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eong, H. S., "핵심질문 :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 2016
2 이인화,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7) : 173-205, 2016
3 이태구, "평가방법 먼저: 백워드 교육모형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73-86, 2015
4 조기정, "초등학교 체육학습의 백워드 설계모형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73-188, 2016
5 함정화,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1 (41): 80-97, 2017
6 김진석,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초등교육연구원 28 (28): 61-77, 2017
7 장수빈,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27-147, 2010
8 류재만,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 현장 적용을 위한 모형 재구조화"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23-47, 2016
9 손경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41) : 49-78, 2016
10 온정덕, "이해중싱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 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5-42, 2013
1 Jeong, H. S., "핵심질문 :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 2016
2 이인화,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7) : 173-205, 2016
3 이태구, "평가방법 먼저: 백워드 교육모형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73-86, 2015
4 조기정, "초등학교 체육학습의 백워드 설계모형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73-188, 2016
5 함정화,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1 (41): 80-97, 2017
6 김진석,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초등교육연구원 28 (28): 61-77, 2017
7 장수빈,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27-147, 2010
8 류재만,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 현장 적용을 위한 모형 재구조화"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23-47, 2016
9 손경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41) : 49-78, 2016
10 온정덕, "이해중싱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 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5-42, 2013
11 Kim, K. J., "이해중심 교육과정-백워드 설계-" 교육아카데미 2014
12 Kim, K. J.,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이해를 위한 수업" 교육아카데미 2017
13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14 조재식,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63-94, 2005
15 손지현,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모형의 미술과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29-51, 2016
16 유세종, "백워드 수업설계에 기초한 고등학교 「기술 · 가정」교과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체제적 수업개발" 대한가정학회 56 (56): 33-54, 2018
17 이지은,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383-409, 2010
18 배은미, "백워드 설계의 수행과제 출제방식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방안" 교육연구소 23 (23): 39-62, 2017
19 이지은, "백워드 설계의 새로운 모형 개발: 개선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45) : 87-114, 2012
20 김소현,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국어과 수행 과제 구성 방안: 「독서」교과서의 ‘사실적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6 (56): 412-423, 2017
21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의 수학과 적용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 6학년 비율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09-137, 2012
22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문학 단원 설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29-153, 2016
23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간학문적 통합 단원 설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47-66, 2017
24 고인규,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실과 농업 단원의 구조화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257-276, 2016
25 이병기,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2 (22): 5-24, 2011
26 김진희,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른 국어과 화법 영역 '연설하기' 단원 개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87-118, 2016
27 김태우,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기술과 단원 설계 : ‘태양 에너지의 이용’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 17 (17): 36-54, 2017
28 백지연, "백워드 설계 2.0 버전에 의한 중학교 도덕과단원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25-64, 2017
29 Lee, G. S.,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의 이해와 소비단원 설계의 실제" 136-138, 2013
30 이경숙,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에 기초한 소비 단원의 수업 모듈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95-119, 2015
31 이태구, "백워드 교육모형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 양궁단원 체육수업"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917-934, 2015
32 최미정, "백워드 교육과정 이론에서 본 포트폴리오평가의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7-103, 2013
33 강현석,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2.0 버전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53-172, 2013
34 왕석순,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7-32, 2016
35 Wang, S. S., "고등학교 기술・가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연구 보고서"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7
36 Wang, S. S., "가정과학 교육과정 개정 시안-가정과학 시안발표-. 실과(기술・가정) 공통교과 및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토론회 자료집"
37 최유현, "‘이해(understanding)’를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46-65, 2016
38 임윤진, "‘이해 기반 설계’를 통한 중학교 기술교과의 ‘발명’ 단원 교수·학습설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9 (29): 77-92, 2016
39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SCD 2005
40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8
41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2005
42 McTighe J., "Understanding by Design :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4
43 Wiggins, G.,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SCD 2011
44 McTighe J., "The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9
45 Lee, H. J.,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Model to Physical" 16 (16): 25-33, 2016
46 McTighe J., "Essential Question : Opening doors to student understand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13
47 Jang, B. S., "Effects of the instruction based on backward curriculum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6
48 Yun, S., "Development of understanding-oriented elementary social studies economics unit" Ewha Womans University 2009
49 Kim, J. S.,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2.0"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6
50 Wang, S. S.,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및 핵심개념-가정과의 ‘역량’을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51-87, 2017
51 Wang, S. S,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기술・가정〕"
52 Wang, S. 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교육 분야 교육과정 개발(안)"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70-9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