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편향된 미디어가 한국 사회를 정서적으로 양극화시키는가? = Does Partisan Media Polarize Korean Society Emotional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3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과거에 비해 최근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을 미디어라 예상한다. 양극화라는 주제에 대해 이미 많은 연구가 ...

      현재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과거에 비해 최근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을 미디어라 예상한다. 양극화라는 주제에 대해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다수는 이념 양극화에 집중해 왔으며 정서적 양극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편향된 미디어가 한국 사회를 양극화시키는지 관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통 미디어 사용자, 뉴미디어 사용자,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모두 사용한 사람으로 분류해 미디어 사용이 주요 정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를 크게 만드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당파성이 있는 미디어 사용자들은 편향된 미디어를 전통 미디어나 뉴미디어 각각 사용할 때보다 편향된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모두 사용할 때 주요 정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향된 미디어가 유권자들에게 감정적 대립인 정서적 양극화를 발생시키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deepens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media is the cause of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affective polarization compared to the pa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polarization, but most o...

      What deepens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media is the cause of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affective polarization compared to the pa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polarization, but most of them have concentrated on ideological polarization, while studies on affective polarization are still lack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iased media polarizing Korean society. By classifying media users into traditional media users, new media users, and those who used both traditional and new media, it analyzes whether the use of media makes a big difference in favor of major parties. It was found that partisan media users have a greater difference in favor of major political parties when using both biased traditional media and biased new media than using only one of them.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partisan media is a factor in affective polariz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