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주.전남지역 대학생의 주거가치와 주거 만족도 = Housing Values and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seline data on perceived housing values and satisfaction rates among consumers with the aim of using this information for future plann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1000 university s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seline data on perceived housing values and satisfaction rates among consumers with the aim of using this information for future plann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1000 university students from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from 2007 October 8th to 30th.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onduct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x^2-test$ and one-way ANOV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relation to perceived house values, students identified three factors as important: pursuit of convenience, disposition toward individuality-ori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others. The respondents regarded convenience a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regard to one's safety, health and location of amenities. Secondly, cluster analysis based on perceived house value revealed passive and energetic types. Students in the energetic type exhibited a tendency to prefer convenience, independence, and consciousness of others. Finally in terms of housing satisfaction, the respondents identified four factors as important: house quality, neighborhood environment, local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location. Housing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students who lived in large or new houses, shared the same house with their family, and had a room all to themselves. Accoding to these findings, university students important value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al-friendliness in a house and they find location important. Therefore, future houses should reflect these wa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혜, "학생용 주거계획을 위한 자취생들의 주생활특성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경북 안동시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4 (14): 1-10, 2003

      2 황경희, "청소년의 주거가치 및 주거선호 경향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 (2): 80-101, 2000

      3 심영섭, "지방대학 대학촌의 학생주거 실태조사 연구" 14 (14): 103-112, 1998

      4 장성수,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15 (15): 11-18, 1999

      5 양세화, "주거만족도 모델에서 주거가치의 역할 연구" 7 (7): 1-7, 1996

      6 고경필, "주거가치와 주생활양식에 따른 주택구매행동 분석" 5 (5): 65-75, 1994

      7 조정현, "주거가치에 따른 코하우징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8 (18): 103-111, 2007

      8 하정순, "주거가치에 따른 아파트구매행동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7-106, 2003

      9 하정순, "주거가치 유형화에 따른 아파트 선택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8 (18): 11-20, 2007

      10 김선중, "울산시 도심거주자의 생활양식과 주거만족" 한국주거학회 18 (18): 1-13, 2007

      1 이미혜, "학생용 주거계획을 위한 자취생들의 주생활특성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경북 안동시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4 (14): 1-10, 2003

      2 황경희, "청소년의 주거가치 및 주거선호 경향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 (2): 80-101, 2000

      3 심영섭, "지방대학 대학촌의 학생주거 실태조사 연구" 14 (14): 103-112, 1998

      4 장성수,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15 (15): 11-18, 1999

      5 양세화, "주거만족도 모델에서 주거가치의 역할 연구" 7 (7): 1-7, 1996

      6 고경필, "주거가치와 주생활양식에 따른 주택구매행동 분석" 5 (5): 65-75, 1994

      7 조정현, "주거가치에 따른 코하우징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8 (18): 103-111, 2007

      8 하정순, "주거가치에 따른 아파트구매행동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7-106, 2003

      9 하정순, "주거가치 유형화에 따른 아파트 선택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8 (18): 11-20, 2007

      10 김선중, "울산시 도심거주자의 생활양식과 주거만족" 한국주거학회 18 (18): 1-13, 2007

      11 김경숙, "아파트 브랜드와 소비자 주거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89-197, 2006

      12 신석하,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와 인지가치 차이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37-245, 2006

      13 정금호,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21-28, 2002

      14 조은정,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 12 (12): 132-144, 1994

      15 윤복자, "신세대 소비자·대학생의 주거와 주거입지환경 선호에 대한 연구" 15 (15): 33-43, 1999

      16 신화경, "신문광고를 통해 본 시대별 주거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아파트 관련 광고를 중심으로" 9 (9): 75-85, 1998

      17 조성명, "서울 근교 신도시,분당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 8 (8): 77-85, 1997

      18 김미희, "도시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 한국주거학회 14 (14): 9-18, 2003

      19 윤재웅, "대구지역 거주 대학생의 주거가치관에 관한 연구" 8 (8): 131-139, 1997

      20 김은희, "공동주택 주거만족도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이론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50-5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