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이천 송라마을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4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특성을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들은 1970년대 농촌 마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국가, 지도자, 마을이라는 3대 요소를 제시했다. 이 중에서 마을지도자의 역할을 강조한 연구들은 지도자 개인의 1인 리더십의 역할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의 리더십 구조를 1인 리더십뿐 아니라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도 분석하는 것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중앙회가 소장한 경기도 이천군 송라마을 기록물을 분석하고 마을 주민들을 인터뷰하였다. 송라마을은 1960-70년대에 여러 개의 ‘마을사업체’를 운영한 ‘발전’마을이다. 이 글에서는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나타난 리더십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96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에서 마을지도자의 ‘1인 리더십’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 197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팀’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가 분석되었다. 이 글은 사례연구를 통해 1970년대 한국농촌마을의 리더십 구조에 대한 이해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특성을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들은 1970년대 농촌 마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국가, 지도자, 마...

      이 글은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특성을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들은 1970년대 농촌 마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국가, 지도자, 마을이라는 3대 요소를 제시했다. 이 중에서 마을지도자의 역할을 강조한 연구들은 지도자 개인의 1인 리더십의 역할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의 리더십 구조를 1인 리더십뿐 아니라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도 분석하는 것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중앙회가 소장한 경기도 이천군 송라마을 기록물을 분석하고 마을 주민들을 인터뷰하였다. 송라마을은 1960-70년대에 여러 개의 ‘마을사업체’를 운영한 ‘발전’마을이다. 이 글에서는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나타난 리더십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96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에서 마을지도자의 ‘1인 리더십’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 197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팀’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가 분석되었다. 이 글은 사례연구를 통해 1970년대 한국농촌마을의 리더십 구조에 대한 이해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dership team. It is suggested three factors: the country, the leader, and the village as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in the 1970s by previous studies. Among them, there were studies emphasizing the role of village leaders, hey have emphasized the role of individual leader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a single leadership but also a leadership team. I analysed the records of Songra village, Icheon-gun, Gyeonggi-do, which are kept as Saemaul Undong Archives and interviews of village residents. Songra Village can be defined as a “development” village since several “village businesses” were operated in the 1960s and 1970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leadership structure that emerged around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in more detail, first,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single leadership was demonstrated in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centering on the 1960s. Secondly,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leadership team" was demonstrated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around the 197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sing through empirical data that many village residents formed a leadership team and played the role of a leader in the 1970s, overcoming emphasis on the leadership of one leader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Korean rural villages in the 1970s through case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dership team. It is suggested three factors: the country, the leader, and the village as factors that inf...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dership team. It is suggested three factors: the country, the leader, and the village as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in the 1970s by previous studies. Among them, there were studies emphasizing the role of village leaders, hey have emphasized the role of individual leader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a single leadership but also a leadership team. I analysed the records of Songra village, Icheon-gun, Gyeonggi-do, which are kept as Saemaul Undong Archives and interviews of village residents. Songra Village can be defined as a “development” village since several “village businesses” were operated in the 1960s and 1970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leadership structure that emerged around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in more detail, first,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single leadership was demonstrated in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centering on the 1960s. Secondly,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leadership team" was demonstrated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around the 197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sing through empirical data that many village residents formed a leadership team and played the role of a leader in the 1970s, overcoming emphasis on the leadership of one leader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Korean rural villages in the 1970s through case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과 사례 지역의 배경
      • Ⅳ. 마을사업체와 마을지도자의 역할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과 사례 지역의 배경
      • Ⅳ. 마을사업체와 마을지도자의 역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2 고건, "한국의 새마을운동: 그 성공요인과 이전가능성" 새마을운동중앙회 2010

      3 이만갑, "한국농촌의 사회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0

      4 이지연, "한 마을 노인회 여성들의 새마을운동 기억: 생애이야기 연구에서의 대화적 구축주의 접근방법을 통해서" 한국문화사회학회 26 (26): 105-159, 2018

      5 이세영, "풍덕마을의 새마을운동: 이세영 새마을 서훈지도자 수기" 서울문화인쇄 2003

      6 Creswell, John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7 문만용, "정미소에서 미곡종합처리장(RPC)까지 - 식량의 수확 후 관리기술의 변천과 농촌사회의 변화 -"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22, 2017

      8 박진환, "새마을운동의 점화과정"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종합연구소 135-166, 1981

      9 김영모, "새마을운동연구" 고현 2003

      10 골드스미스, 아더 A., "새마을운동에 있어서 대중참여와 농촌지도력"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 종합연구소 421-452, 1981

      1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2 고건, "한국의 새마을운동: 그 성공요인과 이전가능성" 새마을운동중앙회 2010

      3 이만갑, "한국농촌의 사회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0

      4 이지연, "한 마을 노인회 여성들의 새마을운동 기억: 생애이야기 연구에서의 대화적 구축주의 접근방법을 통해서" 한국문화사회학회 26 (26): 105-159, 2018

      5 이세영, "풍덕마을의 새마을운동: 이세영 새마을 서훈지도자 수기" 서울문화인쇄 2003

      6 Creswell, John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7 문만용, "정미소에서 미곡종합처리장(RPC)까지 - 식량의 수확 후 관리기술의 변천과 농촌사회의 변화 -"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22, 2017

      8 박진환, "새마을운동의 점화과정"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종합연구소 135-166, 1981

      9 김영모, "새마을운동연구" 고현 2003

      10 골드스미스, 아더 A., "새마을운동에 있어서 대중참여와 농촌지도력"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 종합연구소 421-452, 1981

      11 김영미, "새마을운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이제는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라 -" 한국학연구소 48 : 321-350, 2017

      12 한도현, "새마을운동 모범사례,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기획재정부·새마을운동중앙회·KDI 국제정책대학원 2012

      13 한도현, "박정희와 한국현대사" 도서출판 선인 358-377, 2006

      14 이환병, "모범 농민·마을의 성장과 농촌 새마을운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5 한도현, "마을지도자의 역할과 활동,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기획재정부·새마을운동중앙회·KDI 국제정책대학원 2013

      16 정기환, "농촌지역 사회자본의 존재 양태 분석: 농촌지역의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발전에 관한 1차 연도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17 허장, "농촌마을의 리더십 구조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1-83, 2002

      18 김기홍, "농촌‘마을’사회자본 탐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7-42, 2006

      19 최인이, "근대적 시간관념과 이윤개념의 내면화: 새마을부녀지도자의 노동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 111-143, 2011

      20 유정미, "국가 주도 발전에 참여한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새마을부녀지도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1 한상복, "공동체의식과 기업가정신, 새마을운동이론체계정립 연구논총2-역사, 경제, 사회 편" 새마을운동중앙본부 지역개발조사연구단 75-120, 1984

      22 장미경, "개발국가 시기,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의 정체성의 정치-새마을운동의 성공사례, 수기를 중심으로" 175-190, 2007

      23 Krishna, Anirudh,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The World Bank 2000

      24 한도현, "1970년대 새마을운동 연구에서 새 자료의 활용, 현대사 자료와 방법 I:새마을운동연구의 새 자료 발굴을 중심으로"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