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체의 형성과 타자, 그리고 자기보존 -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 Die Entstehung der Subjektivität, das Andere und die Selbsterhalt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1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alektik der Aufklärung gilt gemeinhin als ein Hauptwerk von Horkheimer und Adorno, in welchem die beiden Denker unternommen haben, die programmatische Wende zu vollziehen, indem sie den historischen Optimismus aufgegeben haben, welcher ihre philosophische Überlegungen in der frühen Phase dominiert hatte.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fassen sie den Nationalsozialismus, welcher eine “neue Barbarei” darstellt, als die notwendige Konsequenz des modernen Subjekts auf, das sich auf das Prinzip der Selbsterhaltung gründet. Fernerhin betrachten sie den Faschismus als eine Barbarei, welche schicksalhaft mit dem Begehren der Menschen nach der Selbsterhaltung verbunden ist, indem sie die Gewaltsamkeit, welche das dem modernen Subjekt innewohnende Prinzip der Selbsterhaltung enthält, über die moderne Zeit hinaus, als auch die antike Welt der Mythologie beherrschendes Prinzip interpretieren. Damit geben sie neue Perspektive, diese Gewaltsamkeit zu überwinden, völlig auf.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Verhältnis von dem Prozeß der Herausbildung des Subjekts, welchen Horkheimer und Adorno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analysiert haben, und dem Anderen untersucht und die der Aufklärung innenwohnende Barbarei kritisch beleuchtet. Auf Grundlage dieser Untersuchung wird auf den Sinn und die Grenze ihrer pessimistischen Geschichtsperspektive reflektiert.
      번역하기

      Dialektik der Aufklärung gilt gemeinhin als ein Hauptwerk von Horkheimer und Adorno, in welchem die beiden Denker unternommen haben, die programmatische Wende zu vollziehen, indem sie den historischen Optimismus aufgegeben haben, welcher ihre philoso...

      Dialektik der Aufklärung gilt gemeinhin als ein Hauptwerk von Horkheimer und Adorno, in welchem die beiden Denker unternommen haben, die programmatische Wende zu vollziehen, indem sie den historischen Optimismus aufgegeben haben, welcher ihre philosophische Überlegungen in der frühen Phase dominiert hatte.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fassen sie den Nationalsozialismus, welcher eine “neue Barbarei” darstellt, als die notwendige Konsequenz des modernen Subjekts auf, das sich auf das Prinzip der Selbsterhaltung gründet. Fernerhin betrachten sie den Faschismus als eine Barbarei, welche schicksalhaft mit dem Begehren der Menschen nach der Selbsterhaltung verbunden ist, indem sie die Gewaltsamkeit, welche das dem modernen Subjekt innewohnende Prinzip der Selbsterhaltung enthält, über die moderne Zeit hinaus, als auch die antike Welt der Mythologie beherrschendes Prinzip interpretieren. Damit geben sie neue Perspektive, diese Gewaltsamkeit zu überwinden, völlig auf.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Verhältnis von dem Prozeß der Herausbildung des Subjekts, welchen Horkheimer und Adorno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analysiert haben, und dem Anderen untersucht und die der Aufklärung innenwohnende Barbarei kritisch beleuchtet. Auf Grundlage dieser Untersuchung wird auf den Sinn und die Grenze ihrer pessimistischen Geschichtsperspektive reflektie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공저인 『계몽의 변증법』은 ‘프랑크푸르트 학파(Frakfurter Schule)’의 대표적 사상가라 할 수 있는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와 아도르노(Th. W. Adorno)가 자신들의 철학적 사유의 초기에 지배했던 역사적 낙관주의를 포기함으로써 사상적 전회를 시도한 대표적 작품으로 이야기된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새로운 야만성”인 나치즘을 자기보존의 원리에 근거해있는 근대적 주체의 필연적 귀결로 파악한다. 이러한 자기보존의 원리는 자연과 다른 인간에 대한 지배, 즉 인간의 타자로서 규정된 외적인 자연과 자신의 내적 자연에 대한 폭력을, 그리고 사회적 지배관계를 함축한다. 그들은 근대적 주체에 내재해 있는 자기보존 원리가 지닌 이러한 폭력성을 근대를 넘어, 고대 신화의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로 확대 해석함으로써 나치즘을 인간의 자기보존욕망에 운명론적으로 결부된 야만으로 이해하게 된다. 이와 함께 그들은 이러한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완전히 단념하게 된다. 본 논문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분석한 주체의 형성과정과 타자의 관계를 해명하고, 계몽에 내재한 야만성을 비판적으로 추적함으로써 그들의 비관적인 역사전망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밝혀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공저인 『계몽의 변증법』은 ‘프랑크푸르트 학파(Frakfurter Schule)’의 대표적 사상가라 할 수 있는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와 아도르노(Th. W. Adorno)가 자신들의 ...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공저인 『계몽의 변증법』은 ‘프랑크푸르트 학파(Frakfurter Schule)’의 대표적 사상가라 할 수 있는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와 아도르노(Th. W. Adorno)가 자신들의 철학적 사유의 초기에 지배했던 역사적 낙관주의를 포기함으로써 사상적 전회를 시도한 대표적 작품으로 이야기된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새로운 야만성”인 나치즘을 자기보존의 원리에 근거해있는 근대적 주체의 필연적 귀결로 파악한다. 이러한 자기보존의 원리는 자연과 다른 인간에 대한 지배, 즉 인간의 타자로서 규정된 외적인 자연과 자신의 내적 자연에 대한 폭력을, 그리고 사회적 지배관계를 함축한다. 그들은 근대적 주체에 내재해 있는 자기보존 원리가 지닌 이러한 폭력성을 근대를 넘어, 고대 신화의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로 확대 해석함으로써 나치즘을 인간의 자기보존욕망에 운명론적으로 결부된 야만으로 이해하게 된다. 이와 함께 그들은 이러한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완전히 단념하게 된다. 본 논문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분석한 주체의 형성과정과 타자의 관계를 해명하고, 계몽에 내재한 야만성을 비판적으로 추적함으로써 그들의 비관적인 역사전망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밝혀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bermas, J.,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6

      2 정미라, "정치사회와 상호 인정, In 이성과 자유" 21세기북스 2006

      3 하주영, "정의의 타자" 나남 2009

      4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5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6 Benhabib, S., "비판, 규범, 유토피아" 울력 2008

      7 정미라, "근대성과 자기보존문제 - 홉즈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회 61 (61): 153-174, 2011

      8 정현철,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한국헤겔학회 (28) : 409-437, 2010

      9 Horkheimer, M,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1

      10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2000

      1 Habermas, J.,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6

      2 정미라, "정치사회와 상호 인정, In 이성과 자유" 21세기북스 2006

      3 하주영, "정의의 타자" 나남 2009

      4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5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6 Benhabib, S., "비판, 규범, 유토피아" 울력 2008

      7 정미라, "근대성과 자기보존문제 - 홉즈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회 61 (61): 153-174, 2011

      8 정현철,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한국헤겔학회 (28) : 409-437, 2010

      9 Horkheimer, M,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1

      10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2000

      11 Hegel, G.W.F,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III, In Werke in zwanzig Bänden" 1971

      12 Fischer, K., "Verwiderte Selbsterhaltung" 1999

      13 Horkheimer, M., "Vernunft und Selbsterhaltung, In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14 Guzzoni, U, "Sieben Stücke zu Adorno" 2003

      15 Blumenberg, H, "Selbsterhaltung und Beharrung"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16 Thyen, A, "Negative Dialektik und Erfahrung, In Zur Rationalität des Nichtidentischen bei Adorno" 1989

      17 Hegel, G.W.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Werke in zwanzig Bänden 1970

      18 Söllner, A, "Geschichte und Herrschaft, In Studien zur materialistischen Sozialwissenschaft 1929-1942" 1979

      19 Weber, M, "Gesammelte Aufsätze zur Religionssoziologie, 제 1권" 1963

      20 Ebeling, H., "Das Subjekt in der Moderne" Subjektivität und Selbsterhaltung 1996

      21 Kant, I, "Beantwortung der Frage: Was ist Aufklärung, In Kants Werke Akademie-Ausgabe" 19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