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의 特徵中의 하나에 「助詞」가 있다. 祖師에 對한 意識은 中國語인 漢文의 訓讀過程에서 發生하여, 지난 時代의 文學作品인 古典 特히 詩歌의 解석方面에서 상당한 硏究가 이루어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日本語의 特徵中의 하나에 「助詞」가 있다. 祖師에 對한 意識은 中國語인 漢文의 訓讀過程에서 發生하여, 지난 時代의 文學作品인 古典 特히 詩歌의 解석方面에서 상당한 硏究가 이루어졌...
日本語의 特徵中의 하나에 「助詞」가 있다. 祖師에 對한 意識은 中國語인 漢文의 訓讀過程에서 發生하여, 지난 時代의 文學作品인 古典 特히 詩歌의 解석方面에서 상당한 硏究가 이루어졌다. 그 中에서도 富士谷成章의 『아유이쇼(あゆひ抄』는 科學的인 면밀한 관찰에 의해 系的이고 綜合的인 記述하고 있다. 그러나 그 對象의 範圍가 助詞 以外의 助動詞와 接尾語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점 등 오늘날의 그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判斷된다.
明治以後 西洋言語學의 導入과 함께 言語 그 自 를 對象으로 하는 科學的 學文으로서 基礎的인 理論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助詞에 對한 硏究도 多樣한 基準과 方法에 依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結果的으로는 各 文法學說 共히 格助詞로 認定되어지는 그룹(Group)이 設定되어 있고, 또한 그에 屬하는 助詞의 範圍도 相當한 部分一致되고 있는 것은 日本語에 있어서의 그와 같은 文法要素의 存在를 確認해 주는 것이 된다. 그런데 格助詞의 範圍를 볼 때 몇몇 一致되지 않는 点이 있다. 例를 들면, 「まで」나 「に」, 「ゃ」 등의 下位用法에 따른 格助詞的인 性格의 問題가 그것이다. 形態가 같다고 해서 하나의 助詞로만 限定시킬 必要는 없다. 用法的인 差異가 있다면, 下位區分에 있어서도 各各 다른 助詞로 認定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音聲言語를 포함한 會話 的인 助詞까지도 認定하여 지금까지 主로 九種이었던 格助詞의 範圍를 「が」, 「から」, 「で」, 「と」, 「に」, 「の」, 「へ」, 「より」, 「をで」, 「や」, 「って」, 「なんて」의 十三鐘으로 擴張하려고 한다.
국문 초록 (Abstract)
日本語의 特徵中의 하나에 「助詞」가 있다. 祖師에 對한 意識은 中國語인 漢文의 訓讀過程에서 發生하여, 지난 時代의 文學作品인 古典 特히 詩歌의 解석方面에서 상당한 硏究가 이루어...
日本語의 特徵中의 하나에 「助詞」가 있다. 祖師에 對한 意識은 中國語인 漢文의 訓讀過程에서 發生하여, 지난 時代의 文學作品인 古典 特히 詩歌의 解석方面에서 상당한 硏究가 이루어졌다. 그 中에서도 富士谷成章의 『아유이쇼(あゆひ抄』는 科學的인 면밀한 관찰에 의해 系的이고 綜合的인 記述하고 있다. 그러나 그 對象의 範圍가 助詞 以外의 助動詞와 接尾語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점 등 오늘날의 그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判斷된다.
明治以後 西洋言語學의 導入과 함께 言語 그 自 를 對象으로 하는 科學的 學文으로서 基礎的인 理論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助詞에 對한 硏究도 多樣한 基準과 方法에 依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結果的으로는 各 文法學說 共히 格助詞로 認定되어지는 그룹(Group)이 設定되어 있고, 또한 그에 屬하는 助詞의 範圍도 相當한 部分一致되고 있는 것은 日本語에 있어서의 그와 같은 文法要素의 存在를 確認해 주는 것이 된다. 그런데 格助詞의 範圍를 볼 때 몇몇 一致되지 않는 点이 있다. 例를 들면, 「まで」나 「に」, 「ゃ」 등의 下位用法에 따른 格助詞的인 性格의 問題가 그것이다. 形態가 같다고 해서 하나의 助詞로만 限定시킬 必要는 없다. 用法的인 差異가 있다면, 下位區分에 있어서도 各各 다른 助詞로 認定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音聲言語를 포함한 會話 的인 助詞까지도 認定하여 지금까지 主로 九種이었던 格助詞의 範圍를 「が」, 「から」, 「で」, 「と」, 「に」, 「の」, 「へ」, 「より」, 「をで」, 「や」, 「って」, 「なんて」의 十三鐘으로 擴張하려고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 Survey of Verb Second Movement in Old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