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 Chracteristics and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3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번역하기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번역하기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신자료 유적 개관
      • Ⅲ. 신자료의 성격
      • Ⅳ. 신자료의 의의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신자료 유적 개관
      • Ⅲ. 신자료의 성격
      • Ⅳ. 신자료의 의의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복, "흑요석 산지 추정 연구의 재검토" 한국구석기학회 1 (1): 156-180, 2015

      2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3 권동희,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2008

      4 김상태, "한국의 전기-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융조, "한국 좀돌날몸돌의 연구 -수양개수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2 : 133-229, 1994

      6 윤용현, "한국 좀돌날몸돌 제작기술의 재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9-16, 2004

      7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7 : 1-39, 2003

      8 장용준,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1 (1): 19-60, 2013

      9 이정철, "한강하류역 주요 구석기유적의 사질각력층 내 유물층에 대한 고찰 -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석기의 해석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7) : 39-62, 2016

      10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 남한강유역과 한강본류역의 주요 유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선복, "흑요석 산지 추정 연구의 재검토" 한국구석기학회 1 (1): 156-180, 2015

      2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3 권동희,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2008

      4 김상태, "한국의 전기-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융조, "한국 좀돌날몸돌의 연구 -수양개수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2 : 133-229, 1994

      6 윤용현, "한국 좀돌날몸돌 제작기술의 재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9-16, 2004

      7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7 : 1-39, 2003

      8 장용준,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1 (1): 19-60, 2013

      9 이정철, "한강하류역 주요 구석기유적의 사질각력층 내 유물층에 대한 고찰 -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석기의 해석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7) : 39-62, 2016

      10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 남한강유역과 한강본류역의 주요 유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주용, "한강유역 제4기 지질과 구석기유적 형성환경" 한국구석기학회 11-14, 2002

      12 김연주, "평창 진부 송정리 구석기 유적, in 강원도의 구석기 연구 현황과 성과" 한국구석기학회·국립춘천박물관 123-132, 2017

      13 김무중, "충주 호암동 유적" (재)중원문화재연구원·충주시청 2017

      14 이승원, "충주 송암리 왜실 유적"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한국농어촌공사 2014

      15 이정철,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중부고고학회 17 (17): 5-44, 2018

      16 이정철,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공작에 대한 지역적 특성의 고찰 -남한강 하류의 유적을 대상으로-" 백산학회 (95) : 5-36, 2013

      17 이융조, "제천 고명동 세거리 구석기유적"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한국철도시설공단 2012

      18 정연우, "원주 신평리유적" 제이영동고속도로(주)·(재)예맥문화재연구원 2015

      19 최승엽, "원주 송호동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원주시

      20 최승엽, "원주 보통리·무실동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16

      21 김주용, "여주 연양리 일대의 충적지형과 하성단구 퇴적층 형성 - DEM를 이용한 하천지형의 인식과 퇴적단면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13 (13): 71-84, 2006

      22 김영준, "여주 연양리 유적" 신복개발(주)·(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5

      23 김명진, "여주 연양리 구석기유적 광 여기 루미네센스(OSL) 연대측정, in 여주 연양리 구석기유적" 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영진씨엔아이(주) 425-438, 2007

      24 우종윤, "수양개유적 Ⅳ지구 후기 구석기시대의 석기구성과 변화양상"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Hanyang Unversity·Institute of East Asian Archaeology 53-58, 2017

      25 이융조, "수양개 구석기유적의 연대측정에 대하여, in 중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한국학술진흥재단 299-306, 2006

      26 김창환,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583-594, 2006

      27 김주용, "단양일대 남한강 유역의 제4기 하성 퇴적층 형성환경 연구" 한국고대학회 20 : 155-171, 2004

      28 이융조, "단양 수양개 후기구석기시대의 배모양석기의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5 : 3-77, 1989

      29 이승원, "단양 수양개 Ⅳ지구 구석기유적, in 제주도의 구석기 연구 현황과 성과" 한국구석기학회·국립제주박물관 113-127, 2015

      30 이융조, "단양 수양개 Ⅲ지구 구석기유적(10차)"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단양군 2013

      31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단양 수양개 Ⅲ지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1

      32 이정철, "남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편년 연구 - 하안단구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1 (11): 5-24, 2012

      33 이정철, "남한강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전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8) : 7-32, 2016

      34 임창주, "남한강 하류의 하안단구 연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 : 5-26, 1997

      35 박희두, "남한강 중·상류 분지의 퇴적층 층서와 지형편년" 국토지리학회 20 : 45-72, 1992

      36 한창균, "구석기유적 조사법, in 2007년도 제2회 매장문화재 조사연구원 교육"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19-147, 2007

      37 최승엽,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38 任昌周, "南漢江의 河岸段丘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0

      39 佐藤宏之, "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한국구석기학회 1 (1): 5-20, 2017

      40 LEE, Y. J., "Preliminary Study on Microblade-cores in Siberia with Suyanggae Typology, Recent Discoveries and Interpretations from Korean Paleolithic Sites(Ⅲ)" Institute of Korean Prehistory 17-22, 2010

      41 소상영,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백산학회 (103) : 31-55,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