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용운의 『 님의 침묵 』 에서 “님”의 의미 연구 -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meaning of “Nim” in Han Yong-un”s 『 The Silence of Ni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38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Nim” in Han Yong-un”s 『 The Silence of Nim 』 . This thesis suggest a interpretation that the “Otherness” which Emmanuel Levinas”s philosophy essence can explain the ambiguity of “Nim” in 『 The Silence of Nim 』. We can interpret the meaning of “Nim” more accurately when we focused on the ethical aspect in Han Yong-un”s works. Han Yong-un died in 1944, and Levinas published his first important book in 1947. Therefore between Han Yong-un and Levinas, there was no influence or effect each other. However, they both had a tragic experience from Fascism. Han Yong-un had suffered under Japan Imperialism, Levinas also had suffred from German Nazism. Such experience made them to introspect to modern totalism. The value of 『 The Silence of Nim 』 is such introspection was achieved before Levias in literary way in East Asia. We can explain the meaning of “Nim” based on Buddhism or Christianity. Either way we find that “Nim” means “suffering others” that Levinas told. 『 The Silence of Nim 』 shows spontaneous respond to the command of suffering other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 that Levinas”s “otherness” can expain efficiently the ambiguity of “Nim” in Han Yong-un”s [1]『 The Silence of Nim 』.
      번역하기

      This thesis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Nim” in Han Yong-un”s 『 The Silence of Nim 』 . This thesis suggest a interpretation that the “Otherness” which Emmanuel Levinas”s philosophy essence can explain the ambiguity of “Nim” ...

      This thesis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Nim” in Han Yong-un”s 『 The Silence of Nim 』 . This thesis suggest a interpretation that the “Otherness” which Emmanuel Levinas”s philosophy essence can explain the ambiguity of “Nim” in 『 The Silence of Nim 』. We can interpret the meaning of “Nim” more accurately when we focused on the ethical aspect in Han Yong-un”s works. Han Yong-un died in 1944, and Levinas published his first important book in 1947. Therefore between Han Yong-un and Levinas, there was no influence or effect each other. However, they both had a tragic experience from Fascism. Han Yong-un had suffered under Japan Imperialism, Levinas also had suffred from German Nazism. Such experience made them to introspect to modern totalism. The value of 『 The Silence of Nim 』 is such introspection was achieved before Levias in literary way in East Asia. We can explain the meaning of “Nim” based on Buddhism or Christianity. Either way we find that “Nim” means “suffering others” that Levinas told. 『 The Silence of Nim 』 shows spontaneous respond to the command of suffering other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 that Levinas”s “otherness” can expain efficiently the ambiguity of “Nim” in Han Yong-un”s [1]『 The Silence of Nim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연상, "「님의 침묵」에서의 ‘님 찾기’를 다시 생각해 본다" 한국하이데거학회 (23) : 171-206, 2010

      2 서준섭,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사유의 특성과 동양과 서양 사상의 회통" 한국어교육학회 (134) : 267-300, 2011

      3 엄성원, "한용운 시의 탈식민주의적 연구-‘님의 침묵’에 나타난 ‘하위주체’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33-53, 2006

      4 서준섭, "한용운 『님의 침묵』과 『십현담』ㆍ『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 - '정위(正位)'에 머물지 않는 선(禪)과 '방편'으로서의 시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2) : 29-66, 2014

      5 장철환, "한용운 『님의 침묵』 연구 - 주체와 ‘님’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231-250, 2011

      6 한경희, "한용운 <님의 침묵> 연구" 한국어문학회 (113) : 407-430, 2011

      7 에마뉘엘 레비나스,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

      8 이상엽, "존 던의 「님의 침묵」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한국밀턴과근세영문학회 21 (21): 29-66, 2011

      9 에마뉘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10 김동우, "숭고와 계몽의 역설 - 한용운 시의 현재성" 한국시학회 (24) : 67-93, 2009

      1 구연상, "「님의 침묵」에서의 ‘님 찾기’를 다시 생각해 본다" 한국하이데거학회 (23) : 171-206, 2010

      2 서준섭,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사유의 특성과 동양과 서양 사상의 회통" 한국어교육학회 (134) : 267-300, 2011

      3 엄성원, "한용운 시의 탈식민주의적 연구-‘님의 침묵’에 나타난 ‘하위주체’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33-53, 2006

      4 서준섭, "한용운 『님의 침묵』과 『십현담』ㆍ『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 - '정위(正位)'에 머물지 않는 선(禪)과 '방편'으로서의 시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2) : 29-66, 2014

      5 장철환, "한용운 『님의 침묵』 연구 - 주체와 ‘님’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231-250, 2011

      6 한경희, "한용운 <님의 침묵> 연구" 한국어문학회 (113) : 407-430, 2011

      7 에마뉘엘 레비나스,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

      8 이상엽, "존 던의 「님의 침묵」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한국밀턴과근세영문학회 21 (21): 29-66, 2011

      9 에마뉘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10 김동우, "숭고와 계몽의 역설 - 한용운 시의 현재성" 한국시학회 (24) : 67-93, 2009

      11 이선이, "만해의 불교근대화운동과 시집 <님의 침묵>의 창작동기" 한국시학회 (11) : 137-162, 2004

      12 김재홍,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 (1) : 1998

      13 정연정, "만해 한용운 시에 나타난 ‘바다’ 의식 연구 :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중심으로" 문학과환경학회 12 (12): 159-188, 2013

      14 한용운, "님의 침묵" 미래사 1991

      15 정효구, "韓龍雲의 시집 『님의 沈黙』 속의 「군말」 再考" 한국시학회 (35) : 377-416, 2012

      16 이선이, "萬海詩와 當代詩의 영향관계에 대한 일고찰 - 시어 '님'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0) : 341-366, 2007

      17 하재연, "‘조선’의 언어로 한용운에게 찾아온 ‘생각’ -『기탄잘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한용운의 『님의 침묵』-" 한국근대문학회 1 (1): 275-30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