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해공장으로 인한 농촌마을의 피해와 변화: 전북 익산 장점마을 주민의 구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4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해공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농촌 지역 환경오염 과정에서, 환경 변화와 주민 건강영향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민 구술을 통하여 파악하여,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장점마을이며,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비료 공장이 설립되어 운영되는 과정에서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고에서는 공장 가동 전과 후의 자연 및 생활환경의 변화조사를 통해 오염전후 외형적인 주민피해와 생활변화를 파악하였고, 환경문제로 인한 건강 및 질병 영향, 경제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을 통해 주민 피해와의 관계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장이 가동되면서 배출된 악취와 매연, 폐수가 주요 오염 영향원으로 작동되었으며, 이에 자연환경과 주민 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악취와 매연은 주간 외부 활동뿐만 아니라 야간 실내 휴식에서도 호흡 불편함과 많은 정신적 제약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마을 공동체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공장 폐수는 직접적으로 마을 수원지를 오염시켜 농작물을 죽이거나 상품성을 하락시키는 등 경제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자체에 수시로 민원을 제기하였고 개인 혹은 집단으로 저항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장, 주민 간의 갈등이 커지거나 새롭게 야기되었다. 특히 장기간의 오염영향으로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는데, 암 환자 및 암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환경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건강 훼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여론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주민(피해자)들의 ‘과거의 기억’을 중심으로 사건을 재구성하여 그 사회적 고통의 정도와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환경 악화에 따른 건강피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역학조사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환경문제 양상을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해공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농촌 지역 환경오염 과정에서, 환경 변화와 주민 건강영향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민 구술을 통하여 파악하여,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조...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해공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농촌 지역 환경오염 과정에서, 환경 변화와 주민 건강영향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민 구술을 통하여 파악하여,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장점마을이며,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비료 공장이 설립되어 운영되는 과정에서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고에서는 공장 가동 전과 후의 자연 및 생활환경의 변화조사를 통해 오염전후 외형적인 주민피해와 생활변화를 파악하였고, 환경문제로 인한 건강 및 질병 영향, 경제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을 통해 주민 피해와의 관계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장이 가동되면서 배출된 악취와 매연, 폐수가 주요 오염 영향원으로 작동되었으며, 이에 자연환경과 주민 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악취와 매연은 주간 외부 활동뿐만 아니라 야간 실내 휴식에서도 호흡 불편함과 많은 정신적 제약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마을 공동체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공장 폐수는 직접적으로 마을 수원지를 오염시켜 농작물을 죽이거나 상품성을 하락시키는 등 경제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자체에 수시로 민원을 제기하였고 개인 혹은 집단으로 저항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장, 주민 간의 갈등이 커지거나 새롭게 야기되었다. 특히 장기간의 오염영향으로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는데, 암 환자 및 암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환경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건강 훼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여론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주민(피해자)들의 ‘과거의 기억’을 중심으로 사건을 재구성하여 그 사회적 고통의 정도와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환경 악화에 따른 건강피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역학조사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환경문제 양상을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dents‘ dictation(oral statement), along with basic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lth impacts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rural areas caused by hazardous factories.
      The main research area is a small village(jang-jeom) located in Iksan-si, north province of Jeolla,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were reported to outbreak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fertilizer plant utilizing wastes from 2001 to 2017. In the oral process, external damage to residents and changes in life before and after pollution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 of changes in nature and living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factory operation.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residents" damage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s of disease impact, economic impact, and socio-cultural impact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when the factory started to operate, improperly discharged odors, smoke, and wastewater acted as major sources of pollution, which deteriorat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particular, odors and fumes caused breathing discomfort and many mental constraints not only during daytime outdoor activities but also during nighttime indoor breaks, which greatly affected the contraction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Factory wastewater directly polluted the village water source, killing crops or reducing marketability, and had an economic impact.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residents frequently filed complai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siste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but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factories, and residents reinforced or arose newly in the absence of a fundamental solution. Long-term pollution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health of residents, and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deaths continues to increase, social interest and public opinion about the irreversible damage to health due to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ave spontaneously formed. This study describes the degree and process of social suffering by reorganizing the incident by dicta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of the residents (victim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r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health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i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dents‘ dictation(oral statement), along with basic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lth impacts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dents‘ dictation(oral statement), along with basic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lth impacts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rural areas caused by hazardous factories.
      The main research area is a small village(jang-jeom) located in Iksan-si, north province of Jeolla,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were reported to outbreak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fertilizer plant utilizing wastes from 2001 to 2017. In the oral process, external damage to residents and changes in life before and after pollution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 of changes in nature and living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factory operation.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residents" damage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s of disease impact, economic impact, and socio-cultural impact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when the factory started to operate, improperly discharged odors, smoke, and wastewater acted as major sources of pollution, which deteriorat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particular, odors and fumes caused breathing discomfort and many mental constraints not only during daytime outdoor activities but also during nighttime indoor breaks, which greatly affected the contraction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Factory wastewater directly polluted the village water source, killing crops or reducing marketability, and had an economic impact.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residents frequently filed complai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siste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but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factories, and residents reinforced or arose newly in the absence of a fundamental solution. Long-term pollution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health of residents, and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deaths continues to increase, social interest and public opinion about the irreversible damage to health due to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ave spontaneously formed. This study describes the degree and process of social suffering by reorganizing the incident by dicta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of the residents (victim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r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health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i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 Ⅳ. 비료공장과 자연 및 생활 환경변화
      • Ⅴ. 환경오염과 주민 영향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 Ⅳ. 비료공장과 자연 및 생활 환경변화
      • Ⅴ. 환경오염과 주민 영향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균, "환경오염 사고의 이차적 피해와 복구과정: 장항제련소 주변 A마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67-295, 2014

      2 "함라 농업용 저수지 수질오염. 주민 원인 규명 촉구"

      3 박미옥, "한국지방정부의 환경보건 위해소통사업 활성화방안연구-전북 익산 장점마을과 인천 사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2 (32): 81-114, 2020

      4 "하늘지도"

      5 김도균, "피해자 삶의 복원을 위한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 오염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6 환경부, "전북 익산시 함라면(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2019

      7 국립환경과학원, "전북 익산시 함라면(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2018

      8 "전북 익산 장점마을은 왜 '암 집단 발병지'가 되었나"

      9 조성환, "장점마을에서 시작하는 지구인문학" 63 : 212-227, 2020

      10 "익산시, 친환경 장점마을 조성 후속 대책 적극 추진"

      1 김도균, "환경오염 사고의 이차적 피해와 복구과정: 장항제련소 주변 A마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67-295, 2014

      2 "함라 농업용 저수지 수질오염. 주민 원인 규명 촉구"

      3 박미옥, "한국지방정부의 환경보건 위해소통사업 활성화방안연구-전북 익산 장점마을과 인천 사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2 (32): 81-114, 2020

      4 "하늘지도"

      5 김도균, "피해자 삶의 복원을 위한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 오염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6 환경부, "전북 익산시 함라면(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2019

      7 국립환경과학원, "전북 익산시 함라면(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2018

      8 "전북 익산 장점마을은 왜 '암 집단 발병지'가 되었나"

      9 조성환, "장점마을에서 시작하는 지구인문학" 63 : 212-227, 2020

      10 "익산시, 친환경 장점마을 조성 후속 대책 적극 추진"

      11 "익산 장점저수지 폐수로 몸살"

      12 "익산 장점마을 주민들, 피해구제 신청 포기 소송 직행할 듯"

      13 "익산 장점마을 12개 후속 지원사업 윤곽"

      14 김미숙, "유해물질로 인한 농촌마을의 변화와 갈등- 전북 남원 내기마을의 건강역학조사 전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7 (27): 94-114, 2019

      15 "숨이라도 제대로 쉬고 살아야지"

      16 윤택림, "구술사와 역사학의 어색한 관계: 그 성과와 전망" 한국구술사학회 7 (7): 45-84, 2016

      17 정재욱, "구술사를 통해 본 지역의 역사와 지역재생의 방향성 : 서천군 장항읍 ‘황금정’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10 (10): 145-174, 2019

      18 김호연, "구술사(oral history)를 활용한 인문치료의 모색- 기억, 트라우마, 그리고 역사치료 -" 인문과학연구소 (24) : 361-383, 2010

      19 이호신, "구술사 연구와 기록관리, 녹취문을 넘어서" 한국구술사학회 8 (8): 97-129, 2017

      20 감사원, "감사보고서-익산 장점마을 집단 암 발생 사건 관련 지도감독 실태-" 2000

      21 나경희, "‘집단암’은 왜 발생했을까" 2020

      22 "[익산] 비료공장 악취우려 주민 반발"

      23 Warren, Rovert E., "Restoring the human voice to oral history: The Audio-Video Bam Website" 40 (40): 107-125, 2013

      24 "99명중 22명 암 발병 익산 장점마을...원인은 비료공장"

      25 익산시, "(유)금강농산 및 주변환경 오염실태 예비조사"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