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도성(渤海都城)의 성문형식(城門形式)에 대해 = About types of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rtress gate is the face of the fortress and reflects the status of the city and its fun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and classify their types. We also study the problem of their origin, by comparison with the fortress gates of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These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are excavated and their materials are known: the main gate of the southern wall, the eastern gate of the southern wall, the main gate of the northern wall and the gate 11 of the northern wall of the outer city, the main gate of the inner city, the main gate, the western gate (gate 3) and the northern gate of the Sanggyeong (Upper) Capital City, the southern and northern gates of the outer wall and the southern gate of the inner city of Sigucheng, the southern gate of the outer city and the southern gate of the inner city of Baliancheng.
      In relation to the walls of the fortress, the constructions gates of Balhae are divided into gates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and the outer sides, not-protruding gates, gates between the sections of the wall that don’t close up and gates in ricetto. However, in the capital cities of Balhae there are no gates of the latter two types. Among the gates protruding from the inner and the outer sides there are the gates with two elevated bases at the sides; gates with more than two elevated bases; gates combining elevated foundations and buildings with columns; gates combining elevated bases and overhead buildings; gates with columned buildings. Non-protruding gates are represented only by hybrid column buildings.
      The construction of the gates of Balhae capital cities may include elevated bases, a gateway (passage), the separating wall, the connecting wall, the foundation of the gate building with the passage or the foundation of the gate building without passage. The gates with elevated bases there are the fortress gate in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in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and the gate buildings with columns is in the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Gates with more than two elevated bases, gates combining elevated foundations and buildings with columns and gates combining elevated bases and overhead buildings, represent a single complex with three gates or a single complex with two gates and three buildings. They are characteristic only for Balhae.
      Hybrid column buildings of gates in Baliancheng city are also not found in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In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ll the gates are located on the central axi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nd all they (the main gate of the outer wall (or city), of the inner wall and of the royal city, the northern gate of the royal city and of the outer city) have a different constru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gate system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번역하기

      The fortress gate is the face of the fortress and reflects the status of the city and its fun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and classify their types. We also study the p...

      The fortress gate is the face of the fortress and reflects the status of the city and its fun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and classify their types. We also study the problem of their origin, by comparison with the fortress gates of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These fortress gates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are excavated and their materials are known: the main gate of the southern wall, the eastern gate of the southern wall, the main gate of the northern wall and the gate 11 of the northern wall of the outer city, the main gate of the inner city, the main gate, the western gate (gate 3) and the northern gate of the Sanggyeong (Upper) Capital City, the southern and northern gates of the outer wall and the southern gate of the inner city of Sigucheng, the southern gate of the outer city and the southern gate of the inner city of Baliancheng.
      In relation to the walls of the fortress, the constructions gates of Balhae are divided into gates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and the outer sides, not-protruding gates, gates between the sections of the wall that don’t close up and gates in ricetto. However, in the capital cities of Balhae there are no gates of the latter two types. Among the gates protruding from the inner and the outer sides there are the gates with two elevated bases at the sides; gates with more than two elevated bases; gates combining elevated foundations and buildings with columns; gates combining elevated bases and overhead buildings; gates with columned buildings. Non-protruding gates are represented only by hybrid column buildings.
      The construction of the gates of Balhae capital cities may include elevated bases, a gateway (passage), the separating wall, the connecting wall, the foundation of the gate building with the passage or the foundation of the gate building without passage. The gates with elevated bases there are the fortress gate in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in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and the gate buildings with columns is in the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Gates with more than two elevated bases, gates combining elevated foundations and buildings with columns and gates combining elevated bases and overhead buildings, represent a single complex with three gates or a single complex with two gates and three buildings. They are characteristic only for Balhae.
      Hybrid column buildings of gates in Baliancheng city are also not found in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Anhakkung Palace City of Koguryo. In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ll the gates are located on the central axi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nd all they (the main gate of the outer wall (or city), of the inner wall and of the royal city, the northern gate of the royal city and of the outer city) have a different constru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gate system of the Balhae capital c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문은 성의 얼굴로서 성의 위계와 기능을 반영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발해도성 성문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또 수 당 장안성 및 고구려 안학궁성의 성문들과의 비교를 통해 발해도성 성문들의 기원문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발해도성에서는 상경성 외성 남벽 정문지, 남벽 동문지, 북벽 중문지, 북벽 11호 문지, 궁성 남벽 정문지, 서문지(3호 문지), 북문지, 서고성 외성 남문지와 북문지, 내성 남문지, 그리고 팔련성 외성 남문지와 내성 남문지가 발굴조사를 통해 성문의 구조가 파악된다.
      발해의 성문구조물은 성벽과의 상관관계에 있어 양면돌출형식, 동일선상형식, 어긋형식, 옹성 형식으로 구분되지만, 발해도성에서는 어긋형식과 옹성형식은 확인되지 않는다. 양면돌출형식 성문에는 문돈문식(門墩門式), 문돈문중복식(門墩門重複式), 문돈문누문결합식(門墩門樓門結 合式), 문돈문누각(기단)결합식(門墩門樓閣基壇結合式), 누문식(樓門式)이 있고, 동일선상형식 성문에는 누문절충식(樓門折衷式)이 있다.
      발해도성의 성문구조물은 문돈(門墩), 문길(門道), 격벽(隔璧), 연결 벽(隔牆), 누문기단(樓門 基壇), 누각기단(樓閣基壇) 등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문돈이 있는 문돈문식 성문, 즉초루식 성문은 수 당 장안성과 고구려 안학궁성에서, 누문이 있는 누문식 성문은 고구려 안학궁 성에서 각각 찾을 수 있다. 문돈문중복식, 문돈문누문결합식, 문돈문누각결합식 성문구조는 모두 삼문일체형(三門一體形) 혹은 이문(二門) 삼루일체형(三樓一體形)의 성문구조로서 발해에만 고유한 성문형식이다. 팔련성 외성 남문지에서 확인된 누문절충식 성문도 고구려 안학궁성과 수당 장안성에서는 발견된 바 없다. 발해 상경성에서 외성 정문, 황성 정문, 궁성 정문, 궁성 북문, 외성 북벽 중문 등 남북 중축선 상의 성문들이 모두 서로 다른 형식인 것은 수 당 장안성과 구분되는 발해의 특징적인 용문제도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성문은 성의 얼굴로서 성의 위계와 기능을 반영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발해도성 성문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또 수 당 장안성 및 고구려 안학궁성의 성문들과의 비교...

      성문은 성의 얼굴로서 성의 위계와 기능을 반영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발해도성 성문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또 수 당 장안성 및 고구려 안학궁성의 성문들과의 비교를 통해 발해도성 성문들의 기원문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발해도성에서는 상경성 외성 남벽 정문지, 남벽 동문지, 북벽 중문지, 북벽 11호 문지, 궁성 남벽 정문지, 서문지(3호 문지), 북문지, 서고성 외성 남문지와 북문지, 내성 남문지, 그리고 팔련성 외성 남문지와 내성 남문지가 발굴조사를 통해 성문의 구조가 파악된다.
      발해의 성문구조물은 성벽과의 상관관계에 있어 양면돌출형식, 동일선상형식, 어긋형식, 옹성 형식으로 구분되지만, 발해도성에서는 어긋형식과 옹성형식은 확인되지 않는다. 양면돌출형식 성문에는 문돈문식(門墩門式), 문돈문중복식(門墩門重複式), 문돈문누문결합식(門墩門樓門結 合式), 문돈문누각(기단)결합식(門墩門樓閣基壇結合式), 누문식(樓門式)이 있고, 동일선상형식 성문에는 누문절충식(樓門折衷式)이 있다.
      발해도성의 성문구조물은 문돈(門墩), 문길(門道), 격벽(隔璧), 연결 벽(隔牆), 누문기단(樓門 基壇), 누각기단(樓閣基壇) 등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문돈이 있는 문돈문식 성문, 즉초루식 성문은 수 당 장안성과 고구려 안학궁성에서, 누문이 있는 누문식 성문은 고구려 안학궁 성에서 각각 찾을 수 있다. 문돈문중복식, 문돈문누문결합식, 문돈문누각결합식 성문구조는 모두 삼문일체형(三門一體形) 혹은 이문(二門) 삼루일체형(三樓一體形)의 성문구조로서 발해에만 고유한 성문형식이다. 팔련성 외성 남문지에서 확인된 누문절충식 성문도 고구려 안학궁성과 수당 장안성에서는 발견된 바 없다. 발해 상경성에서 외성 정문, 황성 정문, 궁성 정문, 궁성 북문, 외성 북벽 중문 등 남북 중축선 상의 성문들이 모두 서로 다른 형식인 것은 수 당 장안성과 구분되는 발해의 특징적인 용문제도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발굴조사 발해도성의 성문
      • Ⅲ. 발해도성의 성문형식과 기원문제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발굴조사 발해도성의 성문
      • Ⅲ. 발해도성의 성문형식과 기원문제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六頂山與渤海鎭"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7

      2 손영식(孫永植), "한국의 성곽" 주류성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중국고대도성 조사보고서" 2005

      4 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 "중국 동북 지방의 유적 발굴 보고. 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5 E.I. 겔만, "염주성 이야기" 동북아역사재단 2017

      6 전제헌, "안학궁유적에 대한 연구, in 안학궁유적과 일본에 있는 고구려 관계 유적 유물" 백산자료원 1998

      7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구려문화" 사회과학원출판사 1975

      8 양시은(梁時恩), "고구려 성 연구" 진인진 2016

      9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西古城 -2000~2005年度渤海國中京顯德府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07

      10 朱國忱, "渤海遺蹟" 文物出版社 2002

      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六頂山與渤海鎭"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7

      2 손영식(孫永植), "한국의 성곽" 주류성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중국고대도성 조사보고서" 2005

      4 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 "중국 동북 지방의 유적 발굴 보고. 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5 E.I. 겔만, "염주성 이야기" 동북아역사재단 2017

      6 전제헌, "안학궁유적에 대한 연구, in 안학궁유적과 일본에 있는 고구려 관계 유적 유물" 백산자료원 1998

      7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구려문화" 사회과학원출판사 1975

      8 양시은(梁時恩), "고구려 성 연구" 진인진 2016

      9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西古城 -2000~2005年度渤海國中京顯德府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07

      10 朱國忱, "渤海遺蹟" 文物出版社 2002

      11 魏存成, "渤海考古" 文物出版社 2008

      12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國上京龍泉府遺址1997年考古發掘收穫" (4) : 1999

      13 趙虹光, "渤海上京城考古" 科學出版社 2012

      14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上京城 -1998~2007年度考古發掘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9

      15 王培新, "吉林琿春市八連城內城建築基址的發掘" (6) : 2009

      16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和龍西古城城址 2007~2009年發掘簡報" (12) : 2016

      17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八連城 -2004~2009年度渤海國東京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14

      18 Болдин В.И., "Итоги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и городище Синельниково 1 в Приморье в 1999 году" Архив ИИАЭ ДВО РАН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