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농민’의 교차성: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4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여성’ 또는 ‘농민’이라는 정체성에 일치하지 않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농민이 쓴 수기형식의 칼럼 122편을 분석하고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병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 다증상적 위기를 겪고 있는 농촌 지역은 기후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여성농민은 가중되는 농촌․농업의 위기와 성차별 관행으로 인해 농사일 고충, 빈곤, 몸 아픔을 겪고 있다. 특히 ‘모성 제도’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관통하는 억압기제로 작동한다. 여성농민의 농사일과 가사일, 마을을 돌보는 일은 ‘생산적 농업노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어머니의 일로만 간주된다. ‘제도화된 모성’으로 인해 여성농민은 비가시적 다중성역할을 수행하게 되지만, 여성농민에게 있어 "모성"은 대안적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기도 하다. 여성농민은 농사일을 ‘먹여서 살리는 일’, ‘생명을 돌보는 일’이라는 의미의 ‘생명농사’로 규정함으로써 ‘모성윤리를 실천하는 생산자’로서 자긍심을 살려낸다. 또한 실천행위의 주체로서 여성농민은 ‘할머니’를 가부장제의 피해자로만 규정하지 않고 ‘돌봄과 생태 가치를 실천하는 생산자’로 재현한다. 여성농민의 새로운 정체성은 생태위기를 가속화하는 소비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과 돌봄 공동체의 대안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여성’ 또는 ‘농민’이라는 정체성에 일치하지 않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

      이 연구는 ‘여성’ 또는 ‘농민’이라는 정체성에 일치하지 않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농민이 쓴 수기형식의 칼럼 122편을 분석하고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병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 다증상적 위기를 겪고 있는 농촌 지역은 기후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여성농민은 가중되는 농촌․농업의 위기와 성차별 관행으로 인해 농사일 고충, 빈곤, 몸 아픔을 겪고 있다. 특히 ‘모성 제도’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관통하는 억압기제로 작동한다. 여성농민의 농사일과 가사일, 마을을 돌보는 일은 ‘생산적 농업노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어머니의 일로만 간주된다. ‘제도화된 모성’으로 인해 여성농민은 비가시적 다중성역할을 수행하게 되지만, 여성농민에게 있어 "모성"은 대안적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기도 하다. 여성농민은 농사일을 ‘먹여서 살리는 일’, ‘생명을 돌보는 일’이라는 의미의 ‘생명농사’로 규정함으로써 ‘모성윤리를 실천하는 생산자’로서 자긍심을 살려낸다. 또한 실천행위의 주체로서 여성농민은 ‘할머니’를 가부장제의 피해자로만 규정하지 않고 ‘돌봄과 생태 가치를 실천하는 생산자’로 재현한다. 여성농민의 새로운 정체성은 생태위기를 가속화하는 소비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과 돌봄 공동체의 대안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sectionality of female × peasants who do not match the identities of "women" or "peasant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inequality and identities of female peasants. To this end, newspaper columns written by female peasants were analyzed,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Rural areas had already faced a multi-symptomatic crisis and now faced a climate crisis. Due to the growing crisis of rural and agricultural and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s, female peasants are suffering from agricultural labor, poverty, and physical pain. The oppression mechanism that penetrates the intersection of female peasants is "institutionalized maternal". Even if a female peasant does farming, housework, and village care, it is not recognized as ‘productive agricultural labor’, it is considered only a mother’s duty.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forces female peasants to play invisible multiple roles, while "motherhood" is also a source of women peasants to create alternative values. Farming by female peasants is interpreted as "life farming", which means "feeding and survival" and "taking care of fragile living things". Female peasants become proud as producers who practice maternal ethics. Female peasants do not define "grandmothers(elderly female farmers)" as the victim of patriarchy: They are redefined as "producers who realize the value of care and ecological value". The new identity of female peasants show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consumer capitalism accelerating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alternative of a caring commun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sectionality of female × peasants who do not match the identities of "women" or "peasant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inequality and identities of female peasants. To this end, newspaper columns w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sectionality of female × peasants who do not match the identities of "women" or "peasant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inequality and identities of female peasants. To this end, newspaper columns written by female peasants were analyzed,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Rural areas had already faced a multi-symptomatic crisis and now faced a climate crisis. Due to the growing crisis of rural and agricultural and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s, female peasants are suffering from agricultural labor, poverty, and physical pain. The oppression mechanism that penetrates the intersection of female peasants is "institutionalized maternal". Even if a female peasant does farming, housework, and village care, it is not recognized as ‘productive agricultural labor’, it is considered only a mother’s duty.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forces female peasants to play invisible multiple roles, while "motherhood" is also a source of women peasants to create alternative values. Farming by female peasants is interpreted as "life farming", which means "feeding and survival" and "taking care of fragile living things". Female peasants become proud as producers who practice maternal ethics. Female peasants do not define "grandmothers(elderly female farmers)" as the victim of patriarchy: They are redefined as "producers who realize the value of care and ecological value". The new identity of female peasants show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consumer capitalism accelerating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alternative of a caring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 배경
      • Ⅱ. 이론적 배경
      • Ⅲ. 교차적 불평등
      • Ⅳ. 여성농민의 새로운 정체성
      • Ⅴ. 결론
      • Ⅰ. 연구 배경
      • Ⅱ. 이론적 배경
      • Ⅲ. 교차적 불평등
      • Ⅳ. 여성농민의 새로운 정체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콜린스, 패트리샤 힐, "흑인 페미니즘 사상" 도서출판 여이연 2009

      2 권김현영, "혁명과 부역" 2018

      3 임영애, "한국여성농민운동사" 나무와 숲 2007

      4 이동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 여성의 정체성과 차이" 아시아여성연구원 43 (43): 47-73, 2004

      5 러딕, 사라(Sara Ruddick),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2010

      6 와츠맨, 주디(Wajcman, Judy), "페미니즘과 기술" 당대 2001

      7 통계청,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

      8 김흥주, "친환경 생산농가의 기후변화인식" 115-116, 2018

      9 김종철, "충남 남성 성평등 의식 실태 조사" 충남여성개발원 2015

      10 훅스, 벨(Hooks, Bell),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 북 2010

      1 콜린스, 패트리샤 힐, "흑인 페미니즘 사상" 도서출판 여이연 2009

      2 권김현영, "혁명과 부역" 2018

      3 임영애, "한국여성농민운동사" 나무와 숲 2007

      4 이동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 여성의 정체성과 차이" 아시아여성연구원 43 (43): 47-73, 2004

      5 러딕, 사라(Sara Ruddick),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2010

      6 와츠맨, 주디(Wajcman, Judy), "페미니즘과 기술" 당대 2001

      7 통계청,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

      8 김흥주, "친환경 생산농가의 기후변화인식" 115-116, 2018

      9 김종철, "충남 남성 성평등 의식 실태 조사" 충남여성개발원 2015

      10 훅스, 벨(Hooks, Bell),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 북 2010

      11 김영미,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 관점에서 본 일-가족 양립정책" 31 (31): 1-26, 2014

      12 버틀러, 주디스,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13 황경산, "젠더 불평등과 세계 식량 체계 :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의 식량주권 운동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3

      14 "전체 농가 절반에 농민수당, 농민 기본소득...‘농촌살리기’나선 지방정부"

      15 "우리는 ‘기혼페미’...가부장제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16 정대현,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17 모저, 캐롤린, "여성정책의 이론과 실천" 문원출판 2000

      18 농림축산식품부, "여성농업인실태조사" 2018

      19 박신규,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여성농민운동의 발전-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0 (20): 89-129, 2010

      20 이수미, "여성농민의 동등한 지위보장을 위한 공동경영주 제도 개선방향" 농업농민정책연구소 1-11, 2020

      21 장미경, "여성노동운동과 시민권의 정치" 아르케 2003

      22 시바, 반다나(Shiva, Vandana), "에코페미니즘" 창작과 비평사 2002

      23 로저스, 헤더(Rogers, Heather), "에코의 함정-녹색 탈을 쓴 소비 자본주의" 이후 2012

      24 박종주, "신자유주의 시대의 교차성 분석" 한국여성연구원 35 (35): 163-183, 2018

      25 달리, "손 함께 잡고, 목소리 더 크게: 농촌여성과 페미니즘" 35 : 262-272, 2016

      26 정숙정, "생애그래프를 통해 본 농촌여성노인의 생애과정유형과 생애사건" 한국농촌사회학회 28 (28): 7-45, 2018

      27 금인숙, "생명과학, 논란과 쟁점" 고두미 2016

      28 기든스, 앤서니,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 동녘 2015

      29 신경아,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교차적 차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33 (33): 77-118, 2017

      30 박미선, "미국 흑인 페미니스트 오드리 로드의 교차성 이론과 감정 연구" 미국학연구소 41 (41): 33-63, 2018

      31 리치, 아드리엔(Rich, Adrienne),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모성신화에 대한 반성" 평민사 2002

      32 황지영, "농촌여성독거노인의 이미지 -일, 여가, 관계, 그리고 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141-168, 2012

      33 정숙정, "농촌여성노인의 생애과정에 나타난 교차적 억압과 노년기 자아의 긴장" 한국사회학회 52 (52): 1-32, 2018

      34 박지은, "농촌가족노동의 분화와 여성의 역할" 한국농촌사회학회 30 (30): 65-121, 2020

      35 한국농정, "농식품부 ‘농촌여성정책팀’ 신설, 2020년 ‘과’ 승격돼야"

      36 윤수종, "농생태학은 어떻게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천하는가?" 251-258, 2018

      37 조옥라, "농민가족과 도시빈민가족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비교 연구" 24 : 67-94, 1992

      38 "나주시 여성농업인‘인문학’에 빠지다"

      39 하종식, "기후변화 폭염 대응을 위한 중장기적 적응대책 수립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40 강혜경, "근현대 한국사회 종부 연구 : 영남지역 종부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8

      41 유정미, "국가와 젠더-성쥬류화의 이론과 실천" 한울 아카데미 2009

      42 김보명, "교차성×페미니즘" 도서출판 여이연 2018

      43 한우리, "교차성×페미니즘" 도서출판 여이연 1998

      44 홍찬숙, "교차성 논의의 이론화 및 방법론적 쟁점: 사회학적 수용 및 유럽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12 (12): 7-39, 2019

      45 정숙정, "계절적 미등록이주노동자 유입 현황과 사회적 묵인(默認) : 감․곶감 주산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9 (29): 69-106, 2019

      46 임지연, "결혼 이주여성의 몸과 교차적 정치성" 겨레어문학회 (62) : 127-156, 2019

      47 윤예린,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48 Boserup, E., "Woman’s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Stmartins Press 1970

      49 Berry, H. L., "The case for systems thinking about climate change and mental health" 8 (8): 282-290, 2018

      50 Doherty. Thomas J.,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66 (66): 263-276, 2011

      51 Brandth, Berit, "The Gender of Agriculture"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1

      52 Skutnabb-Kangas, Tove, "Sharing a World of Difference-the Earth’s linguistic cultural and biological diversity" UNESCO 2003

      53 Bock, Bettina B., "Rural gender relations: Issues and case studies" CABI Publishing 2006

      54 Choo, Hae Yeon,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28 (28): 129-149, 2010

      55 Crenshaw, K. W.,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43 (43): 1241-1299, 1991

      56 Whatmore, S., "Life Cycle of Patriarchy? Gender Divisions in Family Farming" 7 (7): 71-76, 1991

      57 Alonso, Alba, "Intersectionality by other means? New equality policies in Portugal" 19 (19): 596-621, 2012

      58 Brandth, Berit, "Gender Identity in European Family Farming: A Literature Review" 42 (42): 181-200, 2002

      59 Hooks, Bell,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Routledge 1984

      60 Obradovich, N., "Empirical evidence of mental health risks posed by climate change" 115 (115): 10953-, 2018

      61 Symon, C., "Arctic climate impact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2 Brandth, Berit, "Agricultural body-building: incorporations of gender, body and work" 22 : 17-2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