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프·풀-브리지 셀을 이용한 독립형 태양광 멀티레벨 인버터 = Half and Full-Bridge Cell based Stand-Alone Photovoltaic Multi-Level Inver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69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ew multilevel PWM inverter using a half-bridge and full-bridge cells is proposed for the use of stand-alone photovoltaic inverters. The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multilevel PWM inverter is based on a prior 11-level shaped PWM inverter. Among three full-bridge cells employed in the prior inverter, one cell is substituted by a half-bridge cell. Owing to this simple alteration, the proposed inverter has three promising merits. First it increases the number of output voltage levels resulted in high quality output voltages. Second, it reduces two power switching devices by means of employing a half-bridge cell. Third, it reduces power imposed on a transformer connected with the half-bridge unit. That is to say, most power is transferred to loads via cascaded transformers connected with low switching inverters, which are used to synthesize the fundamental output voltage levels whereas the output of a transformer linked to a high switching inverter is used to improve the final output voltage waves; thus, it is desirable in the point of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efficiency. By comparing to the prior 11-level PWM inverter, it assess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verter as a stand-alone photovoltaic inverter.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inverter is verified by computer-aided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번역하기

      A new multilevel PWM inverter using a half-bridge and full-bridge cells is proposed for the use of stand-alone photovoltaic inverters. The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multilevel PWM inverter is based on a prior 11-level shaped PWM inverter. Among th...

      A new multilevel PWM inverter using a half-bridge and full-bridge cells is proposed for the use of stand-alone photovoltaic inverters. The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multilevel PWM inverter is based on a prior 11-level shaped PWM inverter. Among three full-bridge cells employed in the prior inverter, one cell is substituted by a half-bridge cell. Owing to this simple alteration, the proposed inverter has three promising merits. First it increases the number of output voltage levels resulted in high quality output voltages. Second, it reduces two power switching devices by means of employing a half-bridge cell. Third, it reduces power imposed on a transformer connected with the half-bridge unit. That is to say, most power is transferred to loads via cascaded transformers connected with low switching inverters, which are used to synthesize the fundamental output voltage levels whereas the output of a transformer linked to a high switching inverter is used to improve the final output voltage waves; thus, it is desirable in the point of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efficiency. By comparing to the prior 11-level PWM inverter, it assess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verter as a stand-alone photovoltaic inverter.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inverter is verified by computer-aided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하프․풀-브리지 셀을 이용하는 새로운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안하고 독립형 태양광 인버터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본 회로 구조는 기존의 11-레벨형 PWM 인버터에 기초하며 세 개의 풀-브리지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을 하프-브리지 구조로 대체한다. 이 간단한 회로 구조의 변경으로 제안된 멀티레벨 인버터는 세 가지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출력 전압 레벨 수의 증가를 통해 보다 정현적인 출력 전압 파형을 형성 시킬 수 있다. 둘째, 풀-브리지 모듈 대신 하프-브리지 셀을 이용하므로 두 개의 전력 스위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쵸핑용으로 이용되는 인버터와 결합된 변압기에 의해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저감 시킬 수 있어 전체 효율 개선에 유리하다. 즉, 대부분의 전력은 저주파 스위칭 동작으로 기본 출력전압을 형성하는 인버터와 이와 결합된 변압기에 의해 부하단으로 전달되고, 고주파 스위칭을 하는 쵸핑용 인버터와 이와 결합된 변압기를 통한 출력은 최종 출력전압을 보다 정현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기존의 11-레벨형 PWM 인버터와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인버터를 평가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통해 독립형 태양광 인버터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하프․풀-브리지 셀을 이용하는 새로운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안하고 독립형 태양광 인버터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본 회로 구조는 기존의 11-레벨형 PWM 인버터에 기초하...

      본 논문에서는 하프․풀-브리지 셀을 이용하는 새로운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안하고 독립형 태양광 인버터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본 회로 구조는 기존의 11-레벨형 PWM 인버터에 기초하며 세 개의 풀-브리지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을 하프-브리지 구조로 대체한다. 이 간단한 회로 구조의 변경으로 제안된 멀티레벨 인버터는 세 가지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출력 전압 레벨 수의 증가를 통해 보다 정현적인 출력 전압 파형을 형성 시킬 수 있다. 둘째, 풀-브리지 모듈 대신 하프-브리지 셀을 이용하므로 두 개의 전력 스위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쵸핑용으로 이용되는 인버터와 결합된 변압기에 의해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저감 시킬 수 있어 전체 효율 개선에 유리하다. 즉, 대부분의 전력은 저주파 스위칭 동작으로 기본 출력전압을 형성하는 인버터와 이와 결합된 변압기에 의해 부하단으로 전달되고, 고주파 스위칭을 하는 쵸핑용 인버터와 이와 결합된 변압기를 통한 출력은 최종 출력전압을 보다 정현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기존의 11-레벨형 PWM 인버터와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인버터를 평가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통해 독립형 태양광 인버터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의 전력전자 기술" 8 (8): 26-29, 2003.8

      2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기술 동향" 8 (8): 27-34, 2003년6월.

      3 "출력 전압 파형 개선을 위한 새로운 11 레벨 PWM 인버터" 8 (8): 99-106, 2003년4월.

      4 "변압기 직렬 결합을 이용한 새로운 멀티레벨 인버터" 8 (8): 9-16, 2003년2월.

      5 "Residential photovoltaic energy storage system" 45 (45): 385-394, 1998.06

      6 "Power Electronics Handbook" Academic Press 539-562, 2001.

      7 "Multilevel power conversion-an overview of topologies and modulation strategies" 1-14, 1998.

      8 "Multilevel Inverters" 49 (49): 724-738, 2002.

      9 "Multilevel Converters-A New Breed of Power Converters" 32 (32): 509-517, 1996

      10 "Multicell converters for single-phase grid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66 (66): 325-335, 1999.

      1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의 전력전자 기술" 8 (8): 26-29, 2003.8

      2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기술 동향" 8 (8): 27-34, 2003년6월.

      3 "출력 전압 파형 개선을 위한 새로운 11 레벨 PWM 인버터" 8 (8): 99-106, 2003년4월.

      4 "변압기 직렬 결합을 이용한 새로운 멀티레벨 인버터" 8 (8): 9-16, 2003년2월.

      5 "Residential photovoltaic energy storage system" 45 (45): 385-394, 1998.06

      6 "Power Electronics Handbook" Academic Press 539-562, 2001.

      7 "Multilevel power conversion-an overview of topologies and modulation strategies" 1-14, 1998.

      8 "Multilevel Inverters" 49 (49): 724-738, 2002.

      9 "Multilevel Converters-A New Breed of Power Converters" 32 (32): 509-517, 1996

      10 "Multicell converters for single-phase grid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66 (66): 325-335, 1999.

      11 "Multi-level converters a real solution to medium/high-voltage drives?" 21-26, 1998.

      12 "Implementation of a DSP-controlled photovoltaic system with peak power tracking" 45 (45): 99-107, feb.1998.

      13 "Cascaded H-bridge multilevel converter for grid connected photovoltaic generators with independen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of each solar array" 731-735, 2003.

      14 "Advanced Topologies and Modulation Strategies for Multilevel Inverters" 1013-1018, 1996.

      15 "A novel multilevel DC-AC converter for applications in renewable energy systems" 49 (49): 1048-1057, oct.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3 0.36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