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세스 아트의 조형 전략과 방법론적 특성 = Formative Strategy and Methodology of Process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cess art examines the value of progression of art making, instead of art object itself as a result. This puts the creative journey of an author and his or her form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as central thematic concern. The notion of process postulates the problem of visualizing phenomena, which consists of flux, essentially the movement of time. Thus, the notion of time and presence is pivotal here, and subsequently the methodology devised for revealing and structuring the procession of their work. Artists involved in Process art consciously emphasize the function of their acts and following phenomena by descriptively writing out sequences of what they perceive and experience. Artists describe things as they appear and re-structuralize what they sense as it is, instead of represent reality through symbolization or emulation: this proclaims that the art is becoming, neither subjected to transcendental idea nor socioculturally pre-defined concept. Moreover, it is the subjective intention and following action that construct the concept of art. Thus artist’s cognition of body and its relation to time and spatial perception is critical. This study attempts to deduc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Process art by probing its formative strategy and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phenomenology.
      번역하기

      Process art examines the value of progression of art making, instead of art object itself as a result. This puts the creative journey of an author and his or her form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as central thematic concern. The notion of process post...

      Process art examines the value of progression of art making, instead of art object itself as a result. This puts the creative journey of an author and his or her form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as central thematic concern. The notion of process postulates the problem of visualizing phenomena, which consists of flux, essentially the movement of time. Thus, the notion of time and presence is pivotal here, and subsequently the methodology devised for revealing and structuring the procession of their work. Artists involved in Process art consciously emphasize the function of their acts and following phenomena by descriptively writing out sequences of what they perceive and experience. Artists describe things as they appear and re-structuralize what they sense as it is, instead of represent reality through symbolization or emulation: this proclaims that the art is becoming, neither subjected to transcendental idea nor socioculturally pre-defined concept. Moreover, it is the subjective intention and following action that construct the concept of art. Thus artist’s cognition of body and its relation to time and spatial perception is critical. This study attempts to deduc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Process art by probing its formative strategy and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phenome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프로세스 아트는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주제화함으로써 작가의 의식으로부터 발현되고 전개되는 창의적 여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조형예술에서 과정을 인식함은 유동적이고 살아있는 관계로 구성되는 시간성의 문제를 조형언어로 변환하는 문제를 상정하고 있다. 작가는 신체지각 활동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을 기술(記述)함으로써, 행위의 기능과 그에 따른 현상을 강조하고 그 경과를 인식시킨다. 이에 따라 작품이 만들어지는 절차를 투명하게 드러내고 구조화하는 방법들이 실험되었으며, 시간성과 현존(現存)적 태도가 강조되는 조형언어가 강구되어 왔다. 이는 주체의 의식에 나타나는 것, 지각하는 것, 경험 그 자체로 자신들이 인식하는 현(現) 상황을 기술함으로써, 사회문화적으로 고착된 미(美)의 개념에 묶이지 않고 작가 스스로가 인식 주체이자 표현주체임을 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세계에 대한 체험과 접촉을 회복하고자 주관적인 발전과정의 기술을 강조하였던 현상론을 배경으로 프로세스 아트의 조형적 특성과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프로세스 아트는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주제화함으로써 작가의 의식으로부터 발현되고 전개되는 창의적 여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조형예술에서 과정을 인식함은 유동적이고 살아있...

      프로세스 아트는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주제화함으로써 작가의 의식으로부터 발현되고 전개되는 창의적 여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조형예술에서 과정을 인식함은 유동적이고 살아있는 관계로 구성되는 시간성의 문제를 조형언어로 변환하는 문제를 상정하고 있다. 작가는 신체지각 활동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을 기술(記述)함으로써, 행위의 기능과 그에 따른 현상을 강조하고 그 경과를 인식시킨다. 이에 따라 작품이 만들어지는 절차를 투명하게 드러내고 구조화하는 방법들이 실험되었으며, 시간성과 현존(現存)적 태도가 강조되는 조형언어가 강구되어 왔다. 이는 주체의 의식에 나타나는 것, 지각하는 것, 경험 그 자체로 자신들이 인식하는 현(現) 상황을 기술함으로써, 사회문화적으로 고착된 미(美)의 개념에 묶이지 않고 작가 스스로가 인식 주체이자 표현주체임을 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세계에 대한 체험과 접촉을 회복하고자 주관적인 발전과정의 기술을 강조하였던 현상론을 배경으로 프로세스 아트의 조형적 특성과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2008

      3 "http://www.olafureliasson.net/works.html"

      4 "http://www.nytimes.com/2010/01/17/magazine/17seghal-t.html?ref=design"

      5 Doherty, Claire, "Situation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 The MIT Press 2009

      6 Sobieszek, Robert A, "Robert Smithson: Photo Works"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94

      7 Heathfield, Adrian, "Out of Now: The Lifeworks of Tehching Hsieh" The MIT Press 2009

      8 Sonfist, Alan, "Nature: The End Of Art. Environmental Landscapes"

      9 오병남, "M. Merleau-Ponty에 있어서의 예술과 철학: 눈과 마음을 중심으로" 24 (24): 1998

      10 Popper, Frank, "Art,Action and Participat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1975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2008

      3 "http://www.olafureliasson.net/works.html"

      4 "http://www.nytimes.com/2010/01/17/magazine/17seghal-t.html?ref=design"

      5 Doherty, Claire, "Situation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 The MIT Press 2009

      6 Sobieszek, Robert A, "Robert Smithson: Photo Works"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94

      7 Heathfield, Adrian, "Out of Now: The Lifeworks of Tehching Hsieh" The MIT Press 2009

      8 Sonfist, Alan, "Nature: The End Of Art. Environmental Landscapes"

      9 오병남, "M. Merleau-Ponty에 있어서의 예술과 철학: 눈과 마음을 중심으로" 24 (24): 1998

      10 Popper, Frank, "Art,Action and Participat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1975

      11 Arnheim, Rudolf, "Art and Visual Perception: A Psychology of the Creative Ey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12 Katz, Vincent, "A Genteel Iconoclas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