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일청년 최규창의 삶과 투쟁 = Choi Gyu-Chang’s Life and Stugg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4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생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자 최규창에 대한 연구였다. 최규창은 영암 구림에서 성장했고, 아동기에 3.1운동을 겪었다. 본격적인 항일운동 참여로 총 3차례 옥고를 치렀다. 학생...

      이 연구는 학생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자 최규창에 대한 연구였다. 최규창은 영암 구림에서 성장했고, 아동기에 3.1운동을 겪었다. 본격적인 항일운동 참여로 총 3차례 옥고를 치렀다. 학생맹휴(1928), 광주학생독립운동(1929), 영암농민운동(1932)을 겪은 후 그가 직면한 두 개의 현실은 민족의 운명에 대한 책임과 부친의 사망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처지였다.
      항일은 긴 투옥으로 이어졌고, 가족의 비극과 가난을 수반했다. 광주학생운동으로 두 번의 옥고를 치르고, 1931년 동아일보 기자가 되지만, 1932년 영암농민운동으로 투옥된다. 1937년 호남평론 광주특파원을 맡지만 중일전쟁으로 활동이 중단된다. 1939년 전남도청 촉탁을 맡았고 사상보국동맹에 참여했지만 대화숙이나 일본 감시당국의 예방구금에 동원되고 감시당했다. 그는 학파농장에 의탁도 해보고, 양복점도 운영했지만 궁핍을 개선할 수 없었다.
      해방 후 그는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46년 호남신문 기자가 되었다. 그후 1948년 겨울 조선중앙일보 기자가 된다. 좌우갈등 속에서 그는 잘 적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1949년 여름 갑자기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는 항일투사였지만, 철저한 사회주의자는 아니었다. 그의 삶이 항일활동을 통해 충분히 대변되지는 않는다. 시련의 시기에 따라 처세했지만 그렇다고 친일의 길로 가지도 않았다. 최규창의 삶과 죽음은 당시 호남청년의 삶의 일부를 반영한다. 우리는 시대 상황과 아픔을 통해 그 시대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about the life of Choi Kyu-chang, a student activist and a farmer's activist. Choi grew up in Yeongam Gurim, He was imprisoned for three times by anti-Japanese movement that including Student Solidarity(1928),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he study is about the life of Choi Kyu-chang, a student activist and a farmer's activist. Choi grew up in Yeongam Gurim, He was imprisoned for three times by anti-Japanese movement that including Student Solidarity(1928), the Gwangju Student Movement(1929), and the Yeongam peasant uprising (1932). He faced to The two realities which is family responsibilities and national responsibility.
      The day led to long imprisonment, accompanied by family tragedy and poverty.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Dong-A Ilbo in 1931, but he was imprisoned for the farmers' movement, and became a special correspondent for the Honam Criticism in 1937, but was suspended due to the second Sino-Japanese War. he was commissioned by the South Jeolla provincial government in 1939, but was detained in the Sasang Security Alliance(思想報國聯盟) and Gwangju Daehwasuk(光州大和宿). He leaned on a school farm and ran a tailor's shop, but It can’ not improve poverty.
      After his liberation, he joined the committee and became a reporter for the Honam newspaper in 1946. Then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Chosun JoongAng Ilbo in the winter of 1948. He didn't adjust well in the conflict. But in the summer of 1949, he suddenly died of pneumonia. He was an anti-Japanese fighter, but he was not a complete socialist. His life is not fully represented through anti-Japanese activities. Despite the circumstances of the ordeal, he did not go to the path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Choi's life and death reflect part of the tragedy. We can approach the truth of the time through its reality and pai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채, "횃불 반세기 나의 증언"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3 김호일, "한국근대 학생운동사" 선인 2005

      4 박찬승, "전남지방의 3.1운동과 광주학생운동" 9 : 1995

      5 박이준, "전남지방 3․1운동의 성격" 96 : 2001

      6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탐구당 2001

      7 박준채, "이름없는 별들" 고려원 1988

      8 조동걸, "우사 조동걸전집" 역사공간 2011

      9 영암문화원, "영암의 땅 이름" 영암문화원 2006

      10 왕재일, "성진회 창설자 왕재일씨의 회고록"

      1 정우채, "횃불 반세기 나의 증언"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3 김호일, "한국근대 학생운동사" 선인 2005

      4 박찬승, "전남지방의 3.1운동과 광주학생운동" 9 : 1995

      5 박이준, "전남지방 3․1운동의 성격" 96 : 2001

      6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탐구당 2001

      7 박준채, "이름없는 별들" 고려원 1988

      8 조동걸, "우사 조동걸전집" 역사공간 2011

      9 영암문화원, "영암의 땅 이름" 영암문화원 2006

      10 왕재일, "성진회 창설자 왕재일씨의 회고록"

      11 광주고보․서중동창회, "동창회명부"

      12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13:학생독립운동사" 1977

      1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9: 학생독립운동사" 고려서림 1977

      14 박준채, "독립시위로 번진 한일학생 충돌" 1969

      15 이기홍, "내가 사랑한 민족, 나를 외면한 나라" 선인 2016

      16 구림초등학교, "내 고장 영암에는"

      17 안종철, "근현대 형성과정의 재인식(1)" 중원문화 2010

      18 정근식, "구림연구 : 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경인문화사 2003

      19 향토문화진흥원, "구림 : 왕인과 도선의 마을" 향토문화진흥원 1992

      20 한규무, "광주학생운동" 독립기념관 2009

      21 최성원, "광주학생운동의 주역들" 1981

      22 이기홍, "광주학생운동의 전후는 이렇다" 1985

      23 김성보, "광주학생운동과 사회주의 청년·학생조직" 4 : 1989

      24 정동수, "광주학생운동 배후엔 성진회가 있었다"

      25 이기호, "광주학생독립운동정사" 전남대출판부 1998

      26 장우권,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진상" 동인출판문화원 2014

      27 최성원,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들" 고려원 2001

      28 이기홍,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전국학생독립운동이었다" 향지사 1997

      29 김성민, "광주학생독립운동연구" 국민대 2007

      30 양동주, "광주학생독립운동사" 호남출판사 1956

      31 광주학생독립운동동지회, "광주학생독립운동사" 국제문화 1974

      32 박찬승,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나주" 경인문화사 2001

      33 전남일보 광주전남현대사기획위원회, "광주전남현대사" 실천문학사 1991

      34 최진, "격랑, 역사의 현장에서" 학생독립운동연구단 2010

      35 鳩林大洞契舍復元推進委員會, "鳩林大洞契誌"

      36 高等法院檢事局, "鮮盟休事件とその刑事判決"

      37 "高等法院刑事部 判決文(1934.5.10) 昭和九年刑上第35號"

      38 국사편찬위원회, "韓國民族解放運動資料集 10" 국사편찬위원회 1993

      39 한규무, "醒進會의 조직과 활동에 대한 재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2) : 61-88, 2004

      40 최민섭, "鄕土는 나의 祖國이다"

      41 佐堀 伸三, "若き抗日の 群象" 文芸社 2000

      42 金正祥, "湖南節義史" 靑磁文化史 1961

      43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官報430號"

      44 京城地方法院檢事局, "思想ニ關スル情報"

      45 "大丘覆審法院 判決文(1934.3.7) 昭和八年刑拱公第627,628號"

      46 "大丘覆審法院 判決文(1931.6.13) 昭和五年刑拱公第880,881號"

      47 "光州學生事件犯罪者身元調" 1 (1): 1931

      48 "光州地方法院 長興支廳 判決文"

      49 "光州地方法院 豫審終結(1930.7.26) 昭和四年豫第52號,昭和五年豫第6,7,12,24號"

      50 "光州地方法院 豫審終結(1930.7.17) 昭和四年豫第52號,昭和五年豫第1,2,4,6,12,23號"

      51 "光州地方法院 木浦支廳 豫審終結決定(1933.6.22) 昭和七年豫第十二號,一五號"

      52 "光州地方法院 木浦支廳 判決文(1933.9.29) 昭和七年刑拱公第627,628號"

      53 "光州地方法院 判決文(1930.10.27) 昭和五年刑拱公第47號"

      54 "光州地方法院 判決文(1930.10.18) 昭和五年刑拱公第46號"

      55 "光州地方法院 判決文(1928.10.5) 昭和三年刑拱公第864, 891號"

      56 한규무, "‘광주학생운동’ 관련명칭의 용례와 의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 283-319, 2009

      57 김성민, "1929 광주학생운동" 역사공간 2014

      58 이상식, "1920년대의 광주지방과 학생운동" 64 : 1995

      59 이상식, "1920년대의 광주지방과 학생운동" 64 : 1995

      60 김동춘, "1920년대 학생운동과 맑스주의" 5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