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차원 분석 활용 대학생 영어 학습자 프레젠테이션 연구: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university English learners’ oral presentation with multi-dimensional analysis: Focusing on informative and persuasive pres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4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glish oral presentation is a key target genre in speaking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an essential skill for foreign language major as well as for prospective job applicants. Achieving competitive proficiency of oral presentation is a demanding task for university students, as it is a genre that consists of both oral and written language skills. This study examines Korean learners’ script for oral presentation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 statistical technique. Two sub-genres, informative and persuasive genres are compared with speeches from two native corpora.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informative and persuasive presentation text were overall similar to each other with only a few differences in Dimension 4(overt expression of persuasion).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speeches, Korean students’ speeches are found to be more involved in tone and more formal in style. Students use highly direct and explicit expressions and present their ideas in more abstract way. These findings can serve as fundamentals fo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English presentation as a genre and for identifying target genres for teaching oral presentation.
      번역하기

      English oral presentation is a key target genre in speaking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an essential skill for foreign language major as well as for prospective job applicants. Achieving competitive proficiency of oral presentation is a demandi...

      English oral presentation is a key target genre in speaking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an essential skill for foreign language major as well as for prospective job applicants. Achieving competitive proficiency of oral presentation is a demanding task for university students, as it is a genre that consists of both oral and written language skills. This study examines Korean learners’ script for oral presentation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 statistical technique. Two sub-genres, informative and persuasive genres are compared with speeches from two native corpora.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informative and persuasive presentation text were overall similar to each other with only a few differences in Dimension 4(overt expression of persuasion).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speeches, Korean students’ speeches are found to be more involved in tone and more formal in style. Students use highly direct and explicit expressions and present their ideas in more abstract way. These findings can serve as fundamentals fo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English presentation as a genre and for identifying target genres for teaching oral presen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어 프레젠테이션은 국내 대학의 영어 강의에서 다루는 주요 장르이자, 취업에도 요구되는 필수 역량이다. 그러나 수준 높은 프레젠테이션 수행에는 구어와 문어를 모두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됨으로, 영어 학습자들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대학생들의 영어 프레젠테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프레젠테이션 원고를 다차원 분석이라는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작성한 두 종류의 프레젠테이션, 즉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원어민 코퍼스의 연설(speeches) 및 다른 장르들과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은 직접적인 설득 표현(차원 4)을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원어민 코퍼스와 비교한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개인적인 어조가 강하면서도, 격식을 차린 스타일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에는 매우 직접적인 어투와 명시적인 지칭 표현이 사용되지만, 의견 전달 방식은 명료하기보다는 오히려 추상적인 경향이 있어서 발표가 전체적으로 어렵고 딱딱하게 들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대학 영어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원고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그리고 영어 발표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영어 프레젠테이션은 국내 대학의 영어 강의에서 다루는 주요 장르이자, 취업에도 요구되는 필수 역량이다. 그러나 수준 높은 프레젠테이션 수행에는 구어와 문어를 모두 다룰 수 있는 능력...

      영어 프레젠테이션은 국내 대학의 영어 강의에서 다루는 주요 장르이자, 취업에도 요구되는 필수 역량이다. 그러나 수준 높은 프레젠테이션 수행에는 구어와 문어를 모두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됨으로, 영어 학습자들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대학생들의 영어 프레젠테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프레젠테이션 원고를 다차원 분석이라는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작성한 두 종류의 프레젠테이션, 즉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원어민 코퍼스의 연설(speeches) 및 다른 장르들과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정보 전달과 설득 프레젠테이션은 직접적인 설득 표현(차원 4)을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원어민 코퍼스와 비교한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개인적인 어조가 강하면서도, 격식을 차린 스타일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에는 매우 직접적인 어투와 명시적인 지칭 표현이 사용되지만, 의견 전달 방식은 명료하기보다는 오히려 추상적인 경향이 있어서 발표가 전체적으로 어렵고 딱딱하게 들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대학 영어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원고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그리고 영어 발표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광현,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스피치 원고의 다차원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30 (30): 25-52, 2016

      2 김학수, "오럴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영어수업모형"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2 (12): 159-181, 2006

      3 이동연, "영자신문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활동이 대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2015

      4 박강희, "발표 교육 실험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국제언어문학회 (26) : 191-206, 2012

      5 윤현숙, "개정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 텍스트에 대한 다차원 분석" 한국영어학회 12 (12): 777-799, 2012

      6 Conrad, S., "Variation in English: Multi-dimensional studies" Longman 2001

      7 Biber, D., "Variation across speech and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8 Child, D., "The essentials of factor analysis" Continuum 2006

      9 Manning, C. D., "The Stanford Core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kit In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CL) System Demonstrations"

      10 Al-Isaa, A., "Taking the floor: Oral presentations in EFL classroom" 1-2 : 227-246, 2010

      1 박광현,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스피치 원고의 다차원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30 (30): 25-52, 2016

      2 김학수, "오럴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영어수업모형"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2 (12): 159-181, 2006

      3 이동연, "영자신문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활동이 대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2015

      4 박강희, "발표 교육 실험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국제언어문학회 (26) : 191-206, 2012

      5 윤현숙, "개정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 텍스트에 대한 다차원 분석" 한국영어학회 12 (12): 777-799, 2012

      6 Conrad, S., "Variation in English: Multi-dimensional studies" Longman 2001

      7 Biber, D., "Variation across speech and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8 Child, D., "The essentials of factor analysis" Continuum 2006

      9 Manning, C. D., "The Stanford Core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kit In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CL) System Demonstrations"

      10 Al-Isaa, A., "Taking the floor: Oral presentations in EFL classroom" 1-2 : 227-246, 2010

      11 Biber, D., "Spoken and written register variation in Spanish : A multi-dimensional analysis" 1 (1): 1-37, 2006

      12 Biber, D., "Speaking and writing in the university: A multidimensional comparison" 36 (36): 9-48, 2002

      13 Hardy, J. A., "Revealing disciplinary variation in student writ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Michigan Corpus of Upper-level Student Papers (MICUSP)" 8 (8): 183-207, 2013

      14 원명옥, "EFL 환경에서 구어발표를 통한 영어 발화의 유창성 향상 방안" 언어과학회 (75) : 205-230, 2015

      15 Biber, D., "Discourse on the mov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7

      16 Celce-Murcia, M., "Discourse and contex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7 Biber, D., "Dimensions of register variation: A cross-linguistic compari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8 McEnery, T., "Corpus-based language studies: An advanced resource book" Routledge 287-320, 2006

      19 Anthony, L., "AntConc (Version 3.5.8) [Computer Software]" Waseda Univers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7 0.8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