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독교 대학교의 학원 선교에 관한 연구 : 관동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ngelical Mission of Education Institutes in the Christian University : Centered on Kwandong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05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rojects focuses on the effective role for the evangelical mission of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through the example of Kwandong university whose founding spirit is the main ideas of Christianity, which are faith, hope, and love. S...

      This research projects focuses on the effective role for the evangelical mission of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through the example of Kwandong university whose founding spirit is the main ideas of Christianity, which are faith, hope, and lov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when Protestant Christianity came over to the land of Korea, the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so rapidly grown up that many other Christian nations cannot disregar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s rocket-like growth. Interestingly enough, its amazing growth has not been limited to the realm of churches, but also importantly has given some strong impacts upon the secular world of education in such a way of establishing many schools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spirit.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have made attempts to evangelize their students with the Christian messages grounded on the Scripture. They have posed their major goals to bring up lots of good Christian workers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would be fully Christianized through the gospels of Jesus Christ. They have been founded to be a crucial means of Christian evangelization.
      However, it also true that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in Korea did not completely achieve what they had planned and expected for the evange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general, they put their mission aims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tried to come true them simply in terms of teachings and practices. This made a mistake to overlook the concrete living situations of their students as well as what they thought, what they felt, and what they wanted. To edify students with the Christian teaching and practice is not just to imbue them with the Christian concepts. It required, before tha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specific way of thinking and living in actual contexts. In my idea,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have failed to meet such fundamental requirements for the effective evangelical education of Korean students. They should change their past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the appropriate reconstruction of their teaching mission in the light of revolutionary socio-cultural and techno-scientific change today. Without the deep consideration of this changing development, the evangelical goal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will be hardly attained.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project searching for the fruitful role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This projects begins with the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historical identity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in Korea, and deal with the evangelical education history of Kwandong university as a significant example of Korean Christian mission schools. Then it discusses about the current problem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today on the basis of a specific question-and-answer card research, and suggests an alternative way for the renewal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which emphasizes the need to reform some education strategies and actual teaching courses, such as mandatory courses of chapel worship and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s. Of course, this work does not completely cover all issue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But I do hope that it be a meaningful foundation to develop them in such a way that all Korean Christian mission schools are complimented to glorify G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논문에 대한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우리 대학교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논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원선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로 학원 선교...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논문에 대한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우리 대학교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논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원선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로 학원 선교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학원 선교의 배경을 역사적인 부분과 신학적인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학원선교의 역사를 한국 땅에 선교사가 공식적으로 들어왔던 1885년 이후부터 1900년대 초반기까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 현장으로서의 대학 선교의 특징과 대학생 선교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대학교의 학원 선교 53년의 역사를 설립배경, 태동기(1954-1969), 성장기(1970-1988), 발전기(1989-2000), 도약기(2001-현재)로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청년의 정황적 실상인 정체성의 혼란, 고독, 대학의 문화에 대해 자세하게 연구 분석 하였다.
      Ⅲ장에서는 기독교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학원 선교의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 대학교 1학년 26개학과 315명에게 5개 영역 ①학교 정체성에 관한 사항 ②기독교 교과목에 수업에 대한 반응 ③채플에 관한 사항 ④종교관에 관한 사항 ⑤현재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학생들의 신앙상태 조사 사항으로 나누어서 신앙 의식구조 설문조사를 하여 설문 응답자 203명의 응답 결과를 근거 자료로 하여, 학원 선교의 현 상황을 자세하게 분석하였으며, 학원 선교에 당면한 문제점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어 효과적인 학원 선교 방안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Ⅳ장에서는 5개영역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자료를 가지고 효과적인 학원 선교를 위한 방안으로 선교전략을 3가지 측면 ①학교의 구조적인 면을 통한 선교전략 ②기독교 교과목을 통한 선교 전략 ③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으로 세분화하여 기독교 이념으로 세워진 우리 대학교 8045명의 재학생에게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학원 선교 전략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는 학교정책을 통한 구체적인 선교전략으로 본 학교가 기독교 학교임을 알릴 수 있는 학교의 기반 조성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한 교내·외에 학교 홍보 , 학생들의 신앙상담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기독교 교과목을 통한 선교전략으로 교수가 기독교 교과목을 수업하는 첫 강의 시간에 구체적으로 강의의 목적 및 학교의 설립이념과 취지 및 목적의 자세한 설명을 통한 선교전략과 강의 내용을 통한 선교전략, 강의 방식을 통한 학원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으로 예배의 기본 방향을 통한 선교전략, 예배의 본질은 변함이 없지만 신세대의 문화에 맞는 예배 형태를 통한 선교전략, 학생들이 채플만을 전용으로 드릴 수 있는 장소를 통한 선교전략, 설교를 통한 선교전략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총 결론부분으로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기독교 학교에서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영광이 되는 학원선교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학교의 각종 정책을 통한 선교전략과 기독교 과목을 통한 구체적인 선교전략 및 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을 연구하여 실행에 옮기는 것뿐만 아니라, 기독교에 학교에 들어와 학원 선교에 매진하고 있는 교수들과 직원들이 지속적으로 학원 선교를 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신앙의 성장과 성숙을 위한 성경공부, 양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대학교 안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교 단체들이 연합하여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교방법 및 선교프로그램 개발, 교목실과 대학교회를 통한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선교 전략, 기독교 학교들과의 연합을 통한 선교 전략 등을 비롯한 학원 선교 전략들이 향 후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Ⅱ. 학원 선교에 대한 역사적 고찰 = 3
      • 1. 학원 선교의 역사 = 3
      • Ⅰ. 서론 =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Ⅱ. 학원 선교에 대한 역사적 고찰 = 3
      • 1. 학원 선교의 역사 = 3
      • 1) 학원 선교의 개념 = 3
      • 2) 학원 선교의 배경 = 6
      • 3) 한국 학원 선교의 역사 = 11
      • 2. 대학 선교의 특징 = 15
      • 1) 선교 현장으로서의 대학교 = 15
      • 2) 대학생 선교의 의미와 가치 = 16
      • 3. 관동대학교 학원 선교의 역사 = 19
      • 1) 설립배경 = 19
      • 2) 태동기(1954-1969) = 22
      • 3) 성장기(1970-1988) = 23
      • 4) 발전기(1989-2000) = 26
      • 5) 도약기(2001-현재) = 28
      • 4. 대학청년의 정황적 실상 = 31
      • 1) 정체성의 혼란 = 31
      • 2) 고독 = 34
      • 3) 대학의 문화 = 35
      • Ⅲ. 학원 선교 대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및 분석 (관동대학교를 중심으로) = 38
      • 1. 조사 범위와 방법 = 38
      • 1) 조사 대상 = 38
      • 2) 설문조사 방법 및 범위 = 41
      • 3) 설문조사 기간 = 44
      • 4) 설문자료 처리방법 = 44
      • 2. 설문조사 내용 분석 및 결과 = 45
      • Ⅳ. 학원 선교를 위한 대안 = 79
      • 1. 학교정책을 통한 선교전략 = 79
      • 1) 선교 기반 조성 = 79
      • 2) 교내.외 홍보 = 81
      • 3) 신앙상담 = 82
      • 2. 기독교 교과목을 통한 선교전략 = 84
      • 1) 기독교 교과목 = 84
      • 2) 강의 내용 = 85
      • 3) 강의 방식 = 87
      • 3. 채플을 통한 선교전략 = 89
      • 1) 예배의 기본방향 = 89
      • 2) 신세대에 맞는 예배형태 모색 = 90
      • 3) 예배의 장소 = 92
      • 4) 설교 = 93
      • Ⅴ. 결론 = 94
      • 참고문헌(Bibliography) = 96
      • 부록(Appendix) = 99
      • ABSTRACT =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