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교과 효능감과 국어 수업, 읽기 요인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ject efficacy of Korean language arts (KLA), KLA instruction, and the factors of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0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arts (KLA) subjec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of instruction and reading. Toward this end, the study analyzed panel data from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which were collected in 2021 from high school learner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subjected to basic reliability, validity, and correlation analyse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factors. Moreover,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subject efficacy of KLA. Additionally, the study performed parallel multiple mediation analyses to estimate indirect effects and caus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of reading development and KLA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arts (KLA) subjec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of instruction and reading. Toward this end, the study analyzed panel data from the Gyeong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arts (KLA) subjec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of instruction and reading. Toward this end, the study analyzed panel data from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which were collected in 2021 from high school learner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subjected to basic reliability, validity, and correlation analyse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factors. Moreover,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subject efficacy of KLA. Additionally, the study performed parallel multiple mediation analyses to estimate indirect effects and caus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of reading development and KLA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생 국어 교과 효능감과 국어 수업 및 읽기 정의적 요인 간 구조적관계를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기위하여 경기도 지역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에 수집한 경기도교육연구원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하였고,요인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 후 다수 요인이 국어 교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어서 간접 효과와 인과 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병렬 다중 매개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이 연구는 읽기 발달과 국어교육 현상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의 포석이 된다는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고등학생 국어 교과 효능감과 국어 수업 및 읽기 정의적 요인 간 구조적관계를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기위하여 경기도 지역 ...

      이 연구는 고등학생 국어 교과 효능감과 국어 수업 및 읽기 정의적 요인 간 구조적관계를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기위하여 경기도 지역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에 수집한 경기도교육연구원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하였고,요인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 후 다수 요인이 국어 교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어서 간접 효과와 인과 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병렬 다중 매개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이 연구는 읽기 발달과 국어교육 현상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의 포석이 된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석 ; 양수연 ; 민병곤,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위한 범용 읽기 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독서학회 (54) : 135-168, 2020

      2 박신애, "중학생의 읽기 유창성 양상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487-519, 2019

      3 최숙기,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태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한국독서학회 (23) : 345-380, 2010

      4 박영민, "중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분석과 읽기 동기 신장 프로그램 개발"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141-184, 2008

      5 이순영, "읽는 사람, 읽지 않는 사람: 함께 읽는 2018 책의 해 독자 개발 연구 보고서" 2018 책의 해 조직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8

      6 이순영,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국내외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10 : 311-340, 2011

      7 이순영,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독서학회 (16) : 357-379, 2006

      8 이수진, "국어교육분야에서의 읽기 부진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한국독서학회 (57) : 145-169, 2020

      9 Afflerbach, P., "What is engagement, how is it different from motivation, and how can I promote it" 61 (61): 217-220, 2017

      10 McGeown, S., "Understanding reading motivation across different text types : Qualitative insights from children" 43 (43): 597-608, 2020

      1 박성석 ; 양수연 ; 민병곤,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위한 범용 읽기 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독서학회 (54) : 135-168, 2020

      2 박신애, "중학생의 읽기 유창성 양상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487-519, 2019

      3 최숙기,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태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한국독서학회 (23) : 345-380, 2010

      4 박영민, "중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분석과 읽기 동기 신장 프로그램 개발"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141-184, 2008

      5 이순영, "읽는 사람, 읽지 않는 사람: 함께 읽는 2018 책의 해 독자 개발 연구 보고서" 2018 책의 해 조직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8

      6 이순영,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국내외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10 : 311-340, 2011

      7 이순영,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독서학회 (16) : 357-379, 2006

      8 이수진, "국어교육분야에서의 읽기 부진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한국독서학회 (57) : 145-169, 2020

      9 Afflerbach, P., "What is engagement, how is it different from motivation, and how can I promote it" 61 (61): 217-220, 2017

      10 McGeown, S., "Understanding reading motivation across different text types : Qualitative insights from children" 43 (43): 597-608, 2020

      11 Butler, D. L., "The strategic content learning approach to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 A report of three studies" 90 : 682-697, 1998

      12 Wood, R. E.,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47 (47): 1013-1024, 1987

      13 Lepola, J.,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orientations as a function of divergent reading careers from pre-school to the second grade" 10 : 153-177, 2000

      14 Caprara, G. V., "The contribution of personality traits and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achievement : A longitudinal study" 81 (81): 78-96, 2011

      15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16 Brown, G. T., "Student conceptions of feedback : Impact on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86 (86): 606-629, 2016

      17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1995

      1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19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0 Scott, J. E., "Self-efficacy: A key to literacy learning" 36 (36): 195-213, 1996

      21 Komarraju, 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hy do implicit beliefs, goals, and effort regulation matter?" 25 : 67-72, 2013

      22 Carroll, A.,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ustralian high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spirations and delinquency" 32 (32): 797-817, 2009

      23 Zimmerman, B., "Self-efficacy :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25 : 82-91, 2000

      24 Pitts, B. L., "Retrospective appraisals of threat and benefit mediate the effects of combat experience on mental health outcomes in Army medics" 6 : 226-233, 2018

      25 Chapman, J. W., "Reading difficulties, reading-related self-perceptions,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negative self-beliefs" 19 (19): 5-24, 2003

      26 Furr, R. M., "Psychometrics: An Introduction" Sage 2018

      27 Kline, T. J.,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5

      28 Stanovich, K. E., "Progress in Understanding Reading: Scientific Foundations and New Frontiers" Guilford Press 2000

      29 McTigue, E.,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building academic self-efficacy in middle grades language arts classrooms" 84 (84): 114-118, 2011

      30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31 Conradi, K., "Motivation terminology in reading research : A conceptual review" 26 : 127-164, 2014

      32 Schunk, D. H.,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 A self-efficacy analysis" 73 (73): 93-105, 1981

      33 Brown, A., "Metacognit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5-116, 1987

      34 Negretti, R., "Metacognition in student academic writing" 29 (29): 142-179, 2012

      35 Efklides, A., "Metacognition and affect" 1 (1): 3-14, 2006

      36 Walpole, S., "Literacy Research Methodologies" Guilford 211-233, 2020

      37 Schunk, D. H.,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entice-Hall 1999

      38 Guthrie, J. T.,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3"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3-422, 2000

      39 Zimmerman, B., "Handbook of Metacognition in Education" Routledge 311-328, 2009

      40 Brown, A. L.,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Cognitive Development" Wiley 77-166, 1983

      41 Lepper, C., "Gender Differences in Text-Based Interest: Text Characteristics as Underlying Variables" 57 (57): 537-554, 2022

      42 Borkowski, J. G., "Contemporary Intervention Research in Learning Disabilitie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Springer 1-21, 1992

      43 Wigfield, A., "Beyond cognition :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10 (10): 190-195, 2016

      44 Stewart, G., "Anxiety and Self-Efficacy’s Relationship with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Metacognitive Writing Strategies" 6 (6): 4-22, 2015

      45 Quintana-Orts, C., "A serial media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victimization and cyberaggression : the role of stress and unforgiveness motivations" 17 (17): 7966-, 2020

      46 Webber, C., "A reflective account of using child-led interviews as a means to promote discussions about reading" 56 (56): 120-129,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