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의 남용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마약류남용자의 숫자나 정도 및 이와 연계된 범죄조직의 규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는 건강사회의 장애, 가정의 파괴, 실업,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80783
송광섭 (원광대학교)
2009
English
약물(마약) ; 약물위반 ; 메스암페타민 ; 코카인 ; 대마초 ; 마리화나. Drug ; Drug offence ; Methamphetamine ; Cocaine ; Cannabis ; Marijuana.
KCI등재
학술저널
9-38(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마약류의 남용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마약류남용자의 숫자나 정도 및 이와 연계된 범죄조직의 규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는 건강사회의 장애, 가정의 파괴, 실업, 인...
마약류의 남용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마약류남용자의 숫자나 정도 및 이와 연계된 범죄조직의 규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는 건강사회의 장애, 가정의 파괴, 실업, 인력의 손실, 이들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사회보장 비용의 지출 등 경제 전반에 직접‧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국력약화와 전 국민의 정신적‧신체적 황폐화를 초래한다. 또한 마약류 남용으로 인한 환각상태에서의 강력범죄의 범행, 금단증상에 의한 동기 없는 범죄, 마약류 구입자금 마련을 위한 강력사범의 증가 등 심각한 사회병리현상으로 전이된다. 현재 한국의 마약류관련범죄는 숫자상으로는 안전지대로 볼 수 있으나, 체감으로 느끼는 범죄의 심각성은 이미 안전정도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최근 마약류단속인원의 증가, 마약류 남용 계층의 확산, 마약류 압수량의 급증, 마약류 공급선의 다변화‧다양화 추세, 조직폭력배의 마약류 범죄개입, 외국인 마약사범의 증가 현상은 한국이 더 이상 마약의 안전지대가 될 수 없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마약류범죄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한국이 그동안 어렵게 지켜온 마약안전지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마약류 남용국가로 전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마약수사 역량강화를 위한 예산과 인력의 대폭 확충 및 재범방지를 위한 마약류 중독자 치료․재활센터 보강 등 범정부적 차원의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마약류범죄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국민 모두가 마약류범죄에 대한 감시자가 되어 신고와 협조체제가 이루어진다면 마약류범죄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 될 것이다. 또한 마약류범죄에 대한 국제적 정보교환 및 사법공조 등 협력체제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한국의 수사당국은 이를 위해 적극적․능동적으로 이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인, "마약류사용사범에 대한 치료재활시스템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93-124, 2005
2 "http://www.usdoj.gov/dea/"
3 "http://www.nzhis.govt.nz"
4 "http://www.nic.or.kr"
5 "http://www.myd.govt.nz"
6 "http://www.fbi.gov/"
7 "http://www.drugfree.or.kr"
8 "http://www.albanylawjournal.org"
9 "http://spo.go.kr/kor/depart/drug/main.jsp"
10 "http://nzdf.org.nz/party-pills"
1 이덕인, "마약류사용사범에 대한 치료재활시스템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93-124, 2005
2 "http://www.usdoj.gov/dea/"
3 "http://www.nzhis.govt.nz"
4 "http://www.nic.or.kr"
5 "http://www.myd.govt.nz"
6 "http://www.fbi.gov/"
7 "http://www.drugfree.or.kr"
8 "http://www.albanylawjournal.org"
9 "http://spo.go.kr/kor/depart/drug/main.jsp"
10 "http://nzdf.org.nz/party-pills"
11 "http://drugcci.or.kr"
12 Sang Hee,Kim,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al Plans of Drug Control Policy in Korea"
13 David D,Tawil, "Ready? induce. sting!: Arguing for the government’s burden of proving readiness in entrapment cases" 98 (98): 2371-, 2000
14 Eun Seok,Cho, "Rapid Spreading of Drugs and Directions for Drug Control Policy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15 Bruce K,Alexander, "Peaceful measures: Canada’s way out of the ‘war on drug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16 Eung Ryul,Choi,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Drug addicted Inmates, Correction Review"
17 Robert T,Thetford, "Entrapment problems in handling informants. ICJE Feature Article"
18 "Drug related crime statistics report released by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2007
19 Kwang Soub,Song, "Criminology and criminal policy"
20 Eun Young,Kang, "An Empirical Study on Drug Abuse and Demand Reduction Strategies"
21 Bang Sik,Song, "A Study on the Current Treatment Situation of Prisoners who Committed Drug-related Crimes"
22 Eui Gi,Shin, "A Study on Definitions of Drug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법학연구 -> 원광법학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545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