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성애, "해녀의 이주 생활사-부산 용호어촌계 해녀에 관한 사례연구" 2 : 1995
2 이종길, "조선후기 어촌사회의 소유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7
3 김수희, "조선후기 멸치어업 성립과 개항 후의 어업 변화 과정"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0) : 261-285, 2007
4 김현구, "조선 후기 沿海民의 생활상-18~19세기 巨濟府를 중심으로" 8 : 2001
5 김수희, "일제하의 일본인 이주어촌의 존재형태-1910년대의 경상남도 사례연구" 2 : 1994
6 이경미, "일제하 시장제도의 변화와 마산어시장" (22) : 2006
7 김수희, "일제시대 어업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수산업사연구소 3 : 1996
8 김수희, "일제시대 고등어어업과 일본인 이주어촌" 한국역사민속학회 (20) : 165-190, 2005
9 박구병, "어업권제도와 연안어장 소유・이용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30 : 1983
10 이상고, "동해안 울산 강동(江東)지역 곽암(藿岩)이용에 관한 연구" 5 : 1998
1 최성애, "해녀의 이주 생활사-부산 용호어촌계 해녀에 관한 사례연구" 2 : 1995
2 이종길, "조선후기 어촌사회의 소유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7
3 김수희, "조선후기 멸치어업 성립과 개항 후의 어업 변화 과정"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0) : 261-285, 2007
4 김현구, "조선 후기 沿海民의 생활상-18~19세기 巨濟府를 중심으로" 8 : 2001
5 김수희, "일제하의 일본인 이주어촌의 존재형태-1910년대의 경상남도 사례연구" 2 : 1994
6 이경미, "일제하 시장제도의 변화와 마산어시장" (22) : 2006
7 김수희, "일제시대 어업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수산업사연구소 3 : 1996
8 김수희, "일제시대 고등어어업과 일본인 이주어촌" 한국역사민속학회 (20) : 165-190, 2005
9 박구병, "어업권제도와 연안어장 소유・이용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30 : 1983
10 이상고, "동해안 울산 강동(江東)지역 곽암(藿岩)이용에 관한 연구" 5 : 1998
11 김동철, "대일본수산회 회고 「회보」의 한국관련 기사와 사료적 가치" 30 : 2007
12 유승훈, "낙동강 하구 제염업의 변천과 소금 관련 민속" 고려대 2006
13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경남 서부지역의 고문헌" 가람출판사 2009
14 박구병, "韓國漁業史" 정음사 1975
15 農商工部水産局, "韓國水産誌" 1908
16 水産業協同組合中央會, "韓國水産業團體史" 1980
17 吉田敬市, "朝鮮水産開發史" 朝水會 1952
18 이영학, "朝鮮後期 魚物의 流通"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7 : 2001
19 국립수산진흥원, "國立水産振興院 六十年史" 신한인쇄사 1981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35-巨濟 舊助羅里篇-" 1998
21 최정윤, "中項里捕貝契에 관한 考察" 수산업사연구소 2 :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