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Protection Policy in Korea: Focusing on the Enactment Process of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3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3년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사례를 통해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 옹...

      본 연구는 2013년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사례를 통해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 옹호연합모형(ACF)에 근거하여 외적요인, 정책하위체제 내 요소들을 구조화하고 정책산출을 분석하였다. 친권제한에 초점을 맞추어 친권제한에 대한 적극적 옹호연합과 소극적 옹호연합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동학대처벌법」 제정 찬성이라는 동일한 신념체계를 가진 민간단체 중심 옹호연합의 다양한 전략들이 여론의 흐름을 변화시켜 법 제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동학대처벌법」이라는 정책산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아동보호정책 변동과정 학습기회 제공, 정책옹호연합모형 적용 정책분야 확대, 정책옹호연합모형의 타당성 증명이며, 정책적 함의로는 법적ㆍ제도적 문제점 개선, 부처 간 정보공유 및 공조체계 구축, 훈육 및 체벌에 대한 교육시행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protection policy in Korea through the case of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2013. Based o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model, the external ...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protection policy in Korea through the case of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2013. Based o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model, the external parameters and the element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were structured. In addition, policy output was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a coalition that pass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and a coalition that act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Various strategies of the coalition centered on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same belief system of support for enacting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changed the flow of public opinion, positively affecting the legislation. Through this,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was finally enact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learning in child protection policy variations, the expansion of ACF applicable policy areas, and the validity of the ACF. Policy implications included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ystems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n awareness of discipline and corporal punish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숙, "「피해아동보호 및 가족기능 회복을 위한 법의 책임」, 아동학대없는 세상 어떻게 만들것인가?" 2012

      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아동학대의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 관련법」 제정 관련 공청회 자료집" 2013

      3 유명미,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내용 검토와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소 35 (35): 277-305, 2021

      4 여성신문, "힘을 모으니 여론이 되었습니다"

      5 "형사소송법(법률 제17572호)"

      6 "형법(법률 제17511호)"

      7 유정호,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259-294, 2017

      8 허남순, "한국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을 위한 특례법 시행 이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1-19, 2015

      9 김형모, "한국 아동보호체계의 성과와 과제"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239-266, 2014

      10 이상희, "한·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25-248, 2008

      1 이명숙, "「피해아동보호 및 가족기능 회복을 위한 법의 책임」, 아동학대없는 세상 어떻게 만들것인가?" 2012

      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아동학대의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 관련법」 제정 관련 공청회 자료집" 2013

      3 유명미,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내용 검토와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소 35 (35): 277-305, 2021

      4 여성신문, "힘을 모으니 여론이 되었습니다"

      5 "형사소송법(법률 제17572호)"

      6 "형법(법률 제17511호)"

      7 유정호,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259-294, 2017

      8 허남순, "한국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을 위한 특례법 시행 이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1-19, 2015

      9 김형모, "한국 아동보호체계의 성과와 과제"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239-266, 2014

      10 이상희, "한·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25-248, 2008

      11 통계청,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12 박종택, "학대피해아동 보호 및 치료를 위한 법체계의 방향" 보건복지부 2012

      13 조선일보, "하늘로 소풍간 아이를 위한 모임"

      14 경남여성신문, "하늘로 소풍간 아이를 위한 모임"

      15 통계청, "피해아동현황"

      16 통계청, "피해아동 가족유형"

      17 오정수, "피학대아동의 권리보장과 공적 친권개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29-57, 2006

      18 진도왕, "피학대아동에 대한 법적 보호 - 민법상 친권제한제도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8 (18): 1-30, 2015

      19 권정희, "친권의 상실선고" (9) : 279-297, 1995

      20 최진섭, "친권상실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10) : 379-406, 1996

      21 최진섭, "친권법의 쟁점과 개정 방향" 한국가족법학회 16 (16): 3-122, 2002

      22 베이비뉴스, "친권 남용에 의한 아동학대 막아야"

      23 울주 아동학대사망사건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위원회, "취지문 : 「울주 아동학대사망사건 진상조사와 제도개선 위원회를 구성하며」"

      24 이영숙, "최근 아동학대의 특징과 관련 예산의 개선 방안" 296 : 48-64, 2021

      25 김명환, "지방정부의 정책변동 분석 - 원주시청사 이전사업의 사례 -"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155-173, 2010

      26 김슬기, "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01-229, 2014

      27 국회사무처, "제321회 국회(임시회) 법제사법위원회회의록(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제1호 (2013년 12월 16일)"

      28 국회사무처, "제321회 국회(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제3호 (2013년 12월 31일)"

      29 국회사무처, "제315회 국회(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 제1호 (2013년 4월 12일)"

      30 국회사무처, "제301회 국회(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법안심사소위원회) 제3호 (2011년 6월 21일)"

      31 국회사무처, "제301회 국회(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법안심사소위원회) 제2호 (2011년 6월 20일)"

      32 김순양, "정책하위체재내 옹호연합의 형성과 정책중개자" 한국행정연구원 15 (15): 43-78, 2006

      33 정지원, "정책옹호연합모형을 통한 동남권 신공항 입지갈등 사례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47, 2012

      34 전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5 (25): 1-28, 2014

      35 박정원,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한 정책변동 분석: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5 (35): 115-154, 2021

      36 이재무, "정책변동 분석모형을 활용한 정책변화 예측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유아 교육복지 관리체계의 일원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2 (52): 31-58, 2014

      37 남상민, "정책과정에서의 NGO: 정책옹호동맹체모형(ACF)과 새만금 사업에서의 NGO 역할" 한국정책학회 14 (14): 28-53, 2005

      38 김순양, "정책과정분석과 옹호연합모형-이론적・실천적 적실성 검토" 한국정책학회 19 (19): 35-70, 2010

      39 법률뉴스, "자녀도 직접 친권정지 청구 가능하게"

      40 강동욱, "일본에서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체제와 법제도" 한국법정책학회 10 (10): 911-928, 2010

      41 전진석, "의약분업 정책변화에 대한 연구: 정책옹호연합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정책학회 12 (12): 59-88, 2003

      42 장인협, "유아복지론" 양서원 1990

      43 베이비뉴스, "울주 아동학대사망사건 진상조사・제도개선 위원회 발족"

      44 라포르시안, "울주 아동학대 사망 사건, 의료인의 신고의무를 묻다"

      45 이은주, "우리나라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서비스 개선방안"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9) : 73-94, 2016

      46 윤혜미, "우리나라 아동학대예방센터 활동분석과 아동보호서비스 개선을 위한 논의" 한국아동복지학회 (15) : 7-38, 2003

      47 정세희, "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해 본 기업형 수퍼마켓(SSM) 규제정책변동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23-52, 2012

      48 김순양, "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한 양성평등 정책형성과정의 동태성 분석: 호주제폐지논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01-132, 2009

      49 베이비뉴스, "영유아 건강검진 강화해 아동학대 조기발견해야"

      50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제17641호)"

      51 문영희, "아동학대의 의의와 실태 및 대처방안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27) : 529-549, 2009

      52 탁희성, "아동학대의 실태와 사법적 대응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53 이호균, "아동학대의 실태 및 법적 한계와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30, 2006

      54 양혜원, "아동학대와 부모의 친권에 관한 문제 —영·미제도의 시사점—" 한국가족법학회 27 (27): 245-276, 2013

      55 이은주, "아동학대보호체계의 변화와 개선방안"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 (20): 69-85, 2015

      56 강동욱, "아동학대범죄의 처벌에 관한 비판적 검토-「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8 (38): 159-190, 2014

      57 법제사법위원회, "아동학대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법안 심사보고서" 2013

      58 법제사법위원회,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안 검토보고 – 안홍준의원 대표발의 (2012.9.4.)" 2013

      59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법률 제17932호, 2021.3.16., 일부개정)"

      60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법률 제12341호, 2014.1.28., 제정)"

      61 박호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논의에 대한 고찰- 정신장애자의 처우를 중심으로 -" 한국피해자학회 25 (25): 123-146, 2017

      62 김성희, "아동학대범, 최고‘무기징역’까지 가중처벌!" 대한법무사협회 (561) : 2014

      63 베이비뉴스, "아동학대, 그건 아이를 죽이는 일이다"

      64 메디컬 옵저버, "아동학대 현황과 입법적 개선과제 토론회 개최"

      65 김은정, "아동학대 현황과 예방정책" 233 (233): 31-43, 2016

      66 전경숙, "아동학대 특례법 시행 후 현장변화와 대응체계의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8 (8): 475-503, 2016

      67 울산매일, "아동학대 특례법 마련 하루가 급하다"

      68 관계부처 합동,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조기발견・보호 종합대책(안), 제5차 아동정책조정위원회 의결안건(제5-1호)" 2014

      69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회,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인권보호 정책개선 권고" 2016

      70 박지영,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5 (35): 171-198, 2021

      71 김상용, "아동학대 방지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새로운 법체계의 구축을 위한 연구" 법학연구원 36 (36): 65-126, 2012

      72 보건복지위원회, "아동학대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 – 정우택의원 대표발의(의안번호 445) - 검토보고" 2013

      73 보건복지위원회, "아동학대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에 관한 법률안 – 남인순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588) - 검토보고" 2013

      74 베이비뉴스, "아동학대 관련법 이대로는 안 된다"

      75 김희균, "아동학대 관련 법률의 개정방향 ― 보호자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7 (27): 265-296, 2020

      76 김승권, "아동청소년정책 5개년 기본계획"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77 "아동복지법(법률 제17784호)"

      78 보건복지위원장, "아동복지법 전부개정법률안(대안) 의안번호 12409"

      79 이진숙, "아동 양육수당에 대한 정책옹호연합(Policy Advocacy Coalition)의 동학 - 정책담론을 통한 한국과 독일의 비교" 한독사회과학회 27 (27): 3-26, 2017

      80 통계청, "신고접수 건수"

      8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법률 제17507호)"

      82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7895호)"

      83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법률 제17931호)"

      84 전진석, "새만금 간척사업의 정치경제와 정책옹호연합모형" 14 (14): 207-234, 2003

      85 뉴스원, "새누리 아동특위 “아동학대, 사회서비스 차원의 접근 필요”... 8월 중순께 법안 발의"

      86 "빅카인즈"

      87 울주 아동학대사망사건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위원회, "보도자료 : 「아동보호체계의 제도적 허점과 소극적 대처 맞물려 사망 막지 못해」"

      88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보건복지부, 2019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발간」"

      89 김상용,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법" 40 (40): 453-475, 1999

      90 박주영, "법원의 개입을 통한 강제적 친자분리제도에 관한 고찰 ―일본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2 (22): 167-204, 2008

      91 "민법(법률 제17905호)"

      92 "민법(법률 제10429호, 2011. 3. 7., 일부개정)"

      93 연합뉴스, "딸 숨지게한 계모 엄벌 촉구하는 자발적 서명 확산"

      94 뉴시스, "당정, 아동학대방지법 발의키로"

      95 연합뉴스, "당정, 아동학대 범정부 대책 마련키로"

      96 조일윤, "다문화사회에 있어서의 친권제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7) : 201-230, 2012

      97 홍양희, "누구/무엇을 위한 ‘친권(親權)’인가: 식민지시기 ‘친권’의 법제화와 가족 정치학" 한국여성학회 33 (33): 239-265, 2017

      98 허남순, "기고작 : 한국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의미와 과제" 109 (109): 3-24, 2014

      99 "구 아동복리법(법률 제912호, 1961. 12. 30., 제정)"

      100 "구 생활보호법(법률 제913호, 1961. 12. 30., 제정)"

      101 양승일, "교육정책형성과정의 동태성 분석: 참여정부의 사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53-78, 2007

      102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법률 제17499호)"

      103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7437호)"

      104 "가사소송법(법률 제17905호)"

      105 머니투데이, "與 특위서 아동학대 방지 법안 발의키로"

      106 정웅석,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의의 및 향후과제"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89-214, 2014

      107 현소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24 (24): 387-421, 2017

      108 김성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아동학대범죄의 정의(定義) 및 재범방지에 관한 규정과 관련해서 -" 법학연구소 31 (31): 21-38, 2014

      109 고명수,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에 대한 형법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29-59, 2014

      110 김용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의 필요성" 법학연구소 22 (22): 249-288, 2019

      111 연합뉴스, "“화풀이로 락스학대” 계모・친부 ‘부작위 살인’송치"

      112 노컷뉴스, "“학대 계모 엄벌하라” 주민 서명 확산"

      113 연합뉴스, "“아동학대 더는 안돼...” 엄마들이 나섰다"

      114 한겨레, "‘학대 의혹’ 제천영육아원 “자진 폐쇄”…원생들 뿔뿔이"

      115 the300, "‘칠곡 아픔 잊었나’ 반쪽된 아동학대방지법(종합)"

      116 경인일보, "‘아이가 안전한 세상 만드는 엄마’ 공혜정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대표"

      117 연합뉴스, "‘술은 아빠에게 배워야’…4살 딸에게 술 마시게 ‘알코올 학대’"

      118 아주경제, "‘세종시 아동학대’ 관계기관 대처에 분노한 학부모들 거리로"

      119 일요신문, "‘두살배기 아들 학대사망 사건’ 시신 못 찾은 이유 있었다"

      120 Sabatier, P.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117-166, 1999

      121 Sabatier, P.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 Press 189-220, 2007

      122 Hill, M., "The Public Policy Process" Pearson 2005

      123 Parsons, W., "Public Policy: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olicy Analysis" Edward Elgar 2003

      124 Sabatier, P. A., "Policy Change and Learning: An Advocacy Coalition Approach" Westview Press 13-39, 1993

      125 Brown, A. E., "Policy Change And Learning: An Advocacy Coalition Approach" Westview Press 83-104, 1993

      126 박세경,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27 신지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서 본「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제정과정"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283-308, 2017

      128 Sabatier, P. A.,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21 (21): 129-168, 1988

      129 강동욱, "2020년 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학연구소 23 (23): 95-124, 2020

      130 보건복지부, "2020 아동학대 주요통계" 2021

      131 보건복지부,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18

      132 보건복지부, "2011 아동학대 실태조사"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1.1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