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남미 지역 대학의 한국어․한국학 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한국어 관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남미 지역 대학의 한국어․한국학 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한국어 관련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남미 지역 대학의 한국어․한국학 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한국어 관련 학과가 개설된 주요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 한국어 교육과정으로서 한국어와 한국학이 연계되는 교육과정 설계를 제안하였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과정이 갖는 장점을 일곱 가지로 정리하여 그 특징을 보이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overseas. It looks into how the universit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each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nd analys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overseas. It looks into how the universit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each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nd analyses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that offer a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or its analogies.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what to improv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ose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designing the curricula of the courses by connecting the Korean language with Korean studies as an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ones.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ducation curriculum with seven advantag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완범, "해외한국학현황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김지형, "해외 한국학 온라인 강의의 구성과 운영 방안" 한국어문학회 (132) : 51-76, 2016
3 한국국제교류재단, "해외 한국학 백서" 을유문화사 2018
4 이정희,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42) : 431-472, 2018
5 관계부처 합동,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체계 개선 세부 실행방안 보도자료"
6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7 "한국국제교류재단 홈페이지 KF 통계센터 해외대학한국학현황"
8 "페루 산마르코스국립대 언어센터"
9 "콜롬비아 콜롬비아국립대 메데진 캠퍼스 언어 센터"
10 "콜롬비아 EAFIT대 아시아태평양센터"
1 이완범, "해외한국학현황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김지형, "해외 한국학 온라인 강의의 구성과 운영 방안" 한국어문학회 (132) : 51-76, 2016
3 한국국제교류재단, "해외 한국학 백서" 을유문화사 2018
4 이정희,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42) : 431-472, 2018
5 관계부처 합동,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체계 개선 세부 실행방안 보도자료"
6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7 "한국국제교류재단 홈페이지 KF 통계센터 해외대학한국학현황"
8 "페루 산마르코스국립대 언어센터"
9 "콜롬비아 콜롬비아국립대 메데진 캠퍼스 언어 센터"
10 "콜롬비아 EAFIT대 아시아태평양센터"
11 한국국제교류재단, "지구촌 한류 현황 Ⅰ․Ⅱ" ㈜ 케이에스센세이션 2018
12 민원정, "중남미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의 발전적 연계를 위한 한류활용방안,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의 발전적 연계" 54-60, 2011
13 방성원, "웹 기반 한국어 과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63-184, 2005
14 서진숙, "온라인 강의를 활용한 해외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 사례 연구 - 체코 찰스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65) : 223-256, 2016
15 "아르헨티나 투구만대"
16 "아르헨티나 라플라타국립대 국제관계연구소 한국학센터"
17 "브라질 상파울루대 철학문학인문학부(한국어문학전공)"
18 "브라질 브라질연방대 국제언어교육원"
19 장미라, "문화 기반 초급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회 (116) : 103-130, 2012
20 경희사이버대학교,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교육 시범사업 결과 보고서" 한국국제교류재단 2019
21 김지형, "2017 국외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 결과보고서 Ⅱ: 유럽,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세종학당재단 2018
다차원 분석 활용 대학생 영어 학습자 프레젠테이션 연구: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7 | 0.843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