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4259
김지숙 (공주교육대학교)
2023
Korean
실과 교육과정 ; STEL ; 기술 분야 ; 비교 분석 ; Skills ; Achievement standards ; STEL ; Practical Arts curriculum
370
KCI등재
학술저널
37-5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관련 자 료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여 내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STEL의 핵심 교과 표준, 실천 및 내용 영역과 연 계되어 있었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STEL의 벤치마크는 3차원 또는 3영역의 내용을 적 절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과 STEL은 모두 교과에 대한 소양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실과의 교과 역량은 STEL의 역량에 비해 포괄적이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 정 ․ 기능 차원의 내용 요소 반영이 미흡하였다. 여섯째, STEL은 실과 교육과정에 비해 구성 요소의 개 요와 사례 제시에 충실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으로 교과 역 량의 구체성과 명확성, STEL의 핵심 교과 표준의 일부 반영, 성취기준의 구체화 및 적용을 위한 가이 드,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공유, 공학에 대한 관심 확대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PA) curriculum and STEL.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PA curriculum and STEL based on structure and component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PA) curriculum and STEL.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PA curriculum and STEL based on structure and components of docum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were similar to core standards, practice and contexts of STEL. Second, three levels or domains of contents was relfected properly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and benchmark of STEL. Third, it was shown that both PA curriculum and STEL emphasized literacy towards subject matters. Fourth, the competencies of PA were more comprehensive than those of STEL. Fifth,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components in ‘the process and skill level’ were not included sufficiently in achievement standards. Sixth, STEL provided more sufficient descriptions of the content, course sample and so on than PA curriculum.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A education were suggested such as clar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subject matter, consideration of including STEL’s core standards, embodi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development and sharing of curriculum materials, enhancement of interest on Engineer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어린이 자립형 식생활 지도서 ‘스스로 뚝딱’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조리역량 향상
성인지 교육 내용 및 형식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 만족도와 요구도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변화 및 차이 분석(IP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