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창작춤에서 보여지는 기(氣)의 운용에 관한 연구 -김현자와 김기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Ki(氣, Energy) in Creative Dance in Korea -Focusing on Hyun ja Kim and Ki in Ki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dopts a methodology that compares and analyzes how energy is used in Korean creative dances through Hyun-ja Kim and ‘Lived (生) Dance’ and Ki-in Kim's ‘Ki(氣) Dance’ in the early 90s.
      Through Kim Hyun-ja's representative works < One Day (Haru) > and Kim Ki-in's < Dom >, the key dance in Korean creative dance takes a contrasting form of reduction and expansion in the way of expressing movement, but It was possible to find something in common.
      ‘Ki(Energy) dance’ shown in the Korean creative dance world is not a cold dance of the form of moderation of Western minimal dances, but a foot of the artist's spirit that conveys the aesthetics of ‘Rhythmic vitality (氣韻生動)’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unite naturally as part of self-reflection and training.
      번역하기

      This paper adopts a methodology that compares and analyzes how energy is used in Korean creative dances through Hyun-ja Kim and ‘Lived (生) Dance’ and Ki-in Kim's ‘Ki(氣) Dance’ in the early 90s. Through Kim Hyun-ja's representative works &l...

      This paper adopts a methodology that compares and analyzes how energy is used in Korean creative dances through Hyun-ja Kim and ‘Lived (生) Dance’ and Ki-in Kim's ‘Ki(氣) Dance’ in the early 90s.
      Through Kim Hyun-ja's representative works < One Day (Haru) > and Kim Ki-in's < Dom >, the key dance in Korean creative dance takes a contrasting form of reduction and expansion in the way of expressing movement, but It was possible to find something in common.
      ‘Ki(Energy) dance’ shown in the Korean creative dance world is not a cold dance of the form of moderation of Western minimal dances, but a foot of the artist's spirit that conveys the aesthetics of ‘Rhythmic vitality (氣韻生動)’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unite naturally as part of self-reflection and trai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원, "후기 현대춤의 미학과 동향" 현대미학사 1992

      2 손보미, "회화인식에서 기(氣) 의미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골기(骨氣)․기운비사(氣韻非師)․사기(士氣) -"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111-130, 2011

      3 李澤厚, "화하미학" 동문선 1999

      4 신효영, "현상학적 ‘몸’철학에서 본 미니멀 춤의 특성" 부산대학교 2020

      5 김현희, "현대한국창작춤에 나타난 즉흥성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 양정은, "한국춤 동작수행 시 상체의 기(氣)운용 체계 연구" 235-240, 2013

      7 김유정,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유형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정석지,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지희, "한국전통춤에 나타나는 음양오행적 표현" 한국체육철학회 11 (11): 247-268, 2003

      10 韓素英, "한국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 수용에 관한 연구 : 표현양상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 김태원, "후기 현대춤의 미학과 동향" 현대미학사 1992

      2 손보미, "회화인식에서 기(氣) 의미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골기(骨氣)․기운비사(氣韻非師)․사기(士氣) -"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111-130, 2011

      3 李澤厚, "화하미학" 동문선 1999

      4 신효영, "현상학적 ‘몸’철학에서 본 미니멀 춤의 특성" 부산대학교 2020

      5 김현희, "현대한국창작춤에 나타난 즉흥성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 양정은, "한국춤 동작수행 시 상체의 기(氣)운용 체계 연구" 235-240, 2013

      7 김유정,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유형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정석지,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지희, "한국전통춤에 나타나는 음양오행적 표현" 한국체육철학회 11 (11): 247-268, 2003

      10 韓素英, "한국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 수용에 관한 연구 : 표현양상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1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12 신효영, "한국 미니멀리즘 춤의 미적 특성 -한국 창작춤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7 (77): 147-162, 2019

      13 김태원, "필요 없는 論理性과 필요한 논리성" 116-125, 1992

      14 민성희, "포스트모던댄스의 미니멀리즘과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비교연구" 33 (33): 1004-1019, 2000

      15 김매자, "춤의 김매자" 열화당 2014

      16 김말복, "춤과 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17 서복관, "중국예술 정신" 동문선 1990

      18 이화진, "주자(朱子) 기(氣) 사상과 한국춤 사상과의 유관성(有關性)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36 (36): 101-130, 2012

      19 정춘자, "전통춤을 바탕으로 한 한국 창작춤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무용제 대상작품 '홰'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20 김태원, "예술춤의 중심과 주변" 현대미학사 2001

      21 장광열, "스스로춤, 예술을 예술이게 하는 생명의 춤" 74 : 2015

      22 김현자, "생춤의 세계" 문학사 1992

      23 윤여범, "동양회화에 나타난 기(氣) 개념 고찰 -서권기(書卷氣)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25) : 303-321, 2014

      24 문예대극장, "김현자 개인공연 ‘생춤’- 하루 I, 하루II"

      25 김채현, "김기인과 그 시대" 김기인춤문화재단 2020

      26 문예회관 대극장, "김기인 박숙자 2인 춤판 (‘地’, ‘씨앗’, ‘빛’, ‘돔’, ‘운’)"

      27 성기숙, "경계 뛰어넘기, 또는 경계 초월하기" 70-74, 2003

      28 김채현, "祭儀的 빛깔강한 破格의 무대" 130-,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1 0.7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