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의 보행환경평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 Evaluation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Suseong-gu, Daeg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7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useong-gu, Daegu is buil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was evaluated by se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useong-gu, Daegu is buil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was evaluated by selecting 12 zones within a radius of 300m of Holt Daegu Social Welfare Center, Cheonggok Social Welfare Center,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and Gosan Senior Welfare Center.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was evaluated by sel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ach item of safety, comfort,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street vitality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Cheonggok General Welfare Center and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ere high in terms of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The environment around the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elderly to walk.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irst, rest facilities such as pavilions and benches we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pedestrian routes of the elderly. Seco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elderly in various environments can walk comfortably, such as riding a wheelchair or using auxiliary walking equip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pedestrian safety was secured by installing a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y, and in the case of illegal parking, parking lots were buil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or regular crackdowns were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valuat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ctually take place a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ecomes important as they enter an aging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해당 시설 주변의 보행환경이 노인의 특성을 고려해 구축되어 있는지 평가하는데 있다. 보행환경평가는 홀...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해당 시설 주변의 보행환경이 노인의 특성을 고려해 구축되어 있는지 평가하는데 있다. 보행환경평가는 홀트대구종합사회복지관, 청곡종합사회복지관, 범물노인복지관, 고산노인복지관 반경 300m 내의 12개 구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보행환경 평가지표는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접근성, 가로활력수준의 각 항목별로 정성적·정량적 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보행환경 평가결과, 청곡종합복지관과 범물노인복지관이 안정성, 쾌적성, 편의성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범물노인복지관 주변 환경이 노인이 보행하기에 가장 적합했다. 본 연구는 보행환경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들의 보행동선을 고려한 정자나 벤치 등의 휴게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휠체어를 타거나 보조보행기구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있는 노인들이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보차분리시설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불법주차의 경우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에 주차장을 조성하거나 복지시설 주변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단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해짐에 따라 실제로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이뤄지는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의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정 ; 한상진 ; 이원태 ; 박경욱, "한국형 보행환경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8 (18): 35-49, 2011

      2 최연희 ; 서현보, "한국 노인의 제3의 장소 이용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 대한건축학회 37 (37): 41-52, 2021

      3 김민식,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한국은행 2020

      4 "통계청 홈페이지"

      5 이은영,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보행환경의 인클루시브 워커빌리티 평가 방안 연구-물리적 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459-472, 2017

      6 이은희, "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 질이 이용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회 23 (23): 347-368, 2019

      7 정찬길, "전동보조기기 이동, 안전 빨간불!!" 한국장총 2020

      8 조성희 ; 유용식,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59, 2016

      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심사기준"

      10 김태환,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Ⅱ) :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수립을 위한 사례연구" 국토연구원 2014

      1 박병정 ; 한상진 ; 이원태 ; 박경욱, "한국형 보행환경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8 (18): 35-49, 2011

      2 최연희 ; 서현보, "한국 노인의 제3의 장소 이용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 대한건축학회 37 (37): 41-52, 2021

      3 김민식,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한국은행 2020

      4 "통계청 홈페이지"

      5 이은영,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보행환경의 인클루시브 워커빌리티 평가 방안 연구-물리적 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459-472, 2017

      6 이은희, "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 질이 이용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회 23 (23): 347-368, 2019

      7 정찬길, "전동보조기기 이동, 안전 빨간불!!" 한국장총 2020

      8 조성희 ; 유용식,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59, 2016

      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심사기준"

      10 김태환,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Ⅱ) :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수립을 위한 사례연구" 국토연구원 2014

      11 한수연 ; 남정모 ; 명성민 ; 송기준, "신뢰도 연구에서 급내상관계수와 관련한 표본수 결정 방법 비교" 한국통계학회 23 (23): 497-510, 2010

      12 이민아, "서울지역 노인들의 근린시설 이용실태와 근접정도에 대한 분석" 11 (11): 37-49, 2000

      13 박희은, "서울의 정체성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방안 연구 -디자인서울거리조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85-296, 2015

      14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

      15 정상윤 ; 손동욱,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117-125, 2019

      16 김지영 ; 김은정,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지역별 근린환경 비교" 한국부동산원 5 (5): 77-94, 2019

      17 양재섭,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서울연구원 2021

      18 이소영 ; 김은정, "보행친화성을 적용한 택지개발지구의 보행환경 평가: 대구 율하2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4 (24): 103-117, 2021

      19 오성훈, "보행도시 :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20 이경은, "도심주거지의 여가공간화 변천과정 연구: 아쌍블라주(Assemblage) 개념을 통해 본 부암동 골목길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75-91, 2015

      21 김재익 ; 여창환 ; 정현욱 ; 서안나, "도시 근린공공시설의 서비스수준의 공간적 격차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55-72, 2005

      22 이정범, "대전광역시 교통약자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23 김은정 ; 김명연 ; 이지민, "대구시 레드블록 프로젝트를 통해 본 보행친화적 가로환경정비사업의 성과와 과제"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31-148, 2017

      24 심혜민 ; 김지영 ; 김은정, "대구광역시 지역특화거리의 보행환경 평가"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29-44, 2020

      25 김재희 ; 김희연, "노인의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노인가구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423-452, 2020

      26 이윤경, "노인의 생활환경과 삶의 만족도" 300 : 58-70, 2021

      27 오찬옥, "노인의 근린생활시설 이용정도와 도보권 시설요구 - 부산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 : 279-292, 2015

      28 최송식 ; 박현숙,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1277-1293, 2009

      29 백옥미,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거주환경 만족의 영향: 거주유형별 다집단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64-195, 2018

      30 이영아, "노인을 위한 도시환경조성에 관한 연구" 32 : 77-93, 2001

      31 이 재 란 ; 조계표, "노인복지정책의 시대적 변화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52 (52): 1-28, 2021

      32 박효숙 ; 정연준 ; 이경환, "노인들의 보행경로와 외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 서울시 녹번동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17-35, 2017

      33 이형숙, "노인들의 도보권 근린시설 이용현황 및 인지된 근접성 연구 - 성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63-74, 2011

      34 허준수, "노인들의 고독감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과 비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74-95, 2011

      35 이형숙, "노인 보행환경 평가항목 신뢰도 분석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2 (12): 69-75, 2012

      36 장성옥 ; 원종순 ; 박진희 ; 이혜순 ; 박형숙 ; 임선영 ; 송미령 ; 백훈정 ; 김경희 ; 송경애 ; 임세현,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표준화 작업을 위한 기초 연구" 기본간호학회 21 (21): 446-456, 2014

      37 박효숙 ; 이경환, "근린환경이 노인들의 보행시간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녹번동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109-121, 2019

      38 김용진 ; 안건혁,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89-99, 2011

      39 김용진,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고령자의 사회관계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32 (32): 91-97, 2016

      40 경찰청,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

      41 오찬옥 ; 권현주 ; 임예지, "고령친화 보행환경에 대한 고령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0 (30): 102-110, 2021

      42 김영현, "고령자 활동적 삶을 위한 도시 생활권 공공공간 계획요소와 정책에 관한 연구" 63 : 108-109, 2019

      43 노창균 ; 박범진,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경사보행로 시설한계 연구: 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시설물 설계기준 정립 2" 대한교통학회 36 (36): 383-391, 2018

      44 김승남, "가로단위 보행환경 평가체계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45 Koohsari, M. J., "Public open space and walking : The role of proximity, perceptual qualities of the surrounding built environment, and street configuration" 45 (45): 706-736, 2012

      46 Glass, T.,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7 이윤경, "2020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