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abermas, J.,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6
2 정미라, "정치사회와 상호 인정, In 이성과 자유" 21세기북스 2006
3 하주영, "정의의 타자" 나남 2009
4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5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6 Benhabib, S., "비판, 규범, 유토피아" 울력 2008
7 정미라, "근대성과 자기보존문제 - 홉즈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회 61 (61): 153-174, 2011
8 정현철,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한국헤겔학회 (28) : 409-437, 2010
9 Horkheimer, M,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1
10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2000
1 Habermas, J.,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6
2 정미라, "정치사회와 상호 인정, In 이성과 자유" 21세기북스 2006
3 하주영, "정의의 타자" 나남 2009
4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5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6 Benhabib, S., "비판, 규범, 유토피아" 울력 2008
7 정미라, "근대성과 자기보존문제 - 홉즈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회 61 (61): 153-174, 2011
8 정현철,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한국헤겔학회 (28) : 409-437, 2010
9 Horkheimer, M,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1
10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2000
11 Hegel, G.W.F,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III, In Werke in zwanzig Bänden" 1971
12 Fischer, K., "Verwiderte Selbsterhaltung" 1999
13 Horkheimer, M., "Vernunft und Selbsterhaltung, In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14 Guzzoni, U, "Sieben Stücke zu Adorno" 2003
15 Blumenberg, H, "Selbsterhaltung und Beharrung"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16 Thyen, A, "Negative Dialektik und Erfahrung, In Zur Rationalität des Nichtidentischen bei Adorno" 1989
17 Hegel, G.W.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Werke in zwanzig Bänden 1970
18 Söllner, A, "Geschichte und Herrschaft, In Studien zur materialistischen Sozialwissenschaft 1929-1942" 1979
19 Weber, M, "Gesammelte Aufsätze zur Religionssoziologie, 제 1권" 1963
20 Ebeling, H., "Das Subjekt in der Moderne"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21 Kant, I, "Beantwortung der Frage: Was ist Aufklärung, In Kants Werke Akademie-Ausgabe"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