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Scienc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ts Di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0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9개의 iSchool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내 교과와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한다. iSchool은 건강, 기술, 바이오 분야를 비롯한 관련 분...

      본 연구는 69개의 iSchool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내 교과와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한다. iSchool은 건강, 기술, 바이오 분야를 비롯한 관련 분야로 그 교과 영역을 확장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국내 교과에서는 인접학문과 융합하려는 현상은 활발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영역 역시 iSchool이 집중하는 분야인데, 일반적인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관리, 데이터 보안 등에 중점을 둔 교과가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교과 분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과의 비중이 높았으며, 비슷한 비중으로 통계와 분석법이 제공되고 있었다. iSchool의 교과를 분석하고 국내 사례와 비교해 본 결과 본 논문은 국내 문헌정보학이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를 확대하고, 병진 데이터 사이언스로의 역할을 강화하며, 수리적 분석 능력을 키우는 교과를 개발하되, 특성화된 교과를 발굴하여 실험적인 수업을 제공하고,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지식을 제공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s 69 iSchools provided which data scienc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direction for Korean LIS schools. It is certain that iSchools extend their subject territory including areas related to health,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Ho...

      This study determines 69 iSchools provided which data scienc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direction for Korean LIS schools. It is certain that iSchools extend their subject territory including areas related to health,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However, this phenomenon is not actively observed in Korea. iSchools also focus on the area about how to process and manage data. iSchools, in deed, offer courses regarding data science, data management and data security. The 'database' was a higher proportion of 'data warehouse' curriculum, and, 'data statistic and analysis' curriculum are forming similar por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School's curriculum and comparison with Korean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the expansion of LIS curriculum related to data science; the enhanced role of the data translational data science; development of curriculum to raise the mathematical analysis capabilities, development of specialized curriculum and experimental classes; and support new knowledge skills to interact with techn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신, "한국형 iSchool 탐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277-294, 2013

      2 한국정보화진흥원, "새로운 미래를 여는 빅데이터 시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2002, 2013

      3 강보라, "북미지역 iSchool 대학과 L-School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95-314, 2013

      4 이명호, "데이터 사이언스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263-290, 2016

      5 차미경, "대학교육환경의 변화와 문헌정보학과 명칭에 관한 고찰" 85-104, 2016

      6 강지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도입 현황" 339-349, 2016

      7 Chu, Heting, "iSchools and non-iSchools in the USA: An examination of their master's programs" 29 (29): 1-17, 2012

      8 iSchools, "iSchools"

      9 장윤금, "iSchool 대학의 발전, 교육 및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8 (48): 369-386, 2014

      10 장덕현, "iSchool 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135-154, 2015

      1 이성신, "한국형 iSchool 탐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277-294, 2013

      2 한국정보화진흥원, "새로운 미래를 여는 빅데이터 시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2002, 2013

      3 강보라, "북미지역 iSchool 대학과 L-School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95-314, 2013

      4 이명호, "데이터 사이언스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263-290, 2016

      5 차미경, "대학교육환경의 변화와 문헌정보학과 명칭에 관한 고찰" 85-104, 2016

      6 강지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도입 현황" 339-349, 2016

      7 Chu, Heting, "iSchools and non-iSchools in the USA: An examination of their master's programs" 29 (29): 1-17, 2012

      8 iSchools, "iSchools"

      9 장윤금, "iSchool 대학의 발전, 교육 및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8 (48): 369-386, 2014

      10 장덕현, "iSchool 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135-154, 2015

      11 Li Si,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data specialists" Emerald 31 (31): 700-724, 2013

      12 Conway, Drew, "The Data Science Venn Diagram"

      13 Tagxedo, "Tagxedo"

      14 Riley-Huff, Debra A., "Librarians and Technology Skill Acquisition: Issues And Perspectives" 30 (30): 129-140, 2011

      15 Branson, Robert K., "Interservice procedures for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Executive summary and model. TRADOC Pam 350-30 NAVEDTRA 106A"

      16 Abels, Eileen G., "Envisioning Our Information Future And How To Educate For It" 57 (57): 84-93, 2016

      17 Cleveland, William S., "Data Science: An Action Plan For Expanding the Technical Areas of the Field of Statistics" 69 (69): 21-26, 2001

      18 Mattmann, Chris A., "Cultivating a Research Agenda for Data Science" 1 (1): 1-8, 2014

      19 Maceli, Monica, "Creating Tomorrow's Technologists: Contrasting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in North Americ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Programs against Code4lib Job Listings" 56 (56): 198-212, 2015

      20 Kim, Jeonghyun, "Competencies Required for Digital Curation: An Analysis of Job Advertisements" 8 (8): 66-83, 2013

      21 DataScience. Community, "Colleges"

      22 Lyon, Lizand, "Bridging the Data Talent Gap: Positioning the Ischool as an Agent for Change" 10 (10): 111-122, 2015

      23 Lyon, Liz, "Applying Translational Principles To Data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2015

      24 Donoho, David, "50 years of Data Science"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