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추진해온 임대와 분양을 섞는 사회적 혼합을 도입한지 12년이 경과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혼합에 따른 분쟁과 쟁점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지만 이에 대한 대안은 많지 않다.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가 추진해온 임대와 분양을 섞는 사회적 혼합을 도입한지 12년이 경과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혼합에 따른 분쟁과 쟁점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지만 이에 대한 대안은 많지 않다. 사회...
서울시가 추진해온 임대와 분양을 섞는 사회적 혼합을 도입한지 12년이 경과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혼합에 따른 분쟁과 쟁점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지만 이에 대한 대안은 많지 않다.
사회적 혼합을 추진하면서 발생하는 갈등, 먼저 조성된 사회적 혼합 단지의 각종 민원, 주택관리상의 문제점, 사회적 혼합을 위한 프로그램과 예산 부족, 신규단지 개발에서 나타나는 단지배치 등 여러 문제점이 있어 사회적 혼합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서울시가 당면한 문제는 기존 단지의 관리상의 문제와 특히 신규 개발하는 단지에 적용하는 사회적 혼합에 대한 문제와 갈등의 요소는 계속 존재하고 있다.
캐나다의 사회적 혼합의 30년 경험의 사례연구에서 주는 시사점을 찾아 해결책을 모색해 보았다. 캐나다의 신규 사회적 혼합단지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에서는 사회적 혼합의 정책, 계획과 디자인의 단계별로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에 서울시가 당면한 사회적 혼합에서 제기되거나 이슈화되는 쟁점들에 대해 사회적 혼합정책, 사업적 혼합계획, 사회적 혼합디자인, 사회적 혼합단지관리의 개선 그리고 사회적 혼합단지거주자의 인식개선을 위해 고려하여할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훈, "혼합주택단지에 대한 법적 연구" 법학연구소 18 (18): 173-198, 2015
2 국토해양부, "해외 주거복지정책 사례연구" 2012
3 최윤정, "주택재개발단지에서 사회적 혼합(Social Mix)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현영, "임대주택의 혼합배치가 사회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 (17): 25-41, 2011
5 김준형,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53-163, 2005
6 박관민, "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연구: 용인시 동백지구를 사례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2 (22): 107-131, 2009
7 권세연, "영국 사회주택의 사회혼합정책 연구" 한국주택학회 17 (17): 165-189, 2009
8 박근석, "소셜 믹스의 문제와 향후 방향" 54 (54): 2010
9 오정석, "서울시 혼합단지의 갈등사례 및 인식조사 연구: 공공임대주택과 분양주택 입주민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61-93, 2013
10 박광재, "사회통합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방향" 54 (54): 2010
1 이종훈, "혼합주택단지에 대한 법적 연구" 법학연구소 18 (18): 173-198, 2015
2 국토해양부, "해외 주거복지정책 사례연구" 2012
3 최윤정, "주택재개발단지에서 사회적 혼합(Social Mix)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현영, "임대주택의 혼합배치가 사회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 (17): 25-41, 2011
5 김준형,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53-163, 2005
6 박관민, "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연구: 용인시 동백지구를 사례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2 (22): 107-131, 2009
7 권세연, "영국 사회주택의 사회혼합정책 연구" 한국주택학회 17 (17): 165-189, 2009
8 박근석, "소셜 믹스의 문제와 향후 방향" 54 (54): 2010
9 오정석, "서울시 혼합단지의 갈등사례 및 인식조사 연구: 공공임대주택과 분양주택 입주민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61-93, 2013
10 박광재, "사회통합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방향" 54 (54): 2010
11 천현숙, "사회통합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방안" 2010
12 정성기, "사회적 혼합이 전제된 공동주택의 평형혼합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3 이혜진, "사회적 혼합아파트의 사회통합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혜진, "사회적 혼합아파트에 대한 거주자 인식 연구" 한국주거학회 23 (23): 1-14, 2012
15 이혜진, "사회적 혼합아파트 거주자의 혼합유형 선호특성과 사회적 행태 연구 -서울시 은평뉴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1 (11): 69-77, 2011
16 남상호, "사회적 혼합 주거단지의 갈등관리- 서울시에서 조성된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265-286, 2014
17 국민권익위원회, "분양‧임대 혼합단지 및 공공임대주택 관리체계 개선" 2012
18 이주현, "분양·임대 아파트 혼합주거단지의 공간구성과 사회적 혼합" (58) : 2012
19 천현숙, "보금자리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9
20 천현숙, "보금자리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 방안" 54 (54): 2010
21 박근석, "보금자리 임대주택의 효율적 관리방안" 토지주택연구원 2010
22 김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사회적혼합 개발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7
23 강태균, "공동주택관리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아파트 관리비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회계학회 (49) : 405-430, 2013
24 주택산업연구원, "공동주택관리 제도개선 성과평가 및 보완연구" 2011
25 나강열, "가구특성에 따른 국민임대주택단지의 혼합방안 선호도 차이-남양주별내와 고양삼송국민임대주택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4 (14): 57-84, 2006
26 김주영, "가구특성에 따른 계층혼합의 수용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50 : 199-215, 2006
27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72708374515025&outlink=1"
28 "http://www.khmn.co.kr/print_paper.php?number=4900"
29 "http://www.hap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76"
30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82216111342067"
31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62611214616018"
32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112714315968093"
33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88672"
34 "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48150"
35 "http://m.bizwatch.co.kr/?mod=mview&uid=600"
36 "http://haerang.tistory.com/1172"
37 Alan Morris, "Is social mixing of tenures a solution for public housing estates?" School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3
38 Joël Thibert, "Inclusion and Social Housing Practice in Canadian Cities : Following the Path from Good Intentions to Sustainable Projects" Canadian Policy Research Networks 2007
39 Giulia MELIS, "HOUSING AND SOCIAL MIX"
40 박경란, "20대의 주거권에서 본 주거복지와 소셜믹스" 54 (54): 201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5 | 0.14 | 0.34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