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가관련 자격증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 제안 = Proposal of policy to introduce qualification system related to leis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5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leisure service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and and supply request for leisu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in the consolidated area including delivery of information on leisure service, finding demand, finding regional resource and monitoring, program development an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construction and connection of network for beneficiary. It is also necessary to fully consider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in order to create positive effect, to find/expand constant demand of inhabitants after introducing the demonstrative project cultivating specialized manpower of welfare. In connection with sam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who is to constantly encourage regional inhabitants for leisure activity &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eisure. Thus, it is required to introduce qualifica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ole and necessity of delivery system that is to professionally support leisure service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people's leisure activity and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of specialized manpower that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role and method of leisure-related qualification as nationally licensed qualification. It suggested, first, the method to provide related lecture to students majoring in leisure in the university, second, the method to grant qualification by enforcing career acknowledgment system through supplementary education of experts on the site, third, the method to ensure quality control of qualification system. Since objective of introduction of such qualification system is qualitative growth of people's leisure service,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ultimately heighten the happiness index of people by providing demanders with desired leisure service and heightening satisfaction in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leisure service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and and supply request for leisu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leisure service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and and supply request for leisu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in the consolidated area including delivery of information on leisure service, finding demand, finding regional resource and monitoring, program development an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construction and connection of network for beneficiary. It is also necessary to fully consider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in order to create positive effect, to find/expand constant demand of inhabitants after introducing the demonstrative project cultivating specialized manpower of welfare. In connection with sam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who is to constantly encourage regional inhabitants for leisure activity &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eisure. Thus, it is required to introduce qualifica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ole and necessity of delivery system that is to professionally support leisure service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people's leisure activity and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of specialized manpower that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role and method of leisure-related qualification as nationally licensed qualification. It suggested, first, the method to provide related lecture to students majoring in leisure in the university, second, the method to grant qualification by enforcing career acknowledgment system through supplementary education of experts on the site, third, the method to ensure quality control of qualification system. Since objective of introduction of such qualification system is qualitative growth of people's leisure service,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ultimately heighten the happiness index of people by providing demanders with desired leisure service and heightening satisfaction in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사회적·수요적·공급적 요구에 따라 여가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수혜자를 위해 여가서비스의 정보의 전달, 수요 발굴, 지역자원 발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유도, 네트워크 구축과 연계 등 통합적인 영역에서 관리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복지 전문 인력 양성 시범사업의 도입 후, 긍정적인 효과 창출, 지속적인 주민의 수요도를 발견하여 이를 확대하는 차원에서의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본격적인 검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역 주민의 여가활동을 장려하고 지역의 여가발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에 자격제도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여가활동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여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전달체계의 역할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문인력의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 관련 자격증의 국가공인 자격증으로서의 역할과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여가관련 전공학생들에게 관련 수업을 이수하는 방법, 둘째, 현장전문가들의 보수교육을 통하여 경력인정제를 시행하여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법, 셋째, 검증시험을 실시하여 자격제도의 질 관리를 보장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러한 자격증 제도의 도입은 국민의 여가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이 목표인 만큼 수요자가 원하는 여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사회적·수요적·공급적 요구에 따라 여가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수혜자를 위해 여가서비스의 정보의 전달, �...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사회적·수요적·공급적 요구에 따라 여가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수혜자를 위해 여가서비스의 정보의 전달, 수요 발굴, 지역자원 발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유도, 네트워크 구축과 연계 등 통합적인 영역에서 관리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복지 전문 인력 양성 시범사업의 도입 후, 긍정적인 효과 창출, 지속적인 주민의 수요도를 발견하여 이를 확대하는 차원에서의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본격적인 검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역 주민의 여가활동을 장려하고 지역의 여가발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에 자격제도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여가활동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여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전달체계의 역할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문인력의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 관련 자격증의 국가공인 자격증으로서의 역할과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여가관련 전공학생들에게 관련 수업을 이수하는 방법, 둘째, 현장전문가들의 보수교육을 통하여 경력인정제를 시행하여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법, 셋째, 검증시험을 실시하여 자격제도의 질 관리를 보장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러한 자격증 제도의 도입은 국민의 여가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이 목표인 만큼 수요자가 원하는 여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한국도시설계학회,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 등 공공편의시설 기본계획 및 운영・관리방안 연구" 2008

      2 윤소영,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문화학회 8 (8): 45-60, 2010

      3 "한국산업인력공단"

      4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백서"

      5 박주한, "체육계열 전공자의 진로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5, 2011

      6 이상우, "청소년 여가활동 관련 석ㆍ박사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23-49, 2009

      7 이정호, "중년기 남성의 여가생활형태와 가족기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139-150, 2008

      8 임재구, "주 5일 근무에 따른 여가형태의 변화에 관한 고찰" 8 (8): 60-72, 2007

      9 "일본 레크레이션 협회"

      1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 연구" 2013

      1 (사)한국도시설계학회,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 등 공공편의시설 기본계획 및 운영・관리방안 연구" 2008

      2 윤소영,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문화학회 8 (8): 45-60, 2010

      3 "한국산업인력공단"

      4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백서"

      5 박주한, "체육계열 전공자의 진로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5, 2011

      6 이상우, "청소년 여가활동 관련 석ㆍ박사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23-49, 2009

      7 이정호, "중년기 남성의 여가생활형태와 가족기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139-150, 2008

      8 임재구, "주 5일 근무에 따른 여가형태의 변화에 관한 고찰" 8 (8): 60-72, 2007

      9 "일본 레크레이션 협회"

      1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 연구" 2013

      11 장훈, "여가참여 다양성과 행복의 관계: 참여여가활동의 수와 여가시간 집중도를 중심으로" 여가문화학회 9 (9): 21-38, 2012

      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사회변화에 따른 여가전문 인력 개발" 2007

      13 한수정, "여가사회로서의 정책변화"

      14 노수진, "문화전문인력의 교육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 관광분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9

      15 양현미, "문화의 사회적 가치-행복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16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2013

      17 김세훈, "문화예술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2013

      1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2011

      19 기획재정부, "문화여가지원사업군 심층평가 결과 및 지출성과 제고방안"

      20 (사)문화콘텐츠경영전략연구원, "문화복지사 양성 및 문화산업적 활용방안연구" 2007

      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 복지 인식과 수요조사" 2011

      22 "대학알리미"

      23 이연숙,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343-364, 2008

      24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가활동조사"

      25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가진흥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보고서" 2008

      26 "국립중앙박물관"

      27 "국립국어원"

      28 "교육통계서비스"

      29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30 "CIMSPA"

      31 OECD, "Better Life Index"

      32 "2013 UN 세계행복보고서"

      33 "1st4sport Qualific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