6 (26): 497-512, 2020
13 박현주 ; 양영자,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18-428, 2020
14 목소리 ; 서보림 ; 정재경 ; 강민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7 (57): 341-352, 2019
15 임혜림 ; 김서현 ; 정익중,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27, 2014
16 차한솔 ; 김주일 ; 이호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41-55, 2019
17 Alonso-Stuyck P, "Which parenting style encourages healthy lifestyles in teenage children? Proposal for a model of integrative parenting styles" 16 (16): 2057-, 2019
18 Cenk D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optimism among Turkish adolescents" 35 (35): 720-728, 2016
19 Xie K,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n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China" 17 (17): 6256-, 2020
20 Morshidi M,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s perception towards road safety" 7 (7): 11-20, 2020
21 이은영 ; 백다혜 ; 박윤 ; 기모란,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data o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국역학회 39 : 1-8, 2017
22 Kim K,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tudents in middle & high school: As intermediation with ego-resilience" 2010
23 Knoll LJ, "Social influence on risk perception during adolescence" 26 (26): 583-592, 2015
24 Traylor AC,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well-being and friend support and behavior" 38 (38): 179-186, 2016
25 Prativa S,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28 (28): 49-59, 2019
26 Sekaran VC, "Parenting attitudes and dimension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behavioural problems in the Indian context : A community-based study" 50 : 101941-, 2020
27 Ji YN,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in Korea : results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5 (5): 1-6, 2012
28 Szabo K, "Adolescents’attitudes towards healthy eating : The role of self-control, motives and self-risk perception" 143 : 104416-, 2019
29 Olivari MG, "Adolescent perceptions of parenting styles in Sweden, Italy and Greece : An exploratory study" 11 (11): 244-, 2015
30 Statistics Korea, "2021 Youth Statistic 2021; 2021"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에 대한 통합적 고찰 : 정서사건 이론을 기반으로
정신질환자의 재원일수 결정요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페루 도시 저소득층 거주 지역에서의 고혈압관리 중재효과 평가
지역유형별 노인 응급환자 사망률 차이 및 영향요인-부산,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