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특징 및 전망 분석 = Analysis of Indonesian E-commerce Features and Pro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7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높은 경제규모임에도 불구하고 하위 중소득국가로 속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열악한 인프라 가운데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는 정보통신 인프라 성장 및 전망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높은 경제규모임에도 불구하고 하위 중소득국가로 속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열악한 인프라 가운데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는 정보통신 인프라 성장 및 전망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통신 인프라의 성장에 따라 인도네시아 내의 온라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유독 정보통신 인프라가 높은 GDP를 보여주는 이유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인터넷 활용,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한 온라인 쇼핑 덕분이다. 인도네시아의 소비자들은 새로운 스타일의 변화를 위해 스마트폰을 찾는 계층이 중산층을 넘어 다양해졌으며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도네시아의 소비스타일이 크게 바뀌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 즉 전자상거래의 시장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발전해 나아갈수록 별도의 은행 계좌 없이도 결제 바코드나 QR코드를 캐셔에게 보여주고 현장에서 지불하면 결제가 완료되는 전자화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자 결제 방식은 Go-Pay이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이 결제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이 더욱 편한 인도네시아 국민의 성향에 결제방식이 변화하고 그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다면 동남아시아 가운데 정보통신 인프라 뿐만 아니라 결제 인프라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 기대하며,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의 발전에 관한 전략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장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인도네시아 수출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9 (19): 99-126, 2017

      2 최장우,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사례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215-232, 2017

      3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IT Go Pay 80%...The most popular payment service in Inni"

      4 "The success story of the 020 startup Gozek, called Uber in Indonesia"

      5 "Strategies for entering the Indonesian e-commerce market"

      6 "Southeast Asia's E-Payment App armed with technology... A society without cash"

      7 "Recharge 70% of monthly pay to smartphone apps. What is the trend of e-money here?"

      8 "Peak of Go Pay QR Code Simple Payment App Tena Earned Benefits"

      9 "Indonesian state-run companies are planning to launch GoPay, OVO Opposition Linkage Aza"

      10 "Indonesian Associ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1 최장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인도네시아 수출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9 (19): 99-126, 2017

      2 최장우,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사례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215-232, 2017

      3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IT Go Pay 80%...The most popular payment service in Inni"

      4 "The success story of the 020 startup Gozek, called Uber in Indonesia"

      5 "Strategies for entering the Indonesian e-commerce market"

      6 "Southeast Asia's E-Payment App armed with technology... A society without cash"

      7 "Recharge 70% of monthly pay to smartphone apps. What is the trend of e-money here?"

      8 "Peak of Go Pay QR Code Simple Payment App Tena Earned Benefits"

      9 "Indonesian state-run companies are planning to launch GoPay, OVO Opposition Linkage Aza"

      10 "Indonesian Associ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11 "Indonesia's mobile electronic currency competes"

      12 "Indonesia's E-Money market boom"

      13 "Indonesia Increases Use of Corona 19 Online Wallet"

      14 "Indonesia Go Pay"

      15 김광현, "E-commerce의 시장 지배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5 (15): 731-738, 2020

      16 "Analysis of online shopping trends of Indonesian consumers"

      17 H-J. Choi, "A study on the factors of using korea's e-commerce platform in Indonesia" 41 (41): 1-15, 2018

      18 K. H. Kim, "A study on the charateristics and prospects of e-commerce in india" 15 (15): 2020

      19 S. M. Han, "A comparative study on online shopping behavior in major Southeast" 21 (21): 179-197,

      20 J-H. Park, "A Study on Indonesian consumers'satisfaction with purchasing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 of repurchase through online shopping malls"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31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