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87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 접종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언론과 국민들이 관련 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메시지를 형성하였는지 알아보고, 정책홍보에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 정책 홍보에 있어 백신의 부작용 및 안전성 논란이라는 위험 요소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한 당면 과제로 보았다. 이에,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이 시작되기 전 6개월을 1기(정책결정 단계)로, 무료 접종이 실시된 후 6개월을 2기(정책집행 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여,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및 안전성 논란이라는 위험 요소에 대해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하였는지,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떤 메시지들이 확산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기사 314건을 내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하고,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페이스북 메시지 806건을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언론보도와 페이스북 메시지에 대한 분석 결과, 1기보다 2기에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언론보도 기사량과 페이스북 메시지가 급증하였으며, 특히 SNS를 통해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논란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에서는 1기보다 2기에 자궁경부암 백신이 안전하다는 주장과 그 근거 제시가 늘었고,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정부 부처가 주 정보원으로 나타났다. 2기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백신의 효과를 부각시키면서 접종을 권유한 내용이 언론보도의 한 축을 이루었다. 반면 페이스북 상에서는 1기와 2기 모두 백신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을 표출하는 메시지가 주를 이루었으며, 백신 접종에 대해 더 알아봐야 한다는 주장과 정부의 정책에 대한 불신과 의심을 표명하는 메시지, 접종 자체를 하지 말 것을 권하는 메시지들 또한 주로 형성되었다.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이 실시된 지 약 1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대상자에 대한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홍보에 있어 수혜자들의 정책에 대한 인식과 의견에 대한 적극적인 파악과 이들과의 소통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페이스북 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기사의 댓글이나 다른 유형의 SNS 상에서 확산된 자궁경부암 백신 관련 메시지들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하고, 실제 공중의 의견에 대해 인터뷰나 설문을 통해 파악하여 이를 정책홍보 전략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 접종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언론과 국민들이 관련 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메시지를 형성...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 접종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언론과 국민들이 관련 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메시지를 형성하였는지 알아보고, 정책홍보에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 정책 홍보에 있어 백신의 부작용 및 안전성 논란이라는 위험 요소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한 당면 과제로 보았다. 이에, 만 12세 여아에 대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이 시작되기 전 6개월을 1기(정책결정 단계)로, 무료 접종이 실시된 후 6개월을 2기(정책집행 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여,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및 안전성 논란이라는 위험 요소에 대해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하였는지,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떤 메시지들이 확산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기사 314건을 내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하고,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페이스북 메시지 806건을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언론보도와 페이스북 메시지에 대한 분석 결과, 1기보다 2기에 자궁경부암 백신 안전성 관련 언론보도 기사량과 페이스북 메시지가 급증하였으며, 특히 SNS를 통해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논란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에서는 1기보다 2기에 자궁경부암 백신이 안전하다는 주장과 그 근거 제시가 늘었고,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정부 부처가 주 정보원으로 나타났다. 2기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백신의 효과를 부각시키면서 접종을 권유한 내용이 언론보도의 한 축을 이루었다. 반면 페이스북 상에서는 1기와 2기 모두 백신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을 표출하는 메시지가 주를 이루었으며, 백신 접종에 대해 더 알아봐야 한다는 주장과 정부의 정책에 대한 불신과 의심을 표명하는 메시지, 접종 자체를 하지 말 것을 권하는 메시지들 또한 주로 형성되었다.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무료접종이 실시된 지 약 1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대상자에 대한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홍보에 있어 수혜자들의 정책에 대한 인식과 의견에 대한 적극적인 파악과 이들과의 소통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페이스북 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기사의 댓글이나 다른 유형의 SNS 상에서 확산된 자궁경부암 백신 관련 메시지들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하고, 실제 공중의 의견에 대해 인터뷰나 설문을 통해 파악하여 이를 정책홍보 전략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prevent cervical cancer, free vaccination against cervical cancer(HPV vaccine) for 12-year-old girls has been ongoing since June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dia and the public perceive the HPV vaccine related polic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olicy PR.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ed communication about the risk factors of vaccine side effects and safety controversy as the main challenge to increase vaccination rate. The time frame was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1(policy formation stage, 6 months before the start of free HPV vaccination) and stage 2(policy execution stage, 6 months after the free HPV vaccination was implemented). We analyzed how the media reported the risk factors of HPV vaccine side effects and safety controversy, and how messages were spread through social media. A total of 314 news articles on HPV vaccine safety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806 Facebook messages related to HPV vaccine safety were network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news articles and Facebook messages showed that the number of news articles and Facebook messages related to the safety issue of HPV vaccine surged at the stage 2, and the controversy about HPV vaccine side effects was spread especially
      번역하기

      In order to prevent cervical cancer, free vaccination against cervical cancer(HPV vaccine) for 12-year-old girls has been ongoing since June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dia and the public perceive the HPV vaccine relate...

      In order to prevent cervical cancer, free vaccination against cervical cancer(HPV vaccine) for 12-year-old girls has been ongoing since June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dia and the public perceive the HPV vaccine related polic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olicy PR.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ed communication about the risk factors of vaccine side effects and safety controversy as the main challenge to increase vaccination rate. The time frame was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1(policy formation stage, 6 months before the start of free HPV vaccination) and stage 2(policy execution stage, 6 months after the free HPV vaccination was implemented). We analyzed how the media reported the risk factors of HPV vaccine side effects and safety controversy, and how messages were spread through social media. A total of 314 news articles on HPV vaccine safety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806 Facebook messages related to HPV vaccine safety were network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news articles and Facebook messages showed that the number of news articles and Facebook messages related to the safety issue of HPV vaccine surged at the stage 2, and the controversy about HPV vaccine side effects was spread especial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