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교과 수업 적용을 위한 백워드 디자인의 템플릿 재구조화 = Template Restructuring of Backward design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1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ing the template to apply the ʻBackward designʼ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Wiggins and McTighe, the advocates of backward design, and examined the template for version 2.0 of Wiggins and McTighe (2011).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previous researches using backward design, and drew implications for template restructuring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on Home Economics Instruction.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emplate was verified through facial validity through the expert council.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5 stages (1. Curriculum Analysis → 2.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Experience Design ↔ Evaluation Design (Performance Task Planning) → 3. Instruction Flow → 4. Class guide for each class → 5. Evaluation record, and feedback)suggested templates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Future research will use the restructured assumptions and template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in the Home Economics area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future research, fiel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Home Economics instruction with backward design affects learn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ing the template to apply the ʻBackward designʼ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Wiggins and McTighe, the advocates of backward design, and examined the template for version 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ing the template to apply the ʻBackward designʼ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Wiggins and McTighe, the advocates of backward design, and examined the template for version 2.0 of Wiggins and McTighe (2011).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previous researches using backward design, and drew implications for template restructuring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on Home Economics Instruction.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emplate was verified through facial validity through the expert council.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5 stages (1. Curriculum Analysis → 2.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Experience Design ↔ Evaluation Design (Performance Task Planning) → 3. Instruction Flow → 4. Class guide for each class → 5. Evaluation record, and feedback)suggested templates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Future research will use the restructured assumptions and template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in the Home Economics area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future research, fiel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Home Economics instruction with backward design affects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가정과 수업을 위한 템플릿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의 주창자인 Wiggins와 McTighe의 이론을 고찰하고,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고찰하였다. 또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가정과 수업에 백워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템플릿 재구조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통해 템플릿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 교육과정 분석, 2. 수업설계(학습경험 디자인↔평가설계, 3. 수업 흐름, 4. 각 차시별 수업 안내, 5. 평가기록 및 피드백의 총 5단계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교육 영역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교수‧학습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 적용의 가정과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학교 현장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가정과 수업을 위한 템플릿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의 주창자인 Wiggins와 McTighe의 ...

      이 연구는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가정과 수업을 위한 템플릿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의 주창자인 Wiggins와 McTighe의 이론을 고찰하고,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고찰하였다. 또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가정과 수업에 백워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템플릿 재구조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통해 템플릿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 교육과정 분석, 2. 수업설계(학습경험 디자인↔평가설계, 3. 수업 흐름, 4. 각 차시별 수업 안내, 5. 평가기록 및 피드백의 총 5단계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교육 영역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교수‧학습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 적용의 가정과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학교 현장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eong, H. S., "핵심질문 :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 2016

      2 이인화,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7) : 173-205, 2016

      3 이태구, "평가방법 먼저: 백워드 교육모형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73-86, 2015

      4 조기정, "초등학교 체육학습의 백워드 설계모형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73-188, 2016

      5 함정화,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1 (41): 80-97, 2017

      6 김진석,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초등교육연구원 28 (28): 61-77, 2017

      7 장수빈,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27-147, 2010

      8 류재만,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 현장 적용을 위한 모형 재구조화"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23-47, 2016

      9 손경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41) : 49-78, 2016

      10 온정덕, "이해중싱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 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5-42, 2013

      1 Jeong, H. S., "핵심질문 :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 2016

      2 이인화,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7) : 173-205, 2016

      3 이태구, "평가방법 먼저: 백워드 교육모형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73-86, 2015

      4 조기정, "초등학교 체육학습의 백워드 설계모형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73-188, 2016

      5 함정화,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1 (41): 80-97, 2017

      6 김진석,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초등교육연구원 28 (28): 61-77, 2017

      7 장수빈,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27-147, 2010

      8 류재만,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 현장 적용을 위한 모형 재구조화"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23-47, 2016

      9 손경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41) : 49-78, 2016

      10 온정덕, "이해중싱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 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5-42, 2013

      11 Kim, K. J., "이해중심 교육과정-백워드 설계-" 교육아카데미 2014

      12 Kim, K. J.,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이해를 위한 수업" 교육아카데미 2017

      13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14 조재식,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63-94, 2005

      15 손지현,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모형의 미술과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29-51, 2016

      16 유세종, "백워드 수업설계에 기초한 고등학교 「기술 · 가정」교과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체제적 수업개발" 대한가정학회 56 (56): 33-54, 2018

      17 이지은,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383-409, 2010

      18 배은미, "백워드 설계의 수행과제 출제방식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방안" 교육연구소 23 (23): 39-62, 2017

      19 이지은, "백워드 설계의 새로운 모형 개발: 개선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45) : 87-114, 2012

      20 김소현,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국어과 수행 과제 구성 방안: 「독서」교과서의 ‘사실적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6 (56): 412-423, 2017

      21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의 수학과 적용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 6학년 비율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09-137, 2012

      22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문학 단원 설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29-153, 2016

      23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간학문적 통합 단원 설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47-66, 2017

      24 고인규,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실과 농업 단원의 구조화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257-276, 2016

      25 이병기,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2 (22): 5-24, 2011

      26 김진희,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른 국어과 화법 영역 '연설하기' 단원 개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87-118, 2016

      27 김태우,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기술과 단원 설계 : ‘태양 에너지의 이용’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 17 (17): 36-54, 2017

      28 백지연, "백워드 설계 2.0 버전에 의한 중학교 도덕과단원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25-64, 2017

      29 Lee, G. S.,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의 이해와 소비단원 설계의 실제" 136-138, 2013

      30 이경숙,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에 기초한 소비 단원의 수업 모듈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95-119, 2015

      31 이태구, "백워드 교육모형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 양궁단원 체육수업"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917-934, 2015

      32 최미정, "백워드 교육과정 이론에서 본 포트폴리오평가의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7-103, 2013

      33 강현석,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2.0 버전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53-172, 2013

      34 왕석순,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7-32, 2016

      35 Wang, S. S., "고등학교 기술・가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연구 보고서"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7

      36 Wang, S. S., "가정과학 교육과정 개정 시안-가정과학 시안발표-. 실과(기술・가정) 공통교과 및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토론회 자료집"

      37 최유현, "‘이해(understanding)’를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46-65, 2016

      38 임윤진, "‘이해 기반 설계’를 통한 중학교 기술교과의 ‘발명’ 단원 교수·학습설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9 (29): 77-92, 2016

      39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SCD 2005

      40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8

      41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2005

      42 McTighe J., "Understanding by Design :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4

      43 Wiggins, G.,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SCD 2011

      44 McTighe J., "The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9

      45 Lee, H. J.,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Model to Physical" 16 (16): 25-33, 2016

      46 McTighe J., "Essential Question : Opening doors to student understand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13

      47 Jang, B. S., "Effects of the instruction based on backward curriculum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6

      48 Yun, S., "Development of understanding-oriented elementary social studies economics unit" Ewha Womans University 2009

      49 Kim, J. S.,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2.0"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6

      50 Wang, S. S.,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및 핵심개념-가정과의 ‘역량’을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51-87, 2017

      51 Wang, S. S,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기술・가정〕"

      52 Wang, S. 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교육 분야 교육과정 개발(안)"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70-9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