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몬스터에게 붙잡히지 않고 키를 찾아서 연구소를 탈출하는 공포 방탈출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게임을 진행한30명의 게임 플레이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0448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4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몬스터에게 붙잡히지 않고 키를 찾아서 연구소를 탈출하는 공포 방탈출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게임을 진행한30명의 게임 플레이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
본 논문에서는 몬스터에게 붙잡히지 않고 키를 찾아서 연구소를 탈출하는 공포 방탈출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게임을 진행한30명의 게임 플레이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하는 게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하는 게임은 다양한 아이템, 액션,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게임이 숨을 곳도 많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고 설문에서4점 이상 주었다. 또한, map의 footprint를 분석한 결과, 플레이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키를 찾아서 탈출하였다. 둘째, 제안하는 게임은 외관으로 기능을 추론할 수 있는 직관적인 오브젝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시각적 공간 및 게임 아이템 용도를 쉽게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플레이어는 조작감 관련 항목의 점수를4점 이상을 주었다. 셋째, 제안하는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아이템이 충분할 때보다는 부족할 때 더 몰입을 잘 한다. 게임 플레이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플레이어는 아이템이 부족할 때 더 크게 공포를 느끼고 상황에 몰입하여,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성, "직관적 디자인 형태에 관한 연구 -iPhone4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23-29, 2011
2 김수완,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에서의 매직서클 디자인에 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24 (24): 33-45, 2023
3 윤장원, "공포 게임 그래픽디자인의 공포 요소 연구 (공포 장르 영화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45-58, 2006
4 왕건 ; 김지홍, "가상현실 공포게임의 배경 이미지 디자인을 위한 공포 요소의 체계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2 (22): 137-146, 2019
5 이혜원, "가상공간에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방법 연구 -1인칭 시점 게임 ‘에디스핀치의 유산’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8) : 427-449, 2022
6 Ramos Ibarra, "Proposal for the Analysis of a Video Game, a Film, and their Relationship:Silent Hill as a Subject of the Horror Genre" Universitat Autònoma de Barcelona 2012
7 Sedig, K., "Player-ame Interaction and Cognitive Gameplay : A Taxonomic Framework for the Core Mechanic of Videogames" 4 (4): 2017
8 Kenobi, B.T., "Hiding in a Hollow Tree"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10
9 Horton, J.S.E., "Assessing the Validity of Experience-Driven Procedural Generation in Horror Games" University of Lincoln 2019
10 Ouriques, L., "Analyzing Space Dimensions in Video Games" 36-45, 2019
1 고재성, "직관적 디자인 형태에 관한 연구 -iPhone4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23-29, 2011
2 김수완,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에서의 매직서클 디자인에 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24 (24): 33-45, 2023
3 윤장원, "공포 게임 그래픽디자인의 공포 요소 연구 (공포 장르 영화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45-58, 2006
4 왕건 ; 김지홍, "가상현실 공포게임의 배경 이미지 디자인을 위한 공포 요소의 체계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2 (22): 137-146, 2019
5 이혜원, "가상공간에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방법 연구 -1인칭 시점 게임 ‘에디스핀치의 유산’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8) : 427-449, 2022
6 Ramos Ibarra, "Proposal for the Analysis of a Video Game, a Film, and their Relationship:Silent Hill as a Subject of the Horror Genre" Universitat Autònoma de Barcelona 2012
7 Sedig, K., "Player-ame Interaction and Cognitive Gameplay : A Taxonomic Framework for the Core Mechanic of Videogames" 4 (4): 2017
8 Kenobi, B.T., "Hiding in a Hollow Tree"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10
9 Horton, J.S.E., "Assessing the Validity of Experience-Driven Procedural Generation in Horror Games" University of Lincoln 2019
10 Ouriques, L., "Analyzing Space Dimensions in Video Games" 36-45, 2019
11 Kim, Sang Beom, "A study on the function of game music in terms of the immersion and narr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Dong-A University 2009
12 Yoon Jang-won, "A study of Amusement Fear Factor in Horror Games and Player’s Respons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2008
Research on Virtual Reality Games Using Hands as User Interface for Oculus Quest
Research on Basic Visual Design using Generative AI
향상된 유닛 생산과 게임 플레이 경험을 위한 스타크래프트 II 강화학습 AI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es of metaverse platform development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