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 신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0611
202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87-206(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 신입...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 신입생 395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11일부터 3월 22일까지 2주 동안 마음챙김, 회복탄력성,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 대학생활적응은 변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신입생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마음챙김의 주의집중,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 마음챙김의 탈중심적 주의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봄으로써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indfulness and resili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mong newly admitted university freshmen.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mindfulness, resi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indfulness and resili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mong newly admitted university freshmen.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mindfulness, resilienc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395 freshmen at K Women’s University in G City over a two-week period from March 11 to March 22,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using SPSS 24.0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resilienc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freshme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mindfulness and resilience among university freshmen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particular, positivity in resilience, attentional focus in mindfulness, interpersonal skills in resilience, and decentered attention in mindfulnes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that order.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freshmen, it is possible to explore ways to enhance mindfulness and resilience. Thi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목차 (Table of Content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수송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포스트휴먼 생태주의에 기반한 초등 음악 수업 방안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