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리더십 교육의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education being enforced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7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이후 본격적인 리더십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현대 사회의 리더십 교육은 무한한 양적·질적 팽창을 가져왔다. 따라서 대학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리더십 교육 발전 을 위해 필요한 연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 교육 특성 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을 비교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한국 대학의 비교 대상은 리더십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 대학으 로 하였다.
      리더십 교육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리더십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 심으로 하여 미국과 한국 미국 대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의 리더십 교육은 자기이해, 봉사활동, 목표설 정, 시간관리 등의 셀프 리더십을 함양시키는 교육 내용의 공통적 특 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이점으로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은 교육 시간이 장기적인 반면 한국 대학은 1년 이내의 단기적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이 갖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리더십 교육의 목적은 대학의 철학 및 국가의 고등교육기관의 목적과 동일하며, 둘 째, 이론적 내용과 체험 교육을 병행하는 학습방법을 실시하며, 셋째, 자기 성찰에 관한 셀프 리더십의 함양과 대인관계에 필요한 의사소통, 갈등관리가 중요한 교육내용의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번역하기

      20세기 이후 본격적인 리더십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현대 사회의 리더십 교육은 무한한 양적·질적 팽창을 가져왔다. 따라서 대학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리...

      20세기 이후 본격적인 리더십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현대 사회의 리더십 교육은 무한한 양적·질적 팽창을 가져왔다. 따라서 대학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리더십 교육 발전 을 위해 필요한 연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 교육 특성 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을 비교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한국 대학의 비교 대상은 리더십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 대학으 로 하였다.
      리더십 교육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리더십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 심으로 하여 미국과 한국 미국 대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의 리더십 교육은 자기이해, 봉사활동, 목표설 정, 시간관리 등의 셀프 리더십을 함양시키는 교육 내용의 공통적 특 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이점으로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은 교육 시간이 장기적인 반면 한국 대학은 1년 이내의 단기적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이 갖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리더십 교육의 목적은 대학의 철학 및 국가의 고등교육기관의 목적과 동일하며, 둘 째, 이론적 내용과 체험 교육을 병행하는 학습방법을 실시하며, 셋째, 자기 성찰에 관한 셀프 리더십의 함양과 대인관계에 필요한 의사소통, 갈등관리가 중요한 교육내용의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dership education of modern society has been brought infinite expans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hile research on the real leadership education was started since the 20th century.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esent study o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 university i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n university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grasp leadership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eing performed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merican universities playing a leading role of leadership research were chosen as a comparative object of Korean universities so 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adership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were analyzed by centering on the purpose and the cont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has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education content for promoting self-leadership such as self understanding, service activity, target setting and time management, etc.
      However,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is a long- term educational program being progressed for a long time, whereas there was difference that it is a short-term education being performed within 1 year at the universities in Korea.
      Characteristics i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the purpose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s the same as philosophy at a university or the purpose of high education institutes of the nation, and learning of theoretical content and experience education are combined in the learning method. It was shown that self-leadership about self-examination and communications & conflict management necessary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content.
      Leadership theory study appeared in an education method of Korean universities,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American universities.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 catalog and Web site of each university mainly. Accordingly, it has limitation that cannot avoid difference from an actual education plan.
      It is found that an education purpose is set to be relate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right attitude according to demand of modern society, and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by considering demand of an enterprise and students properly, and education operating institutions will be efficient to be operated by separate operating institutions.
      A completion system of the leadership education should have various learning systems through in-depth research, and it is deduc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bout study-abroad students in universities in a globalization age is also characteristics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should hav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make efforts for having more systematic rank so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has features as an education course.
      번역하기

      Leadership education of modern society has been brought infinite expans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hile research on the real leadership education was started since the 20th century.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esent study on the le...

      Leadership education of modern society has been brought infinite expans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hile research on the real leadership education was started since the 20th century.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esent study o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 university i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n university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grasp leadership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eing performed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merican universities playing a leading role of leadership research were chosen as a comparative object of Korean universities so 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adership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were analyzed by centering on the purpose and the cont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has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education content for promoting self-leadership such as self understanding, service activity, target setting and time management, etc.
      However,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is a long- term educational program being progressed for a long time, whereas there was difference that it is a short-term education being performed within 1 year at the universities in Korea.
      Characteristics i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the purpose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s the same as philosophy at a university or the purpose of high education institutes of the nation, and learning of theoretical content and experience education are combined in the learning method. It was shown that self-leadership about self-examination and communications & conflict management necessary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content.
      Leadership theory study appeared in an education method of Korean universities,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American universities.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 catalog and Web site of each university mainly. Accordingly, it has limitation that cannot avoid difference from an actual education plan.
      It is found that an education purpose is set to be relate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right attitude according to demand of modern society, and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by considering demand of an enterprise and students properly, and education operating institutions will be efficient to be operated by separate operating institutions.
      A completion system of the leadership education should have various learning systems through in-depth research, and it is deduc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bout study-abroad students in universities in a globalization age is also characteristics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should hav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make efforts for having more systematic rank so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has features as an education cour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2.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2.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 4
      • 1) 연구과제 = 4
      • 2) 연구방법 = 5
      • 3. 연구의 제한 = 6
      • Ⅱ. 이론적 배경 = 8
      • 1. 리더십 이론의 고찰 = 8
      • 1) 리더십 정의 = 8
      • 2)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정 = 11
      • 2.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 = 18
      • 3. 대학의 리더십 교육의 특성 = 21
      • 1) 리더십 교육의 의의 = 21
      • 2) 대학의 리더십 교육과 셀프 리더십 = 26
      • 4. 대학의 리더십 교육 관련 연구 = 30
      • Ⅲ.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현황 = 31
      • 1. 한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현황 = 31
      • 1) 서울대학교 = 31
      • 2) 숙명여자대학교 = 32
      • 3) 연세대학교 = 36
      • 4) 이화여자대학교 = 39
      • 5) 포항공과대학교 = 41
      • 6) 카이스트대학교 = 44
      • 7) 한양대학교 = 45
      • 2.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현황 = 50
      • 1) 아리조나 대학교 = 50
      • 2) 버클리 대학교 = 52
      • 3) 매릴랜드 대학교 = 53
      • 4) 중앙 미시간 대학교 = 54
      • 5) 엘론 대학교 = 56
      • 6) 조지 워싱턴 대학교 = 59
      • Ⅳ.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의 특성 비교분석 = 64
      • 1. 한국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 = 64
      • 1) 리더십 교육의 실시 배경 = 64
      • 2) 리더십 교육의 목적 = 66
      • 3) 리더십 교육의 내용 = 67
      • 2.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 = 70
      • 1) 리더십 교육의 목적 = 70
      • 2) 리더십 교육의 내용 = 73
      • 3.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 비교분석 = 76
      • 1) 리더십 교육의 목적의 공통적 특성과 차이점 = 76
      • 2) 리더십 교육 내용의 공통적 특성과 차이점 = 77
      • Ⅴ. 결론 = 79
      • 참고문헌 = 83
      • ABSTARCT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