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양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지각가치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포해양문화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 The Impact of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on Tourism Behavior Intention. -Focused on Mokpo Maritime Cultural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32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mainly focused on analysing the impact of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on the behavior intention via the maritime festival.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010 MAKPO MARITIME CULTURAL FESTIVAL``. A total of 280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test used for our hypothesis, we employ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s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hypothesis 1, 2). The perceived values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ehavior intention(hypothesis 3). Also, importantly, the perceived values came betwee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tourism behavior intention that is, intention of revisiting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hypothesis 4-1, 4-2). Conclusively,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the more impact it had on the tourism behavior`s intention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ools for high perceived value of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would have a great implementation meaning to festival planners.
      번역하기

      We mainly focused on analysing the impact of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on the behavior intention via the maritime festival.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010 MAKPO MARITIME CULTURAL FESTIVAL``. A to...

      We mainly focused on analysing the impact of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on the behavior intention via the maritime festival.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010 MAKPO MARITIME CULTURAL FESTIVAL``. A total of 280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test used for our hypothesis, we employ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s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hypothesis 1, 2). The perceived values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ehavior intention(hypothesis 3). Also, importantly, the perceived values came betwee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tourism behavior intention that is, intention of revisiting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hypothesis 4-1, 4-2). Conclusively,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of the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the more impact it had on the tourism behavior`s intention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ools for high perceived value of maritime festival participants would have a great implementation meaning to festival plann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용수, "호텔 고객의 서비스 보증, 지각된 적합성과 지각된 가치, 관계만족 간의 관계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4 (24): 227-242, 2010

      2 김영미, "해양문화축제 방문객의 참여동기에 따른 해양레저활동 제언 -목포해양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49-70, 2009

      3 함영덕, "충주세계무술축제 참가 동기 및 만족도 연구" 관광경영학회 9 (9): 475-501, 2005

      4 강순화, "축제참가자의 관여도 및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6 (6): 1-22, 2010

      5 이범재, "축제방문객의 체험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2009 화천산천어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1-25, 2010

      6 최해수, "축제 참가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축제 참가동기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211-237, 2009

      7 심상욱,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가치를 매개로 하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14 (14): 95-116, 2010

      8 장양례,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간의 지역축제 동기, 만족평가와 행동의도, 지역문화 인식 비교 연구" 관광경영학회 11 (11): 167-191, 2007

      9 고재용, "지역축제의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기초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2004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7 (7): 32-46, 2005

      10 김근우,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도소싸움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7 (27): 203-218, 2004

      1 전용수, "호텔 고객의 서비스 보증, 지각된 적합성과 지각된 가치, 관계만족 간의 관계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4 (24): 227-242, 2010

      2 김영미, "해양문화축제 방문객의 참여동기에 따른 해양레저활동 제언 -목포해양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49-70, 2009

      3 함영덕, "충주세계무술축제 참가 동기 및 만족도 연구" 관광경영학회 9 (9): 475-501, 2005

      4 강순화, "축제참가자의 관여도 및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6 (6): 1-22, 2010

      5 이범재, "축제방문객의 체험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2009 화천산천어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1-25, 2010

      6 최해수, "축제 참가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축제 참가동기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211-237, 2009

      7 심상욱,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가치를 매개로 하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14 (14): 95-116, 2010

      8 장양례,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간의 지역축제 동기, 만족평가와 행동의도, 지역문화 인식 비교 연구" 관광경영학회 11 (11): 167-191, 2007

      9 고재용, "지역축제의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기초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2004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잔치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7 (7): 32-46, 2005

      10 김근우,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도소싸움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7 (27): 203-218, 2004

      11 장병수, "지역축제의 방문동기, 만족, 지역효과성간의 영향관계" 한국문화관광학회 10 (10): 35-47, 2008

      12 김진수, "지역축제의 관광동기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여행학회 10 : 25-43, 1999

      13 서철현, "지역축제에 대한 사후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도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16 (16): 7-23, 2001

      14 홍장원, "지역축제를 통한 연안지역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5 : 37-54, 2008

      15 정용악, "지역축제 참여동기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학회 6 (6): 97-114, 2004

      16 성현선, "지역축제 방문객의 참여 동기와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7 (7): 201-223, 2006

      17 조태영, "지역축제 방문객 참여 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금산 인삼축제를 방문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7 (7): 65-79, 2009

      18 손해경,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축제 참여 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 (20): 3-24, 2008

      19 변정우, "지역 특1급 호텔의 다차원적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9 (19): 55-72, 2010

      20 양길승, "전남지역 해양관광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축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225-242, 2009

      21 이승희, "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4 (24): 1242-1253, 2000

      22 김판영, "여행서비스에 있어 고객의 지각 가치와 만족, 행위의도와의 관련성"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63-282, 2010

      23 윤보영, "여행상품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관광경영학회 12 (12): 94-114, 2008

      24 안경모, "양양연어축제의 참가동기가 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283-300, 2009

      25 전주형, "서비스 유형별 지각된 가치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여행학회 12 : 223-240, 2000

      26 김근우, "문화관광축제의 참가동기가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19 : 97-118, 2004

      27 허중욱, "문화관광축제 방문동기와 경험후 행동관계에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영향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301-322, 2007

      28 서철현, "문화관광축제 방문동기가 축제매력성에 미치는 영향 : ‘보성 다향제’와 ‘하동 야생차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223-241, 2008

      29 정광현, "레스토랑 속성평가, 지각된 가격, 가치와 만족 및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8 (8): 27-48, 2005

      30 김주연, "레스토랑 물리적 환경과 인적서비스가 고객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31 이충기, "내·외국인간 축제참여동기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16 (16): 257-271, 2001

      32 고동우, "관광 후 평가 개념의 경험적 구분" 한국관광학회 22 (22): 309-316, 1998

      33 김상현, "고객재구매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고객가치, 고객만족, 전환비용, 대안의 매력도" 한국마케팅학회 17 (17): 25-55, 2002

      34 고호석, "경주 신라문화제 참여동기와 추구편익에 따른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0 (20): 1-18, 2005

      35 Crompton, J. L., "Motives of Visitors Attending Festival Events" 24 (24): 425-439, 1997

      36 McDougall, G. H. G.,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s" 14 (14): 392-410, 2000

      37 Hellier, P.K.,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14 (14): 392-410, 2003

      38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52 (52): 2-21, 1988

      39 Dann, G. M. S., "Anomie, Ego-Enhancement and Tourism" 4 (4): 184-194, 1977

      40 Mohr, K., "An Investigation of Festival Motivation and Event Satisfaction by Visitor type" 1 (1): 89-97, 1993

      41 Formica, S., "A Market Segmentation of Festival Visitors: Umbria Jazz Festival in Italy" 3 (3): 175-18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