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白雲 李奎報의 壯丁 시절을 배경으로 그의 가치관과 그 가치관으로 인해 삶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장정 시기와 중년 이후 의 삶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白雲 李奎報의 壯丁 시절을 배경으로 그의 가치관과 그 가치관으로 인해 삶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장정 시기와 중년 이후 의 삶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
본고는, 白雲 李奎報의 壯丁 시절을 배경으로 그의 가치관과 그 가치관으로 인해 삶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장정 시기와 중년 이후 의 삶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정기의 가치관이 이후의 삶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추론해 본 것이다.
백운의 장정 시절은 자신의 의지로 儒者의 선비정신을 추구했던 시기였다. 비록 무신 정권의 등장으로 그의 삶의 가치관인 유자로서의 현실 참여를 통해서 道를 바로 세우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선행 연구자들이 주장했던 ‘세상에 순응 해 출세하려는 완곡한 변화의 모습’과 ‘출사를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학적 역량을 발휘’한 것에 머물지는 않았다. 그의 20~30대 행적에는 유자의 선비정 신과 현실 참여적 의식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년 이후에는 참여적 의식 보다는 현실 순응이라는 삶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백운은 장정기의 유자적 삶의 가치관이 있었기에, 중년 이후의 삶에서 애민과 우국의 정서도 경우에 따 라 드러낼 수 있었다.
따라서 20~30대의 백운은 유자의 선비정신에 바탕을 둔 시기로 무신 정권의 순응과 무조건적 현실 도피적 삶보다는 현실 참여를 택한 유자로서 지성인의 역할을 지향했던 젊은 날의 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ues of Baekun Lee Kyu-bo during his Jangjeong (壯丁) period, how these values led to changes in his life, and how these changes influenced his overall way of living. Depending on whether Baekun conformed to the tim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ues of Baekun Lee Kyu-bo during his Jangjeong (壯丁) period, how these values led to changes in his life, and how these changes influenced his overall way of living. Depending on whether Baekun conformed to the times or actively responded to the changing social climate with his own will, his attitude and approach toward reality would have been different.
Upon analysis, it is evident that Baekun’s Jangjeong period was a time when he pursued a Confucian scholar’s spirit. Although the rise of the military regime prevented him from fully realizing his Confucian ideal of participating in reality to establish the Dao, he did not merely conform to the world for the sake of success or simply demonstrate his literary talents to advance in his career, as some previous researchers have suggested. Despite serving under the military regime out of necessity, his actions reflected a consciousness of active participation in reality. However, in his middle and later years, his mindset shifted from an emphasis on participation to a more passive adaptation to reality.
In his 20s and 30s, Baekun adhered to the spirit of a Confucian scholar, choosing engagement over passive conformity to the military regime or unconditional escapism. This phase of his life illustrates his aspiration to fulfill the role of an intellectual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ety.
한국 소설 중(中)역본에서의 문화소 번역 양상과 번역 전략 -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