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벨탑 이야기 : 도덕교육의 문화적 차원 = The Tower of Babel : The Cultural Aspect of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1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different implications notwithstanding, the two versions of 'the Tower of Babel' which are elaborated by Michael Oakeshott into more proper tellings explicate the impact of the 'rationalism' on moral life. What he calls 'rationalism' is a manner of thinking which strives to put stress on the Ideal independently of the concrete moral lives, and to regard the concrete moral lives as the means to achieving it. The 'rationalism' seems the least amenable to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oral behavior, so that the rationalist stands for thought free from obligation to any authority.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can be no place in our daily lives for fortifying power of his 'reason', only a place for making the Ideal manifest.
      Moral education in the proper sense aims at recovering the Ideal which is involved in each individual activity, and at recognizing our daily lives as the place for the cultivation of the primordial mind. Here, then, we can hold that the idea of 'metapraxis' can shed light upon explaining the cultural aspect of moral education. From the metapractical standpoint, our daily live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immediate satisfaction of needs. Life must be lived as making primordial mind manifest.
      번역하기

      Some different implications notwithstanding, the two versions of 'the Tower of Babel' which are elaborated by Michael Oakeshott into more proper tellings explicate the impact of the 'rationalism' on moral life. What he calls 'rationalism' is a manner ...

      Some different implications notwithstanding, the two versions of 'the Tower of Babel' which are elaborated by Michael Oakeshott into more proper tellings explicate the impact of the 'rationalism' on moral life. What he calls 'rationalism' is a manner of thinking which strives to put stress on the Ideal independently of the concrete moral lives, and to regard the concrete moral lives as the means to achieving it. The 'rationalism' seems the least amenable to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oral behavior, so that the rationalist stands for thought free from obligation to any authority.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can be no place in our daily lives for fortifying power of his 'reason', only a place for making the Ideal manifest.
      Moral education in the proper sense aims at recovering the Ideal which is involved in each individual activity, and at recognizing our daily lives as the place for the cultivation of the primordial mind. Here, then, we can hold that the idea of 'metapraxis' can shed light upon explaining the cultural aspect of moral education. From the metapractical standpoint, our daily live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immediate satisfaction of needs. Life must be lived as making primordial mind manife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우크쇼트의 두 편의 ‘바벨탑 이야기’는, 약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합리주의가 도덕적 삶에 끼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합리주의는, 삶의 이상은 현재의 구체적 삶에 시간상 앞서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삶은 그러한 삶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합리주의는 우리의 삶에서 실천되고 있는 ‘행위전통’을 정당히 존중하지 않음으로써, 삶의 이상을 임의적인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개인의 사변적 사고로 좌지우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이상을 조금씩 실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도덕교육은 개인이 부지불식간에 실천하고 있는 도덕적 이상을 밝힘으로써, 우리의 삶 자체가 심성을 함양하는 장임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로 이 점에서 도덕교육의 문화적 차원을 밝히는 것은 우리의 삶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 의하면, 우리의 삶은 필요에 의해 지배되는 삶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갖추고 있는 심성을 조금씩 표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번역하기

      오우크쇼트의 두 편의 ‘바벨탑 이야기’는, 약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합리주의가 도덕적 삶에 끼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합리주의는, 삶의 이상은 현재의 구체적 삶에 시...

      오우크쇼트의 두 편의 ‘바벨탑 이야기’는, 약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합리주의가 도덕적 삶에 끼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합리주의는, 삶의 이상은 현재의 구체적 삶에 시간상 앞서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삶은 그러한 삶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합리주의는 우리의 삶에서 실천되고 있는 ‘행위전통’을 정당히 존중하지 않음으로써, 삶의 이상을 임의적인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개인의 사변적 사고로 좌지우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이상을 조금씩 실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도덕교육은 개인이 부지불식간에 실천하고 있는 도덕적 이상을 밝힘으로써, 우리의 삶 자체가 심성을 함양하는 장임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로 이 점에서 도덕교육의 문화적 차원을 밝히는 것은 우리의 삶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 의하면, 우리의 삶은 필요에 의해 지배되는 삶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갖추고 있는 심성을 조금씩 표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우, "오우크쇼트의 사상 세계"

      2 이홍우, "대승기신론 통석" 김영사 2006

      3 Oakeshott, M., "The Tower of Babel. in: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Methuen & Co. Ltd. 59-79, 1962

      4 Oakeshott, M., "The Tower of Babel. in: On History and Other Essays" Basil Blackwell Publisher Ltd. 165-94, 1983

      5 Candreva, Debra, "The Enemies of Perfection: Oakeshott, Plato, and the Critique of Rationalism" Lexington Books 2005

      1 이홍우, "오우크쇼트의 사상 세계"

      2 이홍우, "대승기신론 통석" 김영사 2006

      3 Oakeshott, M., "The Tower of Babel. in: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Methuen & Co. Ltd. 59-79, 1962

      4 Oakeshott, M., "The Tower of Babel. in: On History and Other Essays" Basil Blackwell Publisher Ltd. 165-94, 1983

      5 Candreva, Debra, "The Enemies of Perfection: Oakeshott, Plato, and the Critique of Rationalism" Lexington Book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