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경북 일부지역 중학교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 분석 = 삼삼급식소 적용을 위한 기초조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6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칠곡지역 4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끼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끼 소금 함량 ...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칠곡지역 4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끼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교의 한 끼당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4.41g이며, 전체 평균 나트륨 함량은 1,736.02 ㎎이다. 4개 학교에서 제공한 총 40개의 식단 중 1개 식단을 제외한 39개(97.5%) 식단이 식약처에서 권고하는 중학교 ‘삼삼급식소’ 나트륨 함량 기준(1,000 ㎎)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점심급식 중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식단은 2,827.56 ㎎으로 나타났다. 점심급식에서 제공된 메뉴를 총 16개 군으로 분류하여 음식군별로 제공량, 염도,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염도는 1.06%이며,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0.74 g이다. 조사대상 학교에서 점심급식으로 제공된 음식을 밥류, 일품밥·면류, 국·탕·찌개류, 주찬, 부찬, 김치류, 후식류 등의 7개 메뉴 유형별로 구분하여 한 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일품밥·면류(40.56%), 국·찌개류(23.23%), 김치류(20.30%), 주찬류(18.13%), 부찬류(11.3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학교별 국·탕·찌개류의 염도는 전체 평균 0.75%이며, 38개 국·탕·찌개 중 12개(32.0%)가 식약처 국염도 권고기준 0.8%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품밥·면류와 주찬류 중 나트륨 함량이 높은 메뉴를 살펴본 결과 일품밥·면류는 쌀잔치국수(1,056.49 ㎎), 자장볶음밥(976.48 ㎎), 오므라이스(821.33 ㎎), 굴소스야채볶음밥(791.00 ㎎), 비빔밥(744.46 ㎎)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찬류는 오징어미더덕찜(1,120.88 ㎎), 돈육버섯볶음(626.84 ㎎), 김치돈육볶음(563.28 ㎎), 매운어묵조림(498.01 ㎎), 떡볶이(497.45 ㎎)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학교 급식 이용자의 중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한 끼 총나트륨 함량을 1,000 ㎎ 이하 수준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삼삼급식소’ 사업에 학교급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교급식에 나트륨 저감화가 정착되도록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middle schools in Gyeongsangbuk-do. Four middle school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alt and sodium content and salt content contributing rate per me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middle schools in Gyeongsangbuk-do. Four middle school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alt and sodium content and salt content contributing rate per meal. Average salt content of every lunch meal was 4.41 g, and average sodium content was 1,736.02 ㎎.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lowest sodium content was 943.19 ㎎ while the highest was 2,827.56 ㎎.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16 food items and investigated for salt and sodium content. Total average salinity was 1.06%. Kimchi was the saltiest, followed by fresh-vegetables, boiled-vegetables, stir-fried foods, pan-fried foods, and hard-boiled foods.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0.74 g, and most salty dishes were single dish rice・noodles, followed by stews, steamed foods, broths, soups, kimchies, stir-fried foods, roasted foods, and hard-boiled foods.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menu groups, including cooked rice, single dish rice・noodles, soup・stew, main dish, side dish, kimchi, and desserts. Contributing rate of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high in single dish rice・noodles (40.56%), soup・stew (23.23%), kimchies (20.30%), and main dish (18.13%).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establishing a database for sodium contents of meals in middle schools. ‘SamSam foodservice’ should be initiated in school foodservice to reduce sodium inta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숙미, "한국인의 소금섭취 현황과 영양문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8-390, 2002

      2 이선규, "초·중학교 학교급식 중 나트륨, 칼륨 섭취실태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78-585, 2010

      3 김기남,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71-280, 2005

      4 김복란, "원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정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태도 및 식습관 비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9-33, 2009

      5 신은경, "서울 시내 3개 지역별 초등학교 6학년의 패스트푸드 섭취 실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662-674, 2008

      6 김현아, "산업체 급식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염분 함량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739-745, 2008

      7 이경아, "부산지역 중 고등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448-455, 2006

      8 이휘재, "부산·경북지역 초·중학교 급식메뉴의 나트륨 함량 및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5-91, 2010

      9 이은미, "대전·충청 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나트륨, 칼륨 함량 및 섭취량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853-862, 2010

      10 김지애, "대구지역 사업체급식 메뉴 유형별 염도 및 소금함량 측정"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637-651, 2012

      1 손숙미, "한국인의 소금섭취 현황과 영양문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8-390, 2002

      2 이선규, "초·중학교 학교급식 중 나트륨, 칼륨 섭취실태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78-585, 2010

      3 김기남,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71-280, 2005

      4 김복란, "원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정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태도 및 식습관 비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9-33, 2009

      5 신은경, "서울 시내 3개 지역별 초등학교 6학년의 패스트푸드 섭취 실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662-674, 2008

      6 김현아, "산업체 급식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염분 함량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739-745, 2008

      7 이경아, "부산지역 중 고등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448-455, 2006

      8 이휘재, "부산·경북지역 초·중학교 급식메뉴의 나트륨 함량 및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5-91, 2010

      9 이은미, "대전·충청 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나트륨, 칼륨 함량 및 섭취량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853-862, 2010

      10 김지애, "대구지역 사업체급식 메뉴 유형별 염도 및 소금함량 측정"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637-651, 2012

      11 조미희, "급식업체에서 제공하는 국류의 적정 염도와 온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601-607, 2008

      12 김선주, "국에 대한 고객이 선호하는 염도와 급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염도 사이의 비교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444-450, 2009

      13 이경숙, "경기지역 학교급식의 염도계 사용과 나트륨 저감화 교육실태" 대한영양사협회 19 (19): 173-181, 2013

      14 김진남, "경기도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 급식의 소금함량 및 유아 식사준비자의 나트륨 섭취관련 식태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478-490, 2013

      15 MFDS., "The guideline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Samsam foodservice’"

      16 MOHW.,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17 KOSTAT, "Statistics on causes of death for the year 2013"

      18 Choi HM., "Nutrition in the 21st century. 3th ed" Gyomoon Publishers 316-320, 2006

      19 "Korean Food Foundation. Korean menu in English"

      20 MOE, "Guidance on sodium reduction for school foodservice"

      21 MFDS., "Food is on a sodium diet"

      22 MFDS., "Eating out and school foodservice, choose a low sodium food"

      23 KNS.,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CAN-Pro4.0)"

      24 Lim HJ,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34 : 786-796, 2001

      25 An GS.,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6 : 271-281, 2001

      26 장순옥, "6개월간의 저염식이 여자 대학생의 짠맛에 대한 인지와 기호, 혈압 및 뇨 나트륨 배설량에 미친 영향" 한국영양학회 43 (43): 433-442, 2010

      27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2016 Basic direction of school foodservi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