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백산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Taebaek-si),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47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79과 238...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79과 238속 352종 4아종 43변종 7품종 406분류 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산식물은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등 8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 두메개고사리 등 4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 너도바람꽃, 등칡 등 12분류군까지 총 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7분류군으로 Ⅴ등급 좀미역고사리, 눈측백, 승마 3분류군, Ⅳ등급 골개고사리, 들바람꽃, 회리바람꽃 등 14분류군, Ⅲ등급 분비나무, 주목, 거제수나무 등 31분류군, Ⅱ등급 다람쥐꼬리, 좀나도히초미, 가래고사리 등 32분류군,Ⅰ등급 관중, 낚시고사리, 잣나무 등 27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소리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5%, 귀화율은 3.9%로 각각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in Mt. Taebaek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The flora of Mt. Taebaeksan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406 taxa comprising of 79 families, 238 genus, 352 specie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in Mt. Taebaek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The flora of Mt. Taebaeksan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406 taxa comprising of 79 families, 238 genus, 352 species, 4 sub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a. Among them, 8 taxa were identified as endemic plants in Korea including Salix koriyanagi Kimura, Aconitum pseudolaeve Nakai, Anemone koraiensis Nakai, etc. 16 taxa of Korean rare plants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4 taxa in the degree of VU (Asplenium spinulosum (Maxim.) Milde, etc.) and 12 taxa in the degree of LC (Clematis koreana Kom., Eranthis stellata Maxim.,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etc.)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a total of 107 taxa which consist of 3 taxa in degree Ⅴ(Polypodium virginianum L., etc.), 14 taxa in degree Ⅳ(Asplenium otophorum (Miq.) Koidz., etc.), 31 taxa in degree III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etc.), 32 taxa in degree Ⅱ(Lycopodium chinense H.Christ, etc.) and 27 taxa in degree Ⅰ(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etc.). For the naturalized plants, 16 taxa were identified (Fallopia dumetorum (L.) Holub, Rumex crispus L., Cerastium glomeratum Thuill). Also,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was 5 %, and the naturalized plant index was 3.9 %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장창석,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98-414, 2011

      3 조현서,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55-62, 2005

      4 김혜진,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164-175, 2009

      5 변준기,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66-588, 2013

      6 Kim, Y. S.,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15 (15): 293-318, 2002

      7 Oh, S. H., "The Flora and Stand Structure" 17 : 59-, 2008

      8 Kim, S. Y., "Syntaxonomy of Subalpine Vegetation in Korea." Univ. of Keimyung 2012

      9 Kim, G. T.,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ea in Taebaeksan" 12 (12): 1-8, 1998

      10 Korea National Arboretum,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332-, 2009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장창석,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98-414, 2011

      3 조현서,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55-62, 2005

      4 김혜진,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164-175, 2009

      5 변준기,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66-588, 2013

      6 Kim, Y. S.,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15 (15): 293-318, 2002

      7 Oh, S. H., "The Flora and Stand Structure" 17 : 59-, 2008

      8 Kim, S. Y., "Syntaxonomy of Subalpine Vegetation in Korea." Univ. of Keimyung 2012

      9 Kim, G. T.,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ea in Taebaeksan" 12 (12): 1-8, 1998

      10 Korea National Arboretum,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332-, 2009

      11 Cho, H. S.,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15 (15): 369-378, 2002

      12 Park, S. 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59-, 2009

      13 Lee, Y. N., "New Flora of Korea. Vol. Ⅰ,Ⅱ" Gyohaksa 975-885, 2006

      14 Oh, Y. C.,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 Shin Womens University Publishing Co 404-, 2006

      15 Korea National Arboretum,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16 Kim, H. J., "Flora of Mt. Chiak-san" Univ. of Hannam 2010

      17 Korea Fern Society,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399-, 2005

      18 Oh, B. U.,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205-, 2005

      19 Yim, Y. J.,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23 : 69-83, 1980

      20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Ⅱ" Hyangmunsa 910-, 2003

      21 Kim, C. H.,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Ⅰ. Selection of Plant Taxa-" 18 (18): 163-198, 2000

      22 Kim, Y. H.,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of Taxus cuspidata S. et. Z. in Mt. Taebaik" Univ. of Kyung Hee 1993

      23 Korea National Arboretum,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24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Provincial Parks in Gangwon Province" 22-, 2013

      25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1-66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