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의 생활안정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은 1981년에 제정된 심신장애자복지법(현 장애인복지법)을 기본으로 하여 1990년에 제정된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현 장애인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장애인의 생활안정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은 1981년에 제정된 심신장애자복지법(현 장애인복지법)을 기본으로 하여 1990년에 제정된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현 장애인고...
우리나라 장애인의 생활안정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은 1981년에 제정된 심신장애자복지법(현 장애인복지법)을 기본으로 하여 1990년에 제정된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로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법률은 장애인의무고용제를 도입하면서 장애인의 고용지원을 도모하고, 장애인의 자립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장애인의 직업재활정책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고는 그동안 실시되어온 우리나라의 장애인직업재활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새로운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애인고용의 문제는 단순한 노동의 개념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특히 중증장애인의 고용문제는 개인의 삶을 지속할 수 있는지 등 생존과의 연관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2005년도 현재 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전체 38.16%로 나타나고 있으며, 직업을 갖는데 중요변수가 되는 교육수준은 매우 낮아 중졸이하의 학력이 약 75%정도로, 장애인의 경우 직업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재활정책의 목표를 장애인의 완전고용, 즉 안정된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둔다면 장애인의 취업알선보다 필요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해 직업생활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을 강조한다. 이는 장애인이 직업재활을 통해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됨을 의미하고,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직업재활정책은 장애인의 인격적이고 경제적 자립을 위한 목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장애인직업재활정책의 목표는 모든 장애인들의 일할 권리와 의무를 갖게 하는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달엽,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14 (14): 217-246, 2004
2 유점화, "직업재활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단체를 중심으로" 13 (13): 211-254, 2003
3 김동범, "직업재활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4 나운환, "지방자치단체의 직업재활정책의 진단과 개선방안" 10 (10): 95-115, 2000
5 이효성, "정부부문 중증장애인 고용확대 방안 연구 - 중증장애인공직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 강영실, "장애인복지의 이해" 도서출판 신정 2004
7 "장애인고용활성화방안"
8 이성규,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56 (56): 155-179, 2004
9 류정진, "소비자 만족 극대화를 위한 공단과 센터역할분담을 통한 전문성 제고방안. - 효율적인 취업알선업무연계 및 역할분담체계확립 -."
10 보건복지부, "세입세출예산개요. 각 연도"
1 이달엽,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14 (14): 217-246, 2004
2 유점화, "직업재활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단체를 중심으로" 13 (13): 211-254, 2003
3 김동범, "직업재활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4 나운환, "지방자치단체의 직업재활정책의 진단과 개선방안" 10 (10): 95-115, 2000
5 이효성, "정부부문 중증장애인 고용확대 방안 연구 - 중증장애인공직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 강영실, "장애인복지의 이해" 도서출판 신정 2004
7 "장애인고용활성화방안"
8 이성규,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56 (56): 155-179, 2004
9 류정진, "소비자 만족 극대화를 위한 공단과 센터역할분담을 통한 전문성 제고방안. - 효율적인 취업알선업무연계 및 역할분담체계확립 -."
10 보건복지부, "세입세출예산개요. 각 연도"
11 보건복지부, "2005년도 장애인복지관련 시설 및 기관일람표"
방송전파 월경에 따른 동ㆍ서독 주민의 시청태도와 방송정책
70년대 긴장완하의 ‘제도화’ 모색-CSCE 예비회담을 중심으로
수요지향정책의 관점에서 비정규노동의 원인규명을 위한 하나의 시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7 | 0.855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