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성분 및 혈청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9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 after 12weeks aerobic exercise. Subjects were composed of fourteen hypertension elderly women without regular exercise habit. HRmax was determined for each subjects by administering a treadmill exercise test. The exercise intensities are decided by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HRmax and speed(m/min). Subjects were exercise during 12weeks(50% HRmax, 4 frequencies /week, 1 hour/day),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pre and post exercise.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was as critical level for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eight and %fat were decreased after 12weeks aerobic exercise. 2.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ilic blood pressure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aerobic exercise. 3. TC, TG and LDL-C were decreased and HDL-C was increased ater 12weeks aerobic exercise. In conclusion, Aerobic exercise was shown to positive influence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oproteins. so it may help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elderly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 after 12weeks aerobic exercise. Subjects were composed of fourteen hypertension elderly women without regular exercise habit. HRmax was determined for ea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 after 12weeks aerobic exercise. Subjects were composed of fourteen hypertension elderly women without regular exercise habit. HRmax was determined for each subjects by administering a treadmill exercise test. The exercise intensities are decided by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HRmax and speed(m/min). Subjects were exercise during 12weeks(50% HRmax, 4 frequencies /week, 1 hour/day),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pre and post exercise.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was as critical level for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eight and %fat were decreased after 12weeks aerobic exercise. 2.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ilic blood pressure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aerobic exercise. 3. TC, TG and LDL-C were decreased and HDL-C was increased ater 12weeks aerobic exercise. In conclusion, Aerobic exercise was shown to positive influence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oproteins. so it may help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elderly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실험방법
      • 3. 통계처리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실험방법
      • 3. 통계처리
      • Ⅲ. 결과
      • 1. 신체구성 성분
      • 2. 혈청지질
      • 3. 혈압
      • Ⅳ. 논의
      • 1. 신체구성 성분
      • 2. 혈청지질
      • 3. 혈압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운, "한국인 관상동맥 질환 의 진단 지표에 관한 연구" 10 : 27-38, 1990

      2 김유섭, "지속적인 훈련이 지단백 대사반응에 미치 는 영향" 36 (36): 191-204, 1997

      3 김현수, "저 강도 근력 트레이닝이 고령자의 활동 체력과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39 (39): 432-442, 2000

      4 허만동, "장기간의 생활 습관화된 운동이 노인의 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8 (28): 465-474, 2006

      5 최문기, "장기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신체조성, 골밀도 및 혈중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7 (17): 351-362, 2008

      6 서영조,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환자의 심혈관 계합병증에서의 아포지단백에 관한 연구" 18 (18): 154-165, 1994

      7 윤미숙, "유산소운동이 고혈압환자의 혈청지질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18 (18): 193-203, 2000

      8 김동제, "유산소운동과 유산소 운 동 및 저항성 근력병행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 년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5 (5): 94-106, 2009

      9 이배익,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체조성과 건강관련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727-740, 2003

      10 박상갑, "유산소 운동이 고령여성의 심폐기능 및 아포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10 (10): 2001

      1 권석운, "한국인 관상동맥 질환 의 진단 지표에 관한 연구" 10 : 27-38, 1990

      2 김유섭, "지속적인 훈련이 지단백 대사반응에 미치 는 영향" 36 (36): 191-204, 1997

      3 김현수, "저 강도 근력 트레이닝이 고령자의 활동 체력과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39 (39): 432-442, 2000

      4 허만동, "장기간의 생활 습관화된 운동이 노인의 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8 (28): 465-474, 2006

      5 최문기, "장기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신체조성, 골밀도 및 혈중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7 (17): 351-362, 2008

      6 서영조,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환자의 심혈관 계합병증에서의 아포지단백에 관한 연구" 18 (18): 154-165, 1994

      7 윤미숙, "유산소운동이 고혈압환자의 혈청지질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18 (18): 193-203, 2000

      8 김동제, "유산소운동과 유산소 운 동 및 저항성 근력병행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 년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5 (5): 94-106, 2009

      9 이배익,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체조성과 건강관련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727-740, 2003

      10 박상갑, "유산소 운동이 고령여성의 심폐기능 및 아포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10 (10): 2001

      11 이청무, "운동형태가 중년 여성의 골밀도, 체지방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10 (10): 113-123, 1997

      12 이학중, "우리나라 뇌졸중의 현황과 나가야할 방 향" 21 : 671-675, 1991

      13 조완주, "요가와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571-579, 2011

      14 이옥희, "연령 증가에 따른 성인 여성의 근력과 체격, 단백질 영양 및 운동습관과의 관계" 한국운동영양학회 7 (7): 197-207, 2003

      15 김경한, "수중과 지상에어로빅스 운동이 대사증후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467-477, 2009

      16 서해근, "서키트 트레이닝이 중년 여성의 신체조성과 혈 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18 (18): 66-73, 2000

      17 전채린, "복합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고령 여성 고 혈압 환자의 혈압, 신체조성지표, 체력, 혈액성 분에 비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18 박용우, "내 몸 다이어트 설명서" 김영사 158-, 2008

      19 김일곤, "고혈압환자의 지구성운동 참여가 혈압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36 (36): 423-431, 2003

      20 유언호, "고지혈중의 진단과 치료" 도서출판 한의 학 28-47, 2000

      21 김현수, "고령자의 걷는 습관이 유산소성 능력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14 (14): 1996

      22 박상갑, "걷기운동이 중년여성의 에너지 소비, 혈압, 혈중지질에 미 치는 영향" 14 (14): 362-368, 1996

      23 소위영, "걷기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순환기능, 체력 및 혈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85-94, 2007

      24 Duncan, J. J, "Women Walking for health and fitness" 266 : 3295-3299, 1991

      25 ACSM, "The recommanded quality and quant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and muscular fitness and flexibility in healthy adults" 30 : 975-991, 1998

      26 Campaigne, B. N, "The effects of physical training on blood lipid profiles in adolescent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13 (13): 83-89, 1985

      27 Golderg, L. 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Med. Clin.. North Am 41-55, 1985

      28 Sun, Y, "Study of exercise and serum lipids and puberty" 12 (12): 193-196, 1991

      29 Kullo, I.J, "Relation of low cardiorespiatory fitness to the metabolic syndorme in middle-aged men" 90 : 795-797, 2003

      30 Weintraub, M. S, "Physical exercise conditioning in the absence of weight loss reduces fasting and postprandial triglyceride-rich lipoprotein levels" 79 (79): 1007-1014, 1989

      31 Hmheim, D. D, "Modern principles of athletic training" St, Lpuis : Times Mirror/Mosby College publishing 1989

      32 Gotte, A. M, "Introduction to the plasma lipoproteins" 128 : 3-40, 1986

      33 Blair, S. N,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good for health" 13 : 99-126, 1992

      34 Herbert, P. N, "High density lipoprotein metabolism in runners and sedentary man" 252 : 1034-1037, 1984

      35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5-219, 1995

      36 Whitehurst, M, "Endurance training in older woman, Lipid and Lipoprotein responses" 19 : 95-103, 1991

      37 Haglund, O, "Effects of fish oil-supplemented with pyridxine and folic acid on homocysteine, atherogenic index man" 13 : 1351-1365, 1993

      38 Lampman, R. M,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glucose control,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vity in hypertriglyceridemia and non-insullin dependent diabetes melitus" 23 (23): 703-712, 1991

      39 Rogers M. E, "Effects of dumbell and elastic band training on physical function in older inner-city African_American women" 36 (36): 2002

      40 Ekblom, B,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adolescent boys" 27 : 350-355, 1981

      41 Hagberg, J.M,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60-69yr old person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64 : 348-353, 1989

      42 King, A. C, "Diet vs exercise in weight maintenance: the effects of minimal intervention strategies on long-term outcomes in men, Arch" 149 : 2741-2746, 1989

      43 Nicklas. B, "Diet induced weight loss.exercise and chronic inflamation in olderobese adults: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ail" 79 (79): 544-551, 2004

      44 Gorden, P.M, "Comparison of exercise and normal variability on HDL-C and lipolytic activity" The international J. of Sports Med 1996

      45 Jones, P. H, "Assessment of lipid abnormalities in the heart. edited by Hurst. J. W. 7th eds" International edition 378-388, 1990

      46 문장빈, "12주간의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05

      47 나재철, "12주간 유산소운동과 저항성트레이닝 복합 운동이 중년 여성의 혈중 지질, 지단백 및 아포 지단백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구보건대학 논문집 401-411, 2003

      48 신원태,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노인여성의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79-190, 2010

      49 이재구,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중, 중 고령자의 신체조성, 혈중변인, 생리적인 변인 및 근력에 미친 효과" 7 : 11-23, 2003

      50 정진욱, "12주 한국무용참여가 당뇨병과 고혈압 노인여성의 순환계와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7 (7): 73-8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