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손가정의 경제적 환경, 조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in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175 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153 teachers.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elf-esteem correlated positively with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 teacher-child closeness, and teacher-child dependence. Second, the paths from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o self-esteem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were mediated by teacher-child relationship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in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175 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153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in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175 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153 teachers.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elf-esteem correlated positively with economic status,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 teacher-child closeness, and teacher-child dependence. Second, the paths from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to self-esteem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were mediated by teacher-child relationshi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경제적 환경, 조부모의 양육행동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G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조손가정 조부모와 유아 175명 그리고 그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 각각 154명이며,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손가정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조부모의 양육행동 그리고 경제적 환경 그리고 교사-유아관계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경제적 환경, 조부모의 양육행동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G와 C도에 거주하고 ...

      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경제적 환경, 조부모의 양육행동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G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조손가정 조부모와 유아 175명 그리고 그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 각각 154명이며,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손가정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조부모의 양육행동 그리고 경제적 환경 그리고 교사-유아관계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운경,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정서적 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 26 (26): 43-59, 2005

      2 황윤경,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 서울시 중학교, 인문계고교 중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3 옥경희,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03-114, 2005

      4 옥경희,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55-65, 2005

      5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6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20 (20): 21-40, 1998

      7 김향은,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20 : 179-193, 1996

      8 통계청, "인구총조사"

      9 이진숙,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0 정대현,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1, 2006

      1 이운경,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정서적 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 26 (26): 43-59, 2005

      2 황윤경,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 서울시 중학교, 인문계고교 중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3 옥경희,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03-114, 2005

      4 옥경희,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55-65, 2005

      5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6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20 (20): 21-40, 1998

      7 김향은,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20 : 179-193, 1996

      8 통계청, "인구총조사"

      9 이진숙,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0 정대현,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1, 2006

      11 권인수,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6 (6): 212-223, 2000

      12 김남중, "소년소녀가정세대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4

      13 성지혜,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14 곽금주, "만 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83-98, 2007

      15 서현,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3-27, 2009

      16 양순미,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작용하는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51-167, 2011

      17 金英淑, "幼兒의 自我尊重感에 影響 주는 家庭環境의 諸變因"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18 Birch, S. H.,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35 : 65-79, 1997

      19 Harter, S.,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55 : 1969-1982, 1984

      20 Bradley, R. H.,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2 : Relations with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age 13" 72 : 1868-1886, 2001

      21 Wilson, M. N., "The black extended family : An analytical consideration" 22 : 246-256, 1986

      22 Pianta, R. C.,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33 : 444-458, 2004

      23 Bradley, R.,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53 : 371-399, 2002

      24 McLoyd, V. C., "Socioeconomic disadvantaged and child development" 53 (53): 520-521, 1998

      25 Dubowtiz, H., "School behavior of children in kinship care" 18 : 899-911, 1994

      26 Okpala, C. L., "Parental involvement, instructional expenditures, family socioeconomic attributes, and student achievement" 95 : 110-115, 2001

      27 Gershoff, E. T., "Income is not enough : Incorporating material hardship into models of income associations with parenting and chid development" 75 (75): 70-95, 2007

      28 Edwards, O. W., "Helping grandkin-Grand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 : Expand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35 (35): 173-181, 1998

      29 Hayslip, Jr. B.,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practice" 45 (45): 262-269, 2005

      30 Glass, J. C., "Grandparents parenting grandchildren : Extent of situation, issues involv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28 : 139-161, 2002

      31 Silverstain, N. M., "Grandparents and school : Issues and potential challenges, In To grandmother's house we go and stay : Perspectives on custodial grandparents" Springer 268-282, 1991

      32 Waldrop, D. P., "From grandparent to caregiver : The stress and satisfaction of raising grandchildren" 82 (82): 461-472, 2001

      33 Sui-Chu, E. H.,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eighth-grade achievement" 69 : 126-141, 1996

      34 Burchinal, M. R.,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from preschool through second grade : Family and classroom predictor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40 : 415-436, 2002

      35 Baker, J. A.,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44 (44): 211-229, 2006

      36 Dubowitz, H., "Children in kinship care : How do they fare" 16 : 85-106, 1994

      37 Edwards, O. W., "An attachment and school satisfaction framework for helping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23 (23): 125-138, 2008

      38 Fuller-Thomson, E.,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A National profile of 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25 (25): 109-118, 2000

      39 Soloman, J. C., ""To grandmother's house we go" :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35 : 386-394,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