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을 호명하는 한국문학의 지형도 = The geography of the Korean Literature that calls the name of Korean Japanese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4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accordingly. Since the action to lift the ban in 1988, interlocked with discussion on ``Korean Race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rightfulness of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embraces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has been raised within Korean Literature. The plan of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universal global literature which surpasses nationality, language, generation, and ideology gradually prepares the root stage to form the geography of Korean Literature,as the various pathways to approach a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process of Hong, Gi-Sam, Kim, Jong-Hoi, Chang, Sa-Sun, etc. Corresponding to this historical context, research work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preferentially on ``Chosun Language`` Literature is being perform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world. A Research Report of the SoongShil University`s Joint Research Team (by Han, Seung-Ok et 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as national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by Kim, Hak-Ryul et al., “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and the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Poetry by Ha, Sang-Il, Choi, Jong-Hwan, etc. is worthy of notice as the advanced research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of the Korean Japanese that was left as a gap inside Korean Japanese Literature until now and observes the overall context. The macroscopic goal of Korean Literature, the depiction of the ``Korean Race Literature History`` would be enabled primarily from the depic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view o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ential life form of the Korean Japanes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and Study where the language and ideology, or the graded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overcome, we will be able to foresee the integrated and balanced Korea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and the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global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accordingly. Since the action to lift the ban in 1988, interlocked with discussion on ``Korean Race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rightfulness of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embraces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has been raised within Korean Literature. The plan of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universal global literature which surpasses nationality, language, generation, and ideology gradually prepares the root stage to form the geography of Korean Literature,as the various pathways to approach a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process of Hong, Gi-Sam, Kim, Jong-Hoi, Chang, Sa-Sun, etc. Corresponding to this historical context, research work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preferentially on ``Chosun Language`` Literature is being perform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world. A Research Report of the SoongShil University`s Joint Research Team (by Han, Seung-Ok et 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as national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by Kim, Hak-Ryul et al., “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and the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Poetry by Ha, Sang-Il, Choi, Jong-Hwan, etc. is worthy of notice as the advanced research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of the Korean Japanese that was left as a gap inside Korean Japanese Literature until now and observes the overall context. The macroscopic goal of Korean Literature, the depiction of the ``Korean Race Literature History`` would be enabled primarily from the depic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view o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ential life form of the Korean Japanes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and Study where the language and ideology, or the graded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overcome, we will be able to foresee the integrated and balanced Korea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and the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global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환, "현대시의 유랑의식 補論 - 윤동주와 김윤의 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28) : 5-30, 2009

      2 최종환, "현대 자이니치 미디어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한 가능성 -『한흙(大地)』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6 (36): 299-318, 2012

      3 김영무, "해외동포문학의 잠재적 창조성" (겨울) : 1996

      4 임헌영, "해외동포 문학의 의의" (7·8) : 1991

      5 조규익, "해외 한인문학의 존재와 당위 - ‘한민족문학’ 범주의 설정을 제안하며 -" 국어국문학회 (152) : 121-150, 2009

      6 이유식, "해외 한민족 문학권의 현황과 전망" 한민족문화학회 5 : 1999

      7 홍기삼, "해금문학론" 미리내 1991

      8 김종회, "한민족문화권의 문학2" 국학자료원 2006

      9 김종회, "한민족문화권의 문학" 국학자료원 2003

      10 리진, "한민족문학의 오늘과 내일" (겨울) : 1996

      1 최종환, "현대시의 유랑의식 補論 - 윤동주와 김윤의 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28) : 5-30, 2009

      2 최종환, "현대 자이니치 미디어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한 가능성 -『한흙(大地)』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6 (36): 299-318, 2012

      3 김영무, "해외동포문학의 잠재적 창조성" (겨울) : 1996

      4 임헌영, "해외동포 문학의 의의" (7·8) : 1991

      5 조규익, "해외 한인문학의 존재와 당위 - ‘한민족문학’ 범주의 설정을 제안하며 -" 국어국문학회 (152) : 121-150, 2009

      6 이유식, "해외 한민족 문학권의 현황과 전망" 한민족문화학회 5 : 1999

      7 홍기삼, "해금문학론" 미리내 1991

      8 김종회, "한민족문화권의 문학2" 국학자료원 2006

      9 김종회, "한민족문화권의 문학" 국학자료원 2003

      10 리진, "한민족문학의 오늘과 내일" (겨울) : 1996

      11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의 새 범주와 방향성" 국제한인문학회 (창간) : 2004

      1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13 김윤규, "한국문학의 확산적 세계화 일고" 문학과 언어연구회 25 : 2003

      14 홍기삼, "한국문학과 재외 한국인문학" 생각의나무 2010

      15 류연산, "풍요로운 민족문학의 뿌리(해외동포 문단의 실태-재중국 동포문단)" (7·8) : 1991

      16 김종회, "중앙아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 국학자료원 2010

      17 한춘, "중국 조선족문학과 중·한 문학교류" (겨울) : 1996

      18 윤송아, "재일조선인 한글 문학의 주제양상-‘문예동(文藝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5 : 2009

      19 윤송아,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 가족·신체·민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0 최종환, "재일조선인 문학과 4.19 - 북송과 관련된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8 : 331-353, 2010

      21 최종환, "재일제주인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99-120, 2009

      22 김학렬,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 연구" 국학자료원 2007

      23 한승옥,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국학자료원 2007

      24 장사선, "재일 한민족 소설에서의 폭력" 한국현대소설학회 (45) : 327-356, 2010

      25 장사선, "재일 한민족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3) : 563-599, 2007

      26 장사선, "재일 한민족 문학에 나타난 내셔널리즘" 한국현대문학회 (21) : 407-433, 2007

      27 장사선, "재일 한민족 문학과 죽음 의식" 한국현대문학회 (27) : 451-478, 2009

      28 홍기삼, "재일 한국인 문학" 솔 2001

      29 심원섭, "재일 조선인 시문학에 나타난 자기 정체성의 제양상" 한국문학회 (31) : 279-308, 2002

      30 심원섭, "재일 조선어문학 연구 현황과 금후의 연구 방향"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91-122, 2006

      31 하상일,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적 이해" 소명출판 2011

      32 정덕준, "재외 한인문학과 한국문학- 연구 방향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13-31, 2006

      33 김종회, "재외 한민족문학 연구-재외 한인문학의 범주와 작품세계" 국제비교한국학회 14 (14): 2006

      34 홍기삼, "재외 한국인 문학 개관-한국문학권의 영역 문제와 관련하여, In 문학사와 문학비평" 해냄 1996

      35 이회성, "일본 속의 한국문학과 문학인" (겨울) : 1996

      36 장사선, "이회성 초기 소설에 나타난 원형적 욕망의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20) : 535-572, 2006

      37 송상옥, "이주민의 정서와 갈등의 소산(해외동포 문단의 실태-재미국 동포문단)" (7·8) : 1991

      38 조정래, "세계화시대의 한국문학, In 세계 속의 한국인 ․ 한국문학 ․ 한국문학연구" 2006

      39 윤여탁, "세계화 시대의 한국문학:세계문학과 지역문학의 좌표" 국어국문학회 (155) : 19-38, 2010

      40 오양호, "세계화 시대와 한민족문학 연구의 지평확대-재일동포문학과 그 연구의 사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35) : 1999

      41 정정호, "세계시민시대의 한국문학과 세계화 담론의 전략" 문예운동사 100 : 2008

      42 양진오,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그 위상과 전망" 한민족어문학회 51 (51): 71-96, 2007

      43 홍기삼, "북한의 문예 이론" 평민사 1981

      44 김종회, "북한문학의 심층적 이해 : 남한에서의 연구" 국학자료원 2012

      45 김윤, "민족분단과 이념의 갈등(해외동포 문단의 실태-재일본 동포문단)" (7·8) : 1991

      46 최종환, "민족문학의 새로운 기반 정초를 위한 재외한인 문학의 가능성- 재일 조선인 시문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87-111, 2008

      47 고원, "미국에서 영어로 창작하는 한국인의 정체성" (겨울) : 1996

      48 김종회, "문학예술의 혁명적 전환 - 북한의 비평" 국학자료원 2012

      49 김종회, "문학과 디아스포라" 민음사 2007

      50 최종환, "몸담론을 통해 본 재일조선인 시" 한국비교문학회 (49) : 175-198, 2009

      51 김종회, "력사의 자취 - 북한의 소설" 국학자료원 2012

      52 리진, "러시아 속의 한국문학과 문학인" (겨울) : 1996

      53 최종환, "남시우 시 연구 -1953년~1960년 시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7) : 85-107, 2009

      54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서술을 위한 서설, In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출판 1995

      55 김종회, "남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문학의 디아스포라적 문화 통합" 한국현대문학회 (25) : 487-508, 2008

      56 이명재, "나라 밖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들-한민족 문학의 통일을 모색하며-, In 통일시대 문학의 길찾기" 새미 2002

      57 김종회, "겨울밤의 평양 - 북한의 시" 국학자료원 2012

      58 한진, "검열과 소외 속에서 자라난 민족문학(해외동포 문단의 실태-재소련 동포문단)" (7·8) :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