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고령가구 주거이동 실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ial Mobility of Elderly Households before and after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8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고령가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주거이동 실태 변화와 주거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고령가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주거이동 실태 변화와 주거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종속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고령가구의 주거이동 의향 영향요인은 가구원 수, 소득, 주거환경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후 고령가구는 상대적으로 주거환경이 양호한 도시지역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후 고령자 주거이동에 있어서도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간 양극화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례 수가 적어 일괄하여 논의되었던 고령자 주거이동 실태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주거이동 선택의 함의와 동기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고령자 일자리 정책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로 변화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욕구를 반영한 지역 단위 고령자 주거 대안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화 속도에 부응하는 도시 인프라 재조정이 고령자 주거정책의 우선 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housing mobility patterns of elderly households nationwid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move, using microdata from Korea housing survey. 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housing mobility patterns of elderly households nationwid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move, using microdata from Korea housing survey. The analysis utiliz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elderly households’ intention to move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determinants includ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monthly average total disposable incom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Second, after COVID-19, elderly households tend to have an increased preference for urban areas with relatively good residential environments. Third, a polarization in housing mobility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was observed among the elderly after COVID-19.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and motiv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choices through a micro-level analysis of the residential mobility of the elderly, which has been discussed collectively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in order to ensure housing stability for the elderly, senior employ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concurrently. According to the findings, it 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localized senior housing alternatives that reflect the changing residential mobility needs of the elderly. Furthermore, the reconfigur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the aging popula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elderly housing policies, in line with the pace of population ag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