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의 몸과 체화(體化) -유교 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Body and Embodiment in Goguryeo Mural Painting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3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고분벽화 속 인물의 몸은 벽화분 내 주요 출현 위치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천장고임부 천인들의 작고 유려한 몸, 둘째는 무덤칸 내부 생활 장면 속 인물들의 밋밋한 몸, 셋째는 무덤칸 경계부 장사들의 크고 우락부락한 몸이다. 이러한 차이는 인물의 의복 착용 상태와도 연관되어, 두 번째 부류는 몸의 대부분이 의복으로 가려져 있음에 비해, 첫 번째와세 번째 부류 중에는 상체나 다리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위 세 부류 각각에 대한 설명이 시도되기는 하였으나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위와 같이 대조적인 형태의 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현대의 이미지화되고 상품화된 몸에 길들여져 시각적 표현 주체와 대상을 서로로 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서구의 여러 학문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 ‘체화(體化, embodiment)’라는 개념을 고대 동아시아 유교 전통에서의 젠더화(genderization) 및 의례화 (ritualization)의 의미와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맥락화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인물 등장 고구려 벽화분 천장고임부에 주로 표현되는 천계(天界), 그리고 널길이나 무덤방 입구 벽면에 주로 표현되는 경계(境界)는 인물의 젠더화와 의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비-사회적 공간이었기 때문에 인물의 개성이나 드러난 몸 표현이 금지되지 않았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에 비해 무덤방 내부 벽면은 인물의 개성이나 생물학적인 몸보다 사회적 관계의 조화와 유지를 위해 젠더화되고 의례 화된 몸 표현이 중요했던 공간으로 이해하였다.
      번역하기

      고구려 고분벽화 속 인물의 몸은 벽화분 내 주요 출현 위치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천장고임부 천인들의 작고 유려한 몸, 둘째는 무덤칸 내부 생활 장면 속 인물들의 밋밋...

      고구려 고분벽화 속 인물의 몸은 벽화분 내 주요 출현 위치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천장고임부 천인들의 작고 유려한 몸, 둘째는 무덤칸 내부 생활 장면 속 인물들의 밋밋한 몸, 셋째는 무덤칸 경계부 장사들의 크고 우락부락한 몸이다. 이러한 차이는 인물의 의복 착용 상태와도 연관되어, 두 번째 부류는 몸의 대부분이 의복으로 가려져 있음에 비해, 첫 번째와세 번째 부류 중에는 상체나 다리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위 세 부류 각각에 대한 설명이 시도되기는 하였으나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위와 같이 대조적인 형태의 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현대의 이미지화되고 상품화된 몸에 길들여져 시각적 표현 주체와 대상을 서로로 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서구의 여러 학문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 ‘체화(體化, embodiment)’라는 개념을 고대 동아시아 유교 전통에서의 젠더화(genderization) 및 의례화 (ritualization)의 의미와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맥락화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인물 등장 고구려 벽화분 천장고임부에 주로 표현되는 천계(天界), 그리고 널길이나 무덤방 입구 벽면에 주로 표현되는 경계(境界)는 인물의 젠더화와 의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비-사회적 공간이었기 때문에 인물의 개성이나 드러난 몸 표현이 금지되지 않았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에 비해 무덤방 내부 벽면은 인물의 개성이나 생물학적인 몸보다 사회적 관계의 조화와 유지를 위해 젠더화되고 의례 화된 몸 표현이 중요했던 공간으로 이해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verse kinds of human or pseudo-human figures appear and disappear in Goguryeo mural paintings.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celestial beings near ceilings, social beings on the inside of chambers, and herculean beings on the border of chambers. While the celestial beings have free-floating slim bodies and the herculean beings huge or muscular bodies, the social beings have robot-like bodies. In previous studies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as separate topics from one another. In doing s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lationships among those three different forms of human or pseudo-human beings. To understand such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embodiment is introduced and examin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 culture. This leads to the suggestion that the contrast among the three forms of bodies was created and maintained as genderization and ritualization were closely intertwined in the definition and acknowledgement of social beings in 4-5C Goguryeo.
      번역하기

      Diverse kinds of human or pseudo-human figures appear and disappear in Goguryeo mural paintings.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celestial beings near ceilings, social beings on the inside of chambers, and herculean beings on the border of chambers. Whi...

      Diverse kinds of human or pseudo-human figures appear and disappear in Goguryeo mural paintings.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celestial beings near ceilings, social beings on the inside of chambers, and herculean beings on the border of chambers. While the celestial beings have free-floating slim bodies and the herculean beings huge or muscular bodies, the social beings have robot-like bodies. In previous studies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as separate topics from one another. In doing s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lationships among those three different forms of human or pseudo-human beings. To understand such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embodiment is introduced and examin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 culture. This leads to the suggestion that the contrast among the three forms of bodies was created and maintained as genderization and ritualization were closely intertwined in the definition and acknowledgement of social beings in 4-5C Gogurye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 고분벽화 속 인물
      • Ⅲ. 고구려 고분벽화의 체화된 세계와 몸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 고분벽화 속 인물
      • Ⅲ. 고구려 고분벽화의 체화된 세계와 몸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호태, "화상석 속의 신화와 역사" 소와당 2009

      2 信立祥, "한대 화상석의 세계" 학연문화사 2005

      3 전호태, "한국 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카넷 101-161, 2000

      4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5 김수민, "평양지역 고구려 벽화 狩獵圖에 보이는 生死觀" 고구려발해학회 15 : 6-, 2003

      6 이경희,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묘주복식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56) : 253-299, 2009

      7 이승환, "참을 수 없는 몸의 가벼움 -후기 근대 한국의 신체문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3 : 247-258, 2004

      8 홍성민, "질주하는 몸의 욕망과 자아의 재귀 -루키즘의 욕망과 동양의 신체미학-" 철학연구소 (44) : 267-302, 2011

      9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6: 고구려편(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90

      10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5: 고구려편(3)"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90

      1 전호태, "화상석 속의 신화와 역사" 소와당 2009

      2 信立祥, "한대 화상석의 세계" 학연문화사 2005

      3 전호태, "한국 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카넷 101-161, 2000

      4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5 김수민, "평양지역 고구려 벽화 狩獵圖에 보이는 生死觀" 고구려발해학회 15 : 6-, 2003

      6 이경희,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묘주복식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56) : 253-299, 2009

      7 이승환, "참을 수 없는 몸의 가벼움 -후기 근대 한국의 신체문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3 : 247-258, 2004

      8 홍성민, "질주하는 몸의 욕망과 자아의 재귀 -루키즘의 욕망과 동양의 신체미학-" 철학연구소 (44) : 267-302, 2011

      9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6: 고구려편(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90

      10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5: 고구려편(3)"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90

      11 임태홍, "유교가 한국 건국신화에 미친 영향" 한국유교학회 (29) : 269-301, 2007

      12 엄연석, "유가철학에서 몸과 마음의 상호관계" 인문학연구원 (38) : 185-216, 2006

      13 우정연, "영미 젠더고고학의 최신 동향 -체화(embodiment)와 성적 관행(sexuality)을 중심으로" 한강문화재연구원 4 : 27-46, 2010

      14 桓寬, "염철론" 소명출판 2002

      15 김현권, "안악3호분의 불교적 이해와 묘주도류의 화풍"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1) : 245-268, 2013

      16 윤종갑, "신라불교의 신체관과 영혼관 ­ 「삼국유사」와「삼국사기」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15) : 289-322, 2004

      17 강현숙, "시공을 뛰어 넘은 고구려 고분벽화 -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문화를 품다』(박아림, 2015), 『고구려 생활문화사 연구』(전호태, 2016) -" 고구려발해학회 59 : 275-296, 2017

      18 김석완, "선진시대(先秦時代) ‘수신(修身)’ 관념의 형성사(形成史)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39 (39): 1-35, 2017

      19 이춘식, "선진시대 공자와 유가의 화이관에 대하여" 중국학연구소 (15) : 1-20, 2002

      20 김성태, "몸 -주체성의 표현 형식" 한국철학회 43 : 37-59, 1995

      21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2005

      22 유초하, "동서의 철학적 전통에서 본 육체 -주희와 데카르트를 중심으로" 문화과학사 4 : 114-135, 1993

      23 김미영, "관혼상제에 투영된 유교적 세계관" 비교민속학회 (39) : 331-360, 2009

      24 전호태,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 풀빛 1999

      25 나희라, "고대 한국의 샤마니즘적 세계관과 불교적 이상세계" 한국고대사학회 20 : 197-249, 2000

      26 홍승현, "고대 중국 華夷觀의 성립과 성격 -春秋三傳의 검토를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57) : 187-226, 2008

      27 강현숙, "고구려와 비교해본 중국 한, 위·진의 벽화분" 지식산업사 2005

      28 전호태, "고구려 안악3호분 재론" 한국고대사학회 (44) : 127-153, 2006

      29 전호태, "고구려 쌍영총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46 : 83-119, 2013

      30 전호태, "고구려 생활문화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1 전호태, "고구려 벽화고분" 돌베개 2016

      32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무덤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모사도"

      33 전호태, "고구려 덕흥리벽화분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95) : 1-34, 2015

      34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35 임두빈,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학적 해석 - 안악3호분과 덕흥리 고분, 무용총 벽화의 인물풍속도를 중심으로 -" 예술과미디어학회 11 (11): 7-19, 2012

      36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25) : 247-290, 2009

      37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내세관 변천에 대한 논의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 사계절, 2000)-" 한국역사연구회 37 : 354-370, 2000

      38 임영애,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대중국의 서왕모신앙: 씨름그림에 나타난 ‘서역인’을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0 : 157-179, 1998

      39 李信和, "고구려 고분벽화에서의 氣運生動과 드로잉(Drawing)에 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40 이광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고대 동아시아의 조형의식과 표현 -안악3호분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단군학회 28 (28): 241-268, 2013

      41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읽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42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

      43 정완진,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4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진인진 2013

      45 소황옥,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한국 복식의 유형" 비교민속학회 (28) : 294-328, 2005

      46 금경숙,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인물상과 신분" 고려사학회 (21) : 9-40, 2005

      47 전호태, "고구려 각저총 벽화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57 : 1-42, 1996

      48 이승환, "감성의 철학" 민음사 125-171, 1996

      49 朴雅林, "高句麗 集安 地域 中期 壁畵古墳의 西域的 要素 硏究" 중국사학회 (50) : 25-61, 2007

      50 전호태, "高句麗 古墳壁畵와 동아시아 古代 葬儀美術" 고구려발해학회 16 : 3-, 2003

      51 김수민,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나는 문지기에 대한 小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8) : 69-108, 2011

      52 정수희, "高句麗 古墳壁畵 天人像에 관한 硏究- 飛天像과 飛仙像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06 (06): 19-64, 2002

      53 강현숙, "高句麗 古墳 壁畵에 표현된 觀念과 實際- 西域系 人物을 中心으로" 역사문화연구소 (48) : 3-40, 2013

      54 金基雄, "韓國의 壁畫古墳" 同和出版公社 1982

      55 안휘준, "韓國 古代繪畵의 特性과 意義(下): 三國時代의 人物畵를 中心으로" 국립중앙박물관 42 : 24-55, 1988

      56 조우연,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0) : 139-179, 2013

      57 이경구, "華夷觀과 文明ㆍ野蠻觀의 思惟 接點과 批判的 省察" 한국유교학회 (35) : 109-142, 2009

      58 權熹耕, "第3期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仙人·仙女像 및 奏樂天에 관한 硏究" 한국고대사학회 20 : 411-471, 2000

      59 홍승현, "漢代 華夷觀의 전개와 성격" 동북아역사재단 (31) : 191-238, 2011

      60 박현주, "德興里壁畵古墳 硏究 - 중국의 지역적 영향관계와 도상의 연원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학회 (253) : 2006

      61 徐榮洙, "廣開土大王陵碑文의 征服記事 再檢討(中)" 119 : 91-129, 1988

      62 徐榮洙, "廣開土大王陵碑文의 征服記事 再檢討(上)" 96 : 1-55, 1982

      63 박선희, "壁畵를 通해서 본 高句麗의 옷차림文化" 고구려발해학회 (17) : 11-44, 2004

      64 유강하, "圖像學的 시각에서 본 高句麗 安岳3號墳과 中國 沂南漢墓 무덤 壁畵" 동북아역사재단 (36) : 7-52, 2012

      65 김경호, "古代 東아시아 社會에서의 ‘同[共存]’과 ‘異[對立]’ -漢代 邊境支配 秩序를 中心으로" 효원사학회 51 : 33-63, 2017

      66 조민환, "儒家美學에서 바라 본 몸" 동양철학연구회 18 : 429-457, 1998

      67 이영찬, "‘몸’에 대한 유교적 인식― 유교사회학 정립을 위한 예비적 논의" 동양사회사상학회 (15) : 135-160, 2007

      68 Grosz, E., "Volatile Bodies: Toward A Corporeal Feminism"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69 Merleau-Ponty, M.,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2

      70 Foucault, M.,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I: An Introduction" Pantheon Books 1978

      71 Giddens, A.,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Polity Press 1984

      72 Shilling, C., "The Body in Culture, Technology & Society" SAGE 2005

      73 Bourdieu, P.,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74 Sørensen, M. L. S., "Gender Archaeology" Polity Press 2000

      75 Rosenlee, L-H., "Confucianism and Women: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76 Hahm, C., "Confucian Rituals and the Technology of the Self: A Foucaultian Interpretation" 51 (51): 315-324, 2001

      77 Elkins, J., "Comment on Self-representation in Upper Palaeolithic female figurines" 37 : 255-258, 1996

      78 Butler, J.,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Routledge 1993

      79 Hodder, I., "Archaeology beyond Dialogue" University of Utah Press 2003

      80 Joyce, R. A., "A Companion to Social Archaeology" Blackwell Publishing 82-95, 2004

      81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에 나타난 高句麗 天下의 공간범위와 주변 族屬에 대한 인식" 역사문화연구소 (32) : 3-48, 2009

      82 盧泰敦, "5세기 金石文에 보이는 高句麗人의 天下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 : 31-66, 1988

      83 강희정, "5~7세기 고구려인의 사후세계에 대한 관념 분석 -고분벽화와 불교조각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12 : 217-263, 2006

      84 박아림, "4-5세기 고구려와 중국 고분벽화의묘주 표현에 보이는 문화적 포용성에 대하여" 고구려발해학회 60 : 253-283, 2018

      85 梁起錫, "4-5C 高句麗 王者의 天下觀에 대하여" 호서사학회 11 : 25-45,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