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체육전문지도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Programme on Improving Community Living Skill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Day Activity Centres in Singap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0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raw job areas of sports instructor customized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an systematically perform the work of training activities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an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health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rough a job analysis of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rganized a DACUM Committee consisting of 10 persons, four academic experts in exercise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experts in the administration of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ree consultants and reviewers and drew four jobs and 15 tasks. As a result, as the jobs of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eople eligible, e.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lated laws,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ing of the event’ for the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of the events of sport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planning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eam management, contest participation and operation, and ‘safety management’ related to first aid, in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were drawn. The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asks according to the jobs drawn by the DACUM Committe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with 25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Korea,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from the job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the tasks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naging the people eligible’,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job of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ing of the event,’ the task of ‘being well-informed of teaching method and rules’ was drawn; from the job of ‘planning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asks of ‘participating and operating a contest,’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ports’, ‘fitness manage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and lastly, from the task of ‘safety management,’ the tasks of ‘incident response’ and ‘first aid’ were drawn as important on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raw job areas of sports instructor customized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an systematically perform the work of training activities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an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health of the developmen...

      This study aims to draw job areas of sports instructor customized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an systematically perform the work of training activities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an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health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rough a job analysis of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rganized a DACUM Committee consisting of 10 persons, four academic experts in exercise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experts in the administration of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ree consultants and reviewers and drew four jobs and 15 tasks. As a result, as the jobs of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eople eligible, e.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lated laws,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ing of the event’ for the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of the events of sport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planning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eam management, contest participation and operation, and ‘safety management’ related to first aid, in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were drawn. The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asks according to the jobs drawn by the DACUM Committe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with 25 sports instructo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Korea,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from the job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the tasks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naging the people eligible’,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job of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ing of the event,’ the task of ‘being well-informed of teaching method and rules’ was drawn; from the job of ‘planning sport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asks of ‘participating and operating a contest,’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ports’, ‘fitness manage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hletes’; and lastly, from the task of ‘safety management,’ the tasks of ‘incident response’ and ‘first aid’ were drawn as important on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체육 전문지도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일상 생활권에서 지도활동 업무를 수행하고, 발달장애인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발달장애인 체육전문지도자의 직무 영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체육 및 장애인스포츠관련 학계전문가 4인과 발달장애인체육행정 전문가 3인을 비롯하여 자문 및 검토위원 3인으로 총 10인으로 이루어진 DACUM위원회를 구성하여 4개의 직무와 15개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체육전문지도자의 직무는 발달장애인의 특성, 관련 법률 등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위한 ‘발달장애인선수 이해’와 발달장애 스포츠 종목에 대한 이해와 지도를 위한 ‘종목지도 운영지원’, 팀관리, 대회참가 및 운영 등에 대한 ‘발달장애인스포츠 기획’, 응급처치, 사고예방 및 대응과 관련된 ‘안전관리’가 도출되었다. 이후 DACUM 위원회에서 도출된 직무에 따른 과제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의 발달장애인스포츠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 및 수거하여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선수 이해’ 직무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이해’와 ‘대상자 관리’, ‘발달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이해’ 과제가, ‘종목지도 운영 지원’ 직무에서는 ‘지도법 및 규칙의 숙지’ 과제가, ‘발달장애인스포츠 기획’ 직무에서는 ‘대회참가 및 운영’과 ‘통합스포츠관리 및 운영’, ‘발달장애인선수의 체력관리’과제가, 마지막으로 ‘안전관리’ 직무에서는 ‘사고대응방안’과 ‘응급처치’ 과제가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체육 전문지도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일상 생활권에서 지도활동 업무를 수행하고, 발달장애인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발달장...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체육 전문지도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일상 생활권에서 지도활동 업무를 수행하고, 발달장애인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발달장애인 체육전문지도자의 직무 영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체육 및 장애인스포츠관련 학계전문가 4인과 발달장애인체육행정 전문가 3인을 비롯하여 자문 및 검토위원 3인으로 총 10인으로 이루어진 DACUM위원회를 구성하여 4개의 직무와 15개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체육전문지도자의 직무는 발달장애인의 특성, 관련 법률 등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위한 ‘발달장애인선수 이해’와 발달장애 스포츠 종목에 대한 이해와 지도를 위한 ‘종목지도 운영지원’, 팀관리, 대회참가 및 운영 등에 대한 ‘발달장애인스포츠 기획’, 응급처치, 사고예방 및 대응과 관련된 ‘안전관리’가 도출되었다. 이후 DACUM 위원회에서 도출된 직무에 따른 과제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의 발달장애인스포츠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 및 수거하여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선수 이해’ 직무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이해’와 ‘대상자 관리’, ‘발달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이해’ 과제가, ‘종목지도 운영 지원’ 직무에서는 ‘지도법 및 규칙의 숙지’ 과제가, ‘발달장애인스포츠 기획’ 직무에서는 ‘대회참가 및 운영’과 ‘통합스포츠관리 및 운영’, ‘발달장애인선수의 체력관리’과제가, 마지막으로 ‘안전관리’ 직무에서는 ‘사고대응방안’과 ‘응급처치’ 과제가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애, "한국 장애인 체육시설과 지도자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347-359, 2010

      2 박병도,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편에 따른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양성 가능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27-39, 2013

      3 노형규,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아동의 신체활동 지도를 위한 특수체육 지도자들의 준비요건"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43-55, 2005

      4 강병일, "장애인체육 지도자들의 자기효능감이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59-74, 2014

      5 김권일, "장애인스포츠지도사 효과적 활용을 위한 직무 분석"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17-31, 2015

      6 심영균, "장애인스포츠 지도자의 고용불안이 번아웃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6 (26): 93-104, 2018

      7 조창옥,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43-55, 2013

      8 박병도, "장애인 엘리트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33-47, 2007

      9 김권일, "장애인 생활체육 문제점 분석 및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12 (12): 103-118, 2014

      10 변수자,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3 (33): 179-188, 2003

      1 강승애, "한국 장애인 체육시설과 지도자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347-359, 2010

      2 박병도,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편에 따른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양성 가능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27-39, 2013

      3 노형규,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아동의 신체활동 지도를 위한 특수체육 지도자들의 준비요건"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43-55, 2005

      4 강병일, "장애인체육 지도자들의 자기효능감이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59-74, 2014

      5 김권일, "장애인스포츠지도사 효과적 활용을 위한 직무 분석"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17-31, 2015

      6 심영균, "장애인스포츠 지도자의 고용불안이 번아웃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6 (26): 93-104, 2018

      7 조창옥,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43-55, 2013

      8 박병도, "장애인 엘리트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33-47, 2007

      9 김권일, "장애인 생활체육 문제점 분석 및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12 (12): 103-118, 2014

      10 변수자,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3 (33): 179-188, 2003

      11 Korea Sports Safety Foundation, "a press release from the Sports Safety Foundation"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in 2018" 2019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istics for the Disabled"

      14 Korea Paralympic Committee, "Sports instructor for the disabled Homepage"

      15 Special Olympics Korea, "Special Olympics Korea homepage"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organization of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17 National Center for Disabled Childre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National Center for Disabled Childre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mpage"

      18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2019). Act No. 16225"

      1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JESAD homepage"

      20 GyeongGi-Do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GyeongGi-Do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homepage"

      21 2013 PyeongChang Winter Specia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 "Development plan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 Policy Seminar for the Success of the 2013 Pyeongchang Winter Special Olympics in Korea"

      22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9). Act No. 16258"

      23 "ACT ON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7). Act No. 14839"

      2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sports for the Disabled in 201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