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선복, "흑요석 산지 추정 연구의 재검토" 한국구석기학회 1 (1): 156-180, 2015
2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3 권동희,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2008
4 김상태, "한국의 전기-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융조, "한국 좀돌날몸돌의 연구 -수양개수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2 : 133-229, 1994
6 윤용현, "한국 좀돌날몸돌 제작기술의 재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9-16, 2004
7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7 : 1-39, 2003
8 장용준,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1 (1): 19-60, 2013
9 이정철, "한강하류역 주요 구석기유적의 사질각력층 내 유물층에 대한 고찰 -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석기의 해석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7) : 39-62, 2016
10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 남한강유역과 한강본류역의 주요 유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선복, "흑요석 산지 추정 연구의 재검토" 한국구석기학회 1 (1): 156-180, 2015
2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3 권동희,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2008
4 김상태, "한국의 전기-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융조, "한국 좀돌날몸돌의 연구 -수양개수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2 : 133-229, 1994
6 윤용현, "한국 좀돌날몸돌 제작기술의 재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9-16, 2004
7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7 : 1-39, 2003
8 장용준,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1 (1): 19-60, 2013
9 이정철, "한강하류역 주요 구석기유적의 사질각력층 내 유물층에 대한 고찰 -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석기의 해석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7) : 39-62, 2016
10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 남한강유역과 한강본류역의 주요 유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주용, "한강유역 제4기 지질과 구석기유적 형성환경" 한국구석기학회 11-14, 2002
12 김연주, "평창 진부 송정리 구석기 유적, in 강원도의 구석기 연구 현황과 성과" 한국구석기학회·국립춘천박물관 123-132, 2017
13 김무중, "충주 호암동 유적" (재)중원문화재연구원·충주시청 2017
14 이승원, "충주 송암리 왜실 유적"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한국농어촌공사 2014
15 이정철,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중부고고학회 17 (17): 5-44, 2018
16 이정철,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공작에 대한 지역적 특성의 고찰 -남한강 하류의 유적을 대상으로-" 백산학회 (95) : 5-36, 2013
17 이융조, "제천 고명동 세거리 구석기유적"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한국철도시설공단 2012
18 정연우, "원주 신평리유적" 제이영동고속도로(주)·(재)예맥문화재연구원 2015
19 최승엽, "원주 송호동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원주시
20 최승엽, "원주 보통리·무실동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16
21 김주용, "여주 연양리 일대의 충적지형과 하성단구 퇴적층 형성 - DEM를 이용한 하천지형의 인식과 퇴적단면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13 (13): 71-84, 2006
22 김영준, "여주 연양리 유적" 신복개발(주)·(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5
23 김명진, "여주 연양리 구석기유적 광 여기 루미네센스(OSL) 연대측정, in 여주 연양리 구석기유적" 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영진씨엔아이(주) 425-438, 2007
24 우종윤, "수양개유적 Ⅳ지구 후기 구석기시대의 석기구성과 변화양상"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Hanyang Unversity·Institute of East Asian Archaeology 53-58, 2017
25 이융조, "수양개 구석기유적의 연대측정에 대하여, in 중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한국학술진흥재단 299-306, 2006
26 김창환,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583-594, 2006
27 김주용, "단양일대 남한강 유역의 제4기 하성 퇴적층 형성환경 연구" 한국고대학회 20 : 155-171, 2004
28 이융조, "단양 수양개 후기구석기시대의 배모양석기의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5 : 3-77, 1989
29 이승원, "단양 수양개 Ⅳ지구 구석기유적, in 제주도의 구석기 연구 현황과 성과" 한국구석기학회·국립제주박물관 113-127, 2015
30 이융조, "단양 수양개 Ⅲ지구 구석기유적(10차)"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단양군 2013
31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단양 수양개 Ⅲ지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1
32 이정철, "남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편년 연구 - 하안단구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1 (11): 5-24, 2012
33 이정철, "남한강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전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8) : 7-32, 2016
34 임창주, "남한강 하류의 하안단구 연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 : 5-26, 1997
35 박희두, "남한강 중·상류 분지의 퇴적층 층서와 지형편년" 국토지리학회 20 : 45-72, 1992
36 한창균, "구석기유적 조사법, in 2007년도 제2회 매장문화재 조사연구원 교육"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19-147, 2007
37 최승엽,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38 任昌周, "南漢江의 河岸段丘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0
39 佐藤宏之, "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한국구석기학회 1 (1): 5-20, 2017
40 LEE, Y. J., "Preliminary Study on Microblade-cores in Siberia with Suyanggae Typology, Recent Discoveries and Interpretations from Korean Paleolithic Sites(Ⅲ)" Institute of Korean Prehistory 17-22, 2010
41 소상영,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백산학회 (103) : 31-5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