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과 욕구에 대한 연구 = Welfare Experience and Needs of Rural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6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and needs in rural elderl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9 elderly in Heongsung an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and needs in rural elderl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9 elderly in Heongsung an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transcribed data.
      A variety of experience,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evolv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Improving information delivery system for elderly job and support for village cooperative business were requested. The participant living alone were satisfied the caring service such as calling service via phone to ask “safety” at home and delivery service that they needed from market but wanted solutions to improve access to the hospital and market. Village leaders mentioned about equipping exercise facilities and Jjimjilbang(Korean stream room) in the community center to promote health in winter. Some proposed the language course of the Korean for the illiteracy in the village as a type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quality of life. Participants wanted increase of the elderly financial assistance and different amount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proper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information in making individualize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노인 복지욕구실태와 관련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대다수의 연구결과가 구조화된 설문내용에 제한되어 있는 점을 보완하고 수혜자의 생생한 복지서비스경험과 욕구를 ...

      본 연구는 농촌노인 복지욕구실태와 관련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대다수의 연구결과가 구조화된 설문내용에 제한되어 있는 점을 보완하고 수혜자의 생생한 복지서비스경험과 욕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강원도 횡성군에 거주하는 노인 19명을 대상으로 개인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 후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이 원하는 복지와 수혜경험, 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자리에 대한 정보전달체계개선, 마을공동사업 창출 및 운영지원의 개선, 가사(돌봄)서비스 수혜자인 독거노인은 안부확인과 장보기 서비스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수혜자 형평성 제고와 농촌현실을 감안한 노인영양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보건소의 공공의료 복지서비스 역할의 미비함과 보건소 이용에 대한 농촌노인의 선호도가 낮음이 발견되었고 경로당에 물리치료, 운동기구, 찜질방 등의 건강관리를 위한 환경조성과 권역별 보건소 설치를 건의하였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노인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한글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안하였다. 소득보장형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는 노령임금액 인상과 소득에 따른 차등지원이 거론되었다. 그 외, 버스운행횟수증가, 방문을 통한 수요조사, 귀농노인을 위한 지원, 복지서비스 차원에서의 영농활동지원 등에 대한 대책을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해한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 복지욕구 및 개선방안은 맞춤형 농촌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부 민간 합동작업단, "함께 가는 희망한국 VISION 2030" 보건복지부 2006

      2 조공민, "한국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6 (26): 245-266, 2011

      3 주상현, "지방정부 노인복지욕구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95-220, 2007

      4 횡성군청, "제 51회 횡성군 통계연보" 2012

      5 김이순, "일 지역주민의 보건소 및 민간의료 기관의 이용에 관한 연구" 315-322, 2013

      6 남춘호, "식품불안정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과 식품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9-46, 2010

      7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8 이기영, "도농복합지역의 노인복지 비교 연구: 지역복지계획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47-263, 2008

      9 이광모, "농촌지역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모형 연구 -강원도 횡성군을 사례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145-169, 2008

      10 조운희, "농촌지역 노인의 보건복지계획에 관한 연구" 26 : 211-239, 2006

      1 정부 민간 합동작업단, "함께 가는 희망한국 VISION 2030" 보건복지부 2006

      2 조공민, "한국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6 (26): 245-266, 2011

      3 주상현, "지방정부 노인복지욕구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95-220, 2007

      4 횡성군청, "제 51회 횡성군 통계연보" 2012

      5 김이순, "일 지역주민의 보건소 및 민간의료 기관의 이용에 관한 연구" 315-322, 2013

      6 남춘호, "식품불안정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과 식품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9-46, 2010

      7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8 이기영, "도농복합지역의 노인복지 비교 연구: 지역복지계획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47-263, 2008

      9 이광모, "농촌지역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모형 연구 -강원도 횡성군을 사례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145-169, 2008

      10 조운희, "농촌지역 노인의 보건복지계획에 관한 연구" 26 : 211-239, 2006

      11 김인, "농촌지역 노인복지서비스의 욕구와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3) : 197-224, 2006

      12 조원걸, "농촌지역 노인들의 생활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13 이난희, "농촌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 청원군 지역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6

      14 윤선오, "농촌노인의 복지증진에 관한 연구" 18 (18): 143-177, 2008

      15 이신영, "농촌노인의 건강실태와 건강보장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26 (26): 193-211, 2007

      16 김장옥, "농촌노인들의 욕구에 기초한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 : 전라남도 영광군을 중심으로"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17 양점도, "농촌 노인의 욕구 분석을 통한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14 (14): 25-46, 2004

      18 김양이, "농촌 노인의 생활실태와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3) : 203-229, 2004

      19 김은정, "농촌 노인의 복지욕구 유형과 관련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87-108, 2011

      20 채은희, "농촌 노인의 건강 및 보건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681-700, 2006

      21 이신숙,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11 (11): 23-60, 2011

      22 전병관,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를 통한 맞춤형 노인복지정책 추진방안" 230-232, 2006

      23 강주희, "노인복지 수요와 자원의 지역별 비교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18 (18): 161-187, 2008

      24 한국노년학회, "노년학의 이해" 대영문화사 2000

      25 이가옥, "노년기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문제연구소 13-44, 2002

      26 황옥성,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복지서비스 욕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경상북도를 중심으로" 2 (2): 1-31, 2011

      27 이은옥,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수문사 2009

      28 배화숙, "가구유형별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과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24, 2011

      29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30 Field, P. A., "Nursing Research" An Aspen publication 1985

      31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sher 1981

      32 편도욱, "65세 이상 고령 농가인구 37%.. 젊은 피 수혈 시급"

      33 통계청, "2014 고령자 통계"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3 1.33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